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s of the Area

검색결과 7,111건 처리시간 0.041초

Effect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scle Fibers on Porcine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 Lee, Sang Hoon;Kim, Jun-Mo;Ryu, Youn Chul;Ko, Kwang Su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83-593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rcine muscle fibers on growth performance,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pork quality taken from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A total of 239 crossbred pigs (164 castrated males and 75 females) were us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pigs were categorized by the total number of muscle fiber (TNF: High and Low) and cross sectional area of muscle fiber (CSAF: Large, Middle, and Small). Their combination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High-Large, HL; High-Middle, HM; High-Small, HS; Low-Large, LL; Low-Middle, LM; Low-Small, LS). The TNF and CSAF were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growth rate and carcass productivity, while the only of the type I number had no meaningful relationships excluding the correlation with loin area (p<0.001). The proportion of type I a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45 min while the proportion of type IIB are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H45 min and pH24 h (p<0.05). Drip loss and protein denaturation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proportion of type IIB number or area. The HL group exhibited the greatest growth performance. In addition, the HL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values in protein solubility than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TNF combined to large CSAF improve the ultimate lean meat productivity and assure normal meat quality simultaneously with increased both proportion of number and area of type I, type IIA muscle fibers and lowered proportion of number and area of type IIB.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 면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ndbar and Vegetation Area Altera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 박봉진;장창래;이삼희;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163-1172
    • /
    • 2008
  • 본 연구는 댐 건설 전 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의 면적변화, 변화지수, 변화정도와 경년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사주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전의 사주면적은 하천면적의 38 %이었으나, 댐 건설후에는 21 %로 17 %가 감소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9921{\sim}2.9528$ 이었다. 식생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전의 식생면적은 하천면적의 11 %이었으나, 댐 건설후에 24 %로 13 %가 증가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8908{\sim}12.0736$ 이었다.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의 사주와 식생의 경년변화를 분석한 결과, 사주면적은 연 $42,600m^2$씩 감소 하였으나 식생면적은 연 $51,700m^2$ 씩 증가하여, 사주면적의 감소 보다 식생면적의 증가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지적 산사태 발생 예보를 위한 레이더 자료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Radar Data for Local Landslide Warning)

  • 최윤석;최천규;김경탁;김주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1-201
    • /
    • 2013
  •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여름철 집중호우 시에 주로 발생하며, 강우는 산사태 발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산사태의 예측을 위한 레이더 강우자료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2006년 7월에 발생한 인제지역 산사태를 대상으로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내 강우 공간분포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산사태 발생지와 산사태 발생 기간에서의 강우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레이더 강우장을 이용하는 것은 기존의 지점강우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산사태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광산 산업의 현황수준 및 폐광지역 입지여건 타당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echnology Status Level and Location Conditions of Urban Mining Industry in Abandoned Mine Area)

  • 고일원;박주현;박제현;양인재;이승아;김대엽;김수로
    • 한국자원공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53-5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및 유가금속 재활용관련 인프라가 전무한 폐광지역의 공간을 활용한 도시광산 조성을 위한 최적기술과 입지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과 기법을 제시하였다. 도시광산 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부산물 및 폐기물의 가공을 통해서 광물자원을 취급하는 산업으로, 광물자원의 개발과 광해방지의 연계산업으로 의미를 지닌다. 폐광지역 대상의 도시광산을 대상으로 폐기물 재활용 기술은 선별, 추출, 정제련의 핵심기술이 대상이 되며, 해당 기술수준 분석결과, 유망한 원료인 폐전지, 폐촉매의 재활용과 이를 기반으로 사업화를 수행하는 산업망이 필요하였다.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도시광산의 자원수급 여건보다는 부가가치를 생성하는 자원이 발생하는 관련 산업과 연계된 입지분석의 항목 설정이 중요하였다. 접근성과 인프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도시광산 조성에서, 공간 및 입지 여건, 산업 특성에 따른 폐광산 지역 진흥지구내 경제적 기반구축, 원료공급과 수급의 연계, 유용광물자원 재활용 핵심기술 확보인자를 도출하였다.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RIVATIZATION: LESSONS FROM THE UNITED STATES FOR KOREA

  • Choi, Yearn-Hong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10
    • /
    • 2000
  • Water quality in becoming a serious issue in South Korea, so that modernization of drinking water and sewer plants is sought after. "Contracting out"to the private sector from the local government bureaucracy is the order of the day. This paper introduces the semi-privatiz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s in the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for South Korea's further privatization efforts.n efforts.

