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strain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23초

강 뼈대 구조물의 단자유도 하이브리드 동적 실험 (Single Degree of Freedom Hybrid Dynamic Test with Steel Frame Structure)

  • 김세훈;나옥빈;김성일;이재진;강대흥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13-421
    • /
    • 2012
  • 하이브리드 실험은 구조물의 거동을 수치해석 모델과 물리적 부분구조 모델로 나누어 동시에 수행되는 실험법으로써 본 논문에서는 지진하중에 의한 1경간 2층 강 뼈대 구조에 대한 하이브리드 시험을 수행하였다. 1층 기둥 1개소를 물리적 부분구조모형으로 선택하고, 한 개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수평방향으로 변위를 가하여 수치해석과 하이브리드 실험결과 사이의 거동추이를 분석하였다. 입력 지진데이터로는 El Centro를 사용하였으며, OpenSees를 이용하여 강구조물의 선형 또는 비선형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형해석은 수치해석과 하이브리드 응답형상이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비선형 해석은 재료 비선형성에 의한 영구변형의 차이는 발생하였으나 최대변위 및 전체응답형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실험 소요시간은 실제 가진 시간에 약 9.6%의 속도로 현재 국내에서 수행된 실험 중 가장 실시간에 근접한 실험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하이브리드 실험은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는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공간적, 경제적 제약이 있는 진동대 실험을 대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제주도산(濟州道産) 감귤발효주(柑橘醱酵酒)의 양조특성(釀造特性) (Citrus Wine-making from Mandarin Orange Produced in Cheju Island)

  • 고정삼;고남권;강순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416-423
    • /
    • 1989
  • 제주도산 온주밀감을 이용한 투명하고 방향성이 있는 과실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료의 화학분석과 처리방법, 우수균주의 선발, 발효중의 당의 변화, 발효주의 성분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원료 감귤의 껍질 부분은 25.6%였으며, 100 메쉬를 통과한 압착쥬스의 비율은 55.9%였다. 쥬스 중에는 총당 함량은 8.85%, 총산 함량은 1.43%, 휘발산 함량이 0.065%였다. 발효력시험, 과실주의 화학분석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4274를 우수균주로 선정하였으며, 압착쥬스에 가당하여 $24^{\circ}\;Brix$로 조절한 다음 $20^{\circ}C$에서 발효를 시켰다. 일주일간의 주발효기간이 경과한 후 부유물이 서서히 침전하기 시작하였으며, 한달 후 투명한 과실주가 얻어졌다. 발효전에 효소를 처리한 경우는 발효액이 매우 투명하였고, 부유물의 침전이 빨리 일어나 과실주의 수율이 향상되었다. 발효주의 화학분석 결과 총가용성 고형물량은 $8^{\circ}\;Brix$였으며, 주정농도는 $13.3{\sim}14.4%$였고, 총산함량은 $0.78{\sim}1.11%$, 엑스분은 $2.25{\sim}3.29%$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 향기 및 맛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직접전단상자 시스템에 따른 동결토의 강도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trength Evaluation in Frozen Soils according to Direct Shear Box Systems)

  • 김상엽;김영석;이장근;이종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14
    • /
    • 2017
  • 극한지 동결 지반에서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이 진행됨에 따라, 안정성 평가를 위해 동결토의 강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단 상자 시스템에 따른 동결토의 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존 직접전단 시스템(Type-1), 상부 전단 상자 위쪽에 롤러를 설치한 시스템(Type-2), 그리고 상부 전단 상자를 하부 전단 상자와 분리되도록 기둥으로 고정한 시스템(Type-3)을 제작하였다. 모든 시스템에는 모래, 실트, 그리고 증류수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이용하여 조성하였으며, 냉동 챔버 내에서 $-5^{\circ}C$까지 동결된 후 연직 응력 5, 10, 25 그리고 50kPa을 가하며 직접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Type-1은 전단 이동에 따라 상부 전단 상자가 회전(rotation)하여 하부 전단 상자와 접촉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상부 전단 상자의 회전을 롤러로 방지한 Type-2의 경우, 회전을 막는 힘이 전단강도에 추가되어 강도가 과대 평가되었다. Type-3의 경우, 동결 시료만의 전단강도가 평가되었으며, 최대전단강도 발현 시점과 수직변위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Type-3의 최대전단강도와 잔류전단강도의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은 롤러의 영향이 제거되어 Type-2보다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결토와 같이 강도가 큰 시료의 경우 Type-3과 같이 개선된 전단 상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결토만의 강도를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축력의 영향을 고려한 숏크리트-강지보 합성 라이닝의 비선형 거동 분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s of Shotcrete-Steel Support Lining Considering the Axial Force Effects)

