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stance-based exercise training (R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Comprehensive Relevance of AMPK in Adaptive Responses of Physical Exercise, Skeletal Muscle and Neuromuscular Disorders

  • Lee, Jun-Ho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1-150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daptive responses of different modes of physical exercises utilizing skeletal muscle and the comprehensive relevance of AMPK signaling that can be activated by physical exercise as a potential molecular target in human health problems such as neuromuscular disorders (NMDs). METHODS: Most of the contents in this review article are based on recent publications concerning the main topics of interest. The reference literatures cited were obtained by basic searches of overseas academic databases such as PubMed and ScienceDirect using EndNote X7.8. RESULTS: The phenotypic adaptive responses of skeletal muscle during endurance- and resistance-based exercise training (ET and RT respectively) appear to be distinct. To explain the adaptive responses in each single mode of exercises (ET, RT) along with combined exercise training (CT), AMPK signaling is proposed as an important molecular link among those differential modes of exercise and a promising molecular target of NMDs. CONCLUSION: Based on the available evidence, intracellular AMPK signaling activated by diverse stimuli including physical exercise can be a potential and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the prevention, amelioration or cure of various human health problems including NMDs and may also be beneficial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emergency situations that may elicit acute metabolic stresses.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8주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이 산화질소(NO) 농도와 평균동맥압(MAP)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8 Weeks Resistance Training on Nitric Oxide (NO) Concentration and Mean Arterial Pressure (MAP) in Young Men)

  • 김영일;백일영;곽이섭;김근수;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5-632
    • /
    • 2009
  •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서로 다른 두 집단(RTG, ATG)의 비교시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RTG)보다 유산소 트레이닝 집단(ATG)에서 산화질소(NO)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적인 유산소 형태의 트레이닝이 간헐적인 저항성 형태의 트레이닝 보다 더 많은 산화질소(NO)가 생성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박수(HR)와 혈압(BP), 평균동맵압(MAP)의 감소에도 저항성 트레이닝(RT)보다는 유산소 트레이닝(AT)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산소 트레이닝(AT)에 비해 저항성 트레이닝(RT)에서 유의하진 않았지만 산화질소(NO) 농도가 증가된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단기간일 지라도 혈관이완 및 자율신경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유산소 트레이닝(AT) 임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운동을 선택할 시(근력과 근비대를 제외한 운동)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12주 이상의 장기간의 트레이닝을 통해 저항성 트레이닝(RT)이 혈관이완의 직접적인 척도인 산화질소(NO) 농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