  • PDF

Multi-Regional Resources Management Practice using Water-Energy-Food Nexus Simulation Model

  • Wicaksono, Albert;Jeong, Gimoon;Kang, Doosu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3-163
    • /
    • 2019
  • The rapidly growing global population increases the awareness of water, energy, and food security worldwide. The concept of Water, Energy, and Food nexus (hereafter, WEF nexus) has been widely introduced as a new resources management concept that integrate the water, energy, and food in a single management framework. Recently, WEF nexus analyzes not only the interconnections among the resources, but also considers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climate change, policy, finance, etc) to enhance the resources sustainability by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 A nation-level resources management is quite complex task since multiple regions (e.g., watersheds, cities, and coun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spatially interconnected and transfer the resources each other. This study proposes a multiple region WEF nexus simulation and transfer model. The model is equipped with three simulation modules, such as local nexus simulation module, regional resources transfer module, and optimal investment planning module. The model intends to determine an optimal capital investment plan (CIP), such as build-up of power plants, water/waste water treatment plants, farmland development and to determine W-E-F import/export decisions among areas. The objective is to maximize overall resources sustainability while minimize financial cost. For demonstration,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a semi-hypothetical study area with three different characterized cities. It is expected the model can be us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a long-term resources management planning process.

  • PDF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 지질학적 비교 (Geological Comparison Between Musan Iron Deposit in North Korea and Iron Deposits in Anshan-Benxi Area in China)

  • 김남훈;고상모;이범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5-225
    • /
    • 2018
  •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는 시생대 호상철광층으로 북중국 지괴의 동쪽 블록 중 용강 블록에 속한다. 무산 철 광상을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무산층군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를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안산층군으로 이들은 주로 철질 규암, 각섬암, 편암, 혼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주 광종은 주로 철질 규암에 배태되어 있는 자철석이다. 광체의 모양은 무산 철 광상의 경우 습곡에 의해 말발굽 모양을 갖지만 안산-번시 철 광화대의 경우 대부분 층상의 모양을 갖는다. 호상철광층의 생성 연대는 무산 철 광상은 약 2.66-2.52 Ga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2.55-2.53 Ga로 보고되어 시기적으로 유사하며, 광상형은 모두 알고마 유형으로 알려져있다. 결론적으로 무산 철 광상과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지질 및 형성 시기, 그리고 광상 특성이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trusion in the Ulsan Area Using Br : Cl Weight Ratios of Groundwater)

  • 조병욱;이병대;윤욱;임현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39-347
    • /
    • 2003
  • 울산광역시에 대한 해수침입 가능성을 171개 지하수 수질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에서 Cl의 함량이 높은 지역은 남구의 태화강 주변 저지대로서 최대 11,300 mg/L이고, 동구 해안일대는 지질학적 특성 때문에 상당히 낮은 Cl 함량을 보인다. Cl의 함량이 낮을수록 해수의 Br:Cl 함량비인 $34.7{\times}10^{-4}$에서 크게 벗어나지만, Cl의 함량이 100 mg/L 이상인 지하수는 해수의 Br:Cl 비인 $34.7{\times}10^{-4}$에 근접함을 보인다. 171개 지하수 중 Cl의 함량이 500 mg/L이상 되는 11개 시료의 Cl, Br, K, Na의 조성비는 해수와 비슷하나, Ca, Mg, $SO_4$, $HCO_3$, $SiO_2$의 조성비는 해수와 다르다. Cl함량이 500 mg/L 이상인 11개 지하수 시료의 Na/Cl 몰비는 0.35∼2.08의 범위이며(해수 0.75), Ca/Cl 몰비는 0.001∼0.20의 범위(해수 0.02), Mg/Cl 농도비는 0.001∼0.22의 범위(해수 0.09)를 보인다. 따라서 현재 태화강 일대 지하수의 Cl 함량이 높은 것은 해수침입보다는 과거 도시화 이전 충적층에 축적되어 있었던 염분이 고립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되며, 이 염분의 농도는 지하수 유출량보다는 유입량이 더 많은 도시지역 지하수 시스템을 고려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