  • 유지환;김정수;김문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357-367
    • /
    • 2017
  • 강지보로 보강된 터널 숏크리트 라이닝은 그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 외부하중이 작용됨에 따라 휨 모멘트와 축력이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숏크리트는 축력 수준에 따라 휨 강성이 달라지며, 이로 인한 심한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 또한 강지보 유형에 따라 역학적으로 상이한 지보 성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화이버 단면 요소(fiber section element)를 이용해 압축력과 휨 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강지보-숏크리트 라이닝의 비선형합성거동을 평가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제시하였고, 이를 활용해 강지보 유형에 따른 합성지보 성능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지반의 연화(softening) 거동을 고려하여 수정된 hyperbolic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수치모델은 기존 아치형 실험체의 하중실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검증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강지보 유형에 따른 라이닝의 합성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를 통해, 복철근 형태의 강지보가 기존 H형강과 유사한 극한 하중 지지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강재량 증가가 잔류 지지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지보재 주변의 지반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강지보 유형에 따른 최대 하중지지력 개선 효과는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전단파, 전자기파 및 콘 관입저항력을 이용한 직접전단실험시 전단영역 특성 평가 (Evaluation of Shear Zone in Direct Shear Test Using Elastic, Electromagnetic Waves and Cone Tip Resistance)

  • 변용훈;쭝꽝훙;짠밍콰;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43-52
    • /
    • 2011
  • 조립토로 구성된 지반구조물의 안정성은 전단변형에 따른 전단영역의 특성변화에 의해 영향을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단파와 전기비저항 및 콘 선단저항력을 이용하여 직접전단실험시 발생하는 전단영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전단영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크릴 재질로 직접전단상자를 제작하였으며, 직접전단상자의 벽면에는 전단파와 전기비저항의 측정을 위하여 벤더엘리먼트와 전기비저항 프로브를 설치하였다. 벤더엘리먼트와 전기비저항 프로브는 전단영역과 비전단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전단변형에 따른 조립토의 거동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 선단저항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한 마이크로 콘을 첨두강도상태와 잔류강도상태에서 관입하여 깊이에 따른 시료의 강도분포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바닥부근과 하부전단영역에서는 전단변형에 따른 전단파 속도는 일정하였지만, 상부전단영역에서의 전단파 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바닥부근의 전기비저항은 변화가 없는 반면, 하부전단영역에서 전기비저항은 상대밀도에 따라 수직변형률과 반비례관계로 나타났다. 콘 선단저항력의 변화도 전단파 속도의 변화와 유사하게 상부전단영역에서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직접전단실험시 전단파와 전기비저항을 관찰하는 것과 실험완료 후 콘 관입실험은 조립토의 전단영역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산균 발효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제2보) 발효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KINETIC STUDIES OF LACTIC ACID FERMENTATION(PART 2) INFLUENCE OF TEMPERATURE ON FERMENTATION)

