• 제목/요약/키워드: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syste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Superoxide의 세포내 축적과 벼냉해의 발현 (Postchilling Accumulation of Superoxide in Cells and Chilling Injury in Rice Plant)

  • 김종평;현일;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64-370
    • /
    • 1987
  • 본연구의 근간이 되는 기본적 가정은, (1) 식물냉해기작에서 2차과정은 반응성이 강한 $O_2^-$의 체내 축적이다. (2) $O_2^-$는 식물체가 저온(低溫)처리를 받고 있는 도중이 아니라 상온(常溫)으로 환원된 뒤에 축적되기 시작한다. (3) $O_2^-$의 축적은 미토콘드리아 막의 상전이가 야기한 세포대사(細胞代謝)$(glycolysis{\rightarrow}TCA\;cycle{\rightarrow}respiratory\;electron\;transport)$의 균형파괴에 기인 한다. 이와 같은 가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O_2^-$의 상대적(相對的) 수준(水準)을 측정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저온처리를 받은 벼 유묘는 처리하지 않은 유묘보다 그 조직 추출액중의 $O_2^-$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48시간의 저온처리중에는 $O_2^-$의 축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상온(常溫)으로 환원시킨 후 축적되기 시작하여 약 8시간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Model system을 이용한 연구 결과, 호흡기질을 공급했을 때 미토콘드리아 membrane(SMP)에서 $O_2^-$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효소적으로 발생시킨 $O_2^-$가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미토콘드리아막의 전자전달 활성이 저해를 받았다. $O_2^-$의 축적이 최고치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되는 사실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Superoxide dismutase(SOD)에 의한 $O_2^-$의 dismutation 결과로 해석되었다.

  • PDF

Halobacterium sp. EH10 NADH dehydrogenase의 $Na^+$ 요구성 ($Na^+$ Requirement of NADH dehydrogenase from an Extreme halophile, Halobacterium sp. EH10 Isolated from a Saltern in Korea)

  • 배무;이정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57
    • /
    • 1991
  • Intracellular enzymes of an extreme halophilic bacterium, Halobacterium sp. HE10, isolated from a saltern in Korea was investigated. The membrane-bound enzyme, NADH dehydrogenase, involved in electron transport system was stimulated by the addition of 2.0 M NaCl. The respiratory enzyme activities such as NADH oxidase and NADH dehydrogenase was decreased on removal of $Na^+$ ion and restored when replaced with cations like $K^+$, $Li^+$and $NH_{4}^{+}$ ions. Furthermore, their activities were affected by the anions such like carbonate, acetate, sulfate, chloride and nitrate at the presence of $Na^+$ion.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highest at the asturated solution of NaCl and isocitr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a maximum level at 1.0 M NaC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nzyme activites of the respiratory chain in Halobacterium sp. EH10 was stimulated by the presence of $Na^+$ ion.

  • PDF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저해제인 quinoline 유도체들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quin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in the respiratory chain)

  • 정근회;조광연;다까하시 노부다까;요시다 시게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43-48
    • /
    • 1991
  • Menaquinone과 비슷한 구조로써 새로운 quinoline 화합물들은 design하고 합성하여 submitochondria를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검정하였다.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를 저해하는 생리활성은 주로 친유성 부분인 측쇄의 길이에 의존되었다. Quinoline핵의 3위치는 methyl group일 때가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 PDF

진균류의 Ubiquinone system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Ubiquinone System in Fungi)

  • 박주영;정지국;신용국;조월순;서필수;박용하;이재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1
    • /
    • 1998
  • Isoprenoid quinones은 미생물의 호흡계나 관합성의 전자전달계의 필수적인 구성성분으로, 그들의 화학적분류 뿐만 아니라 생리학적인 중요성으니 충분히 인식되어 있다. 본실험에서는 Trichoderma, Gliocladium, Verticillium, Aspergullus 및 Agaridus bisporus, 및 Agaricus biporus, Lenrinus edodes, Pleurotus ostrearus igniarius, Phellinus chrysolona를 포함한 일부 식용버섯의 ubiquinone type을 결정하였다. 대부분의 불완전균휴는 Q-10($H_2$)를, 본 실험에 사용된 식용버섯 전체는 Q-9을 main ubipuinone type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upiquinone type은 진균류에 있어서도 화학적 분류의 유용한 수단으로 간주되며, 보다 광범위한 연구결과의 축척이 필요한 것이다.

  • PDF

황토첨가 해양퇴적물에서 적조생물 Cochiodinium polykrikoides 분해중 세균군집의 변동 (Changes of Bacterial Population dur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Red Tide Dinoflagellate, Cochiodinium polykrikoides in the Marine Sediment Addition of Yellow Loess)

  • 박영태;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20-926
    • /
    • 1998
  • 본 연구는 C. polykrikoides 적조 구제로 살포한 황토가 저층에 퇴적된 후, 적조생물이 분해되는 동안 미생물군집과 호흡 전자전달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산만과 진해만의 퇴적물로 배양실험을 행한 결과이다. 종속영양세균수는 두 개 정점의 실험구 모두 황토첨가와 무관하게 $10^7$ cells/dry g의 범위로 12시간만에 최고 치에 도달하였고 유사한 변동을 보여주었다. 종조성의 변동 또한 황토첨가로 인한 뚜렷한 영향을 보여주지 않았으며, Vibrio spp.는 배양기간 동안 계속 출현하였다. 그러나 황산염환원세균은 배양 8일째 마산만의 황토를 첨가하지 않은 퇴적물에서 $3.8\times10^7$cells/dry g로 1:1(1:2) 비율의 황토첨가 실험구에 비하여 120 (350)배 정도 높았고, 진해만의 퇴적물에서는 $5.5\times10^6$cells/dry g로 1:1 (1 : 2) 비율의 황토첨가 실험구보다 160(420)배 정도 높았다. 또한, ETA는 두 개의 정점 모두 호기적 조건에서는 각 실험구의 평균치가 6.8$\~$7.6 $\mu$g formazan $h^{-1}$ dry $g^{-1}$ 의 범위로서 황토의 첨가와 무관하게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혐기적조건의 정점 A의 퇴적물에서 황토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는 평균 10.4$\mu$g formazan $h^{-1}$ dry $g^{-1}$ 로 황토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7.3 (1:1), 3.4(1 : 2) $\mu$g formazan $h^{-1}$ dry $g^{-1}$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정점 B의 퇴적물도 황토를 첨가한 비율이 높을수록 활성이 낮았다. 따라서 황토첨가가 해양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혐기적분해 및 황산염환원세균의 성장을 저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 결과는 모델실험에 의한 것으로 보다 자세한 황토의 영향을 알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미생물군집의 변동과 활성의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