  • 이근태;이명숙;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1-166
    • /
    • 1979
  • 유산균 식료공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L. bulgaricus의 배양온도에 의한 산소 효과 및 열역학적 고찰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 bulgaricus를 20시간 배양시 균체는 최고농도에 달했고 배양온도 $39^{\circ}C,\;42^{\circ}C\;and\;45^{\circ}C$에서 각각 2.3UOD/ml, 2.6UOD/ml, 2.8UOD/ml로 나타났다. 2) 배양 30시간때 포도당 잔량은 배양온도 $39^{\circ}C,\;42^{\circ}C\;and\;45^{\circ}C$에서 각각 18.3g/l, 15.0g/l, 10.0g/l이었다. 3) 최대비증식속도는 배양온도, $39^{\circ}C,\;42^{\circ}C\;and\;45^{\circ}C$에서 각각 $0.42hr^{-1},\;0.48hr^{-1},\;0.58hr^{-1}$이었고 Saturation constant는 4.57mg/ml, 5.6mg/ml, 6.627mg/ml이었다. 5) 활성화 energy는 9,220cal/mol 배양온도의 변화에 따른 평균치로 활성화 entropy는 $-31.74cal/^{\circ}Kmol$, 반응열은 9,845cal/mol free energy는 19,800cal/mol이었다.

  • PDF

Post HCV Infection Due to MX Gene Stimulation Produced Post Treatment with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Egyptian Biosimilar IFN

  • Mohamed, Shereen H;Mahmoud, Nora F;Mohamed, Aly F;Kotb, Nahla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635-5641
    • /
    • 2015
  • Background: Cirrhosis is regarded as a possible end stage of many liver diseases, including viral infection. It occurs when healthy liver tissue becomes damaged and is replaced by scar tissue and finally may lead to hepatocellular carcinoma. Interferons (IFNs)are two general categories, type I and II. Type I includes one beta interferon and over 20 different alpha interferons. Alpha interferons are very similar in how they work, interacting with other proteins on cells like receptor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x gene productivity post different cell line treatment with impor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as well as the efficacy of those tested IFNs. Also, an assessment was made of sensitivity of different cell lines as alternatives to that recommended for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Different cell lines (Vero, MDBK and Wish) were employed to evaluate cytotoxicity using the MTT assay. Antiviral activity was evaluated compared with standard IFN against VSV, Indiana strain -156, on tested rh-IFNs (imported; innova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in the pre-treated cell lines previously mentioned. The virus was propagated in the Wish cell line as recommended. Finally we estimated up-regulation of the Mx gene as a biomarker. Results: Data recorded revealed that test IFNs were safe in test cell lines. Viability was around 100%. Locally tested interferon did not realize the international potency limits, while the imported one was accepted compared with the standard IFN. These results were the same either using infectivity titer reduction assay or crystal violet staining of residual non- infected cells. Mx protein production was cell type related and confirmed by the detected Mx gene expressed in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IFN pre-treated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Vero> wish > MDBK for the imported IFN, while for the Egyptian biosimillar locally produced one it was MDBK> Vero> wish. With regard to the antivir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orted IFN potency compared with the locally produced IFN (P<0.05), the IFN potential (antiviral activity) was not cell line related and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separate product. Conclusions: Vero cell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cell line for evaluation of IFN potency in case of unavailable USP recommended cell lines. Alternative potency evaluation assay could be used and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FN potency in case of local and imported agents.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could be used in parallel to viral infectivity reduction assay for better accuracy. Mx gene can be used as a marker for IFN potential.

팬텀 모델 제작을 위한 SBS/도전체/유전체 3상 복합재료의 유전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SBS/Conductive Filler/Dielectrics Composites for Phantom Model)

  • 김윤진;최형도;조광윤;유돈식;윤호규;서광석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98-107
    • /
    • 2001
  • 팬텀 모델 제작을 위해 도전체로서 전도성 카본블랙을, 유전체로서 (Ba, Ca)$(Sn, Ti)O_3$$SrTiO_3$를 적용한 SBS 복합재료의 유전 특성과 형상 회복 특성을 조사하였다. 카본블랙만을 첨가한 복합재료는 카본블랙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소유전율과 도전율이 증가하였으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이 감소하고 도전율은 증가하는 주파수 의존 특성을 보였다. 카본블랙과 유전체를 동시에 적용한 3상 복합재료는 동일한 카본블랙 함량에 대해서 유전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복소유전율과 도전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냈으며, 카본블랙의 영향으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이 감소하였고 도전율은 증가하였다. 유전체/SBS 복합재료의 유전성질과 도전체/SBS 복합재료의 주파수 의존도를 조절하여 현재 이동전화 사용 주파수 대역인 775 MHz~2 GHz 범위에서 인체의 뇌와 두개골 조직의 유전율, 도전율과 상응하는 비흡수율 측정용 팬텀 모델 재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열기계적 반복시험에서는 충전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잔류변형량이 증가하였으나, 인체 조직을 모사한 SBS 복합재료는 우수한 형상 회복 성능을 보였다.

  • PDF

Quantification of Karanjin, Tannin and Trypsin Inhibitors in Raw and Detoxified Expeller and Solvent Extracted Karanj (Pongamia glabra) Cake

  • Panda, A.K.;Sastry, V.R.B.;Kumar, A.;Saha,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76-1783
    • /
    • 2006
  • Despite being a rich source of protein (28-34%), karanj (Pongamia glabra) cake is found to be bitter in taste and toxic in nature owing to the presence of flavonoid (karanjin),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thereby restricting its safe inclusion in poultry rations. Feeding of karanj cake at higher levels (>10%) adversely affected the growth performance of poultry due to the presence of these toxic factors. Therefore, efforts were made to detoxify karanj cake by various physico-chemical methods such as dry heat, water washing, pressure cooking, alkali and acid treatments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 with Sacchraromyces cerevisiae (strain S-49). The level of residual karanjin in raw and variously processed cake was quant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was quantified by titrametric and colorimetric methods, respectively. The karanjin,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levels in such solvent and expeller pressed karanj cake were 0.132, 3.766 and 6.550 and 0.324, 3.172 and 8.513%, respectively. Pressure-cooking of solvent extracted karanj cake (SKC) substantially reduced the karanjin content at a cake:water ratio of 1:0.5 with 30-minute cooking. Among chemical methods, 1.5% (w/w) NaOH was very effective in reducing the karanjin content. $Ca(OH)_2$ treatment was also equally effective in karanjin reduction, but at a higher concentration of 3.0% (w/w). A similar trend was noticed with respect to treatment of expeller pressed karanj cake (EKC). Pressure cooking of EKC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karanjin level of the cake. Among chemical methods alkali treatment [2% (w/w) NaOH] substantially reduced the karanjin levels of the cake. Other methods such as water washing, dry heat, HCl, glacial acetic acid, urea-ammoniation, combined acid and alkali,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s marginally reduced the karanjin concentration of SKC and EKC. Treatment of both SKC and EKC with 1.5% and 2.0% NaOH (w/w)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reducing the tannin content.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detoxification, dry heat, pressure cooking and microbiological treatment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substantially effective in reducing the trypsin inhibitor activity in both SKC and EKC. Based on reduction in karanjin, in addition to tannin and trypsin inhibitor activity, detoxification of SKC with either 1.5% NaOH or 3% $Ca(OH)_2$, w/w) and with 2% NaOH were more effective.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pressure cooking in reducing the karanjin content, it could not be recommended for detoxification because of the practical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technology as well as for economic considerations.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의 웅성발생성 처녀생식: I. 형질전환 유전자 표지를 이용한 웅성발생성 반수체 유도의 최적화 (Intraspecies Androgenesis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 Optimization of the Egg Inactivation and Haploid Androgenesis Using Transgene Marker)

  • 남윤권;노충환;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6-172
    • /
    • 2006
  • 동일 종내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웅성발생성 인공처녀생식(intraspecific androgenesis)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꾸라지 난 유전물질의 불활성화와 이에 따른 웅성발생성 반수체 유도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다양한 자외선(UV)농도$(0\sim25,650ergs/mm^2)$를 이용하여 미꾸라지 난의 유전학적 불활성화를 시도하였으며 수정률, 부화율 및 반수체 출현율을 평가한 결과 10,800 ergs의 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반수체 유도 효율을 보였으며 최초 처리 난 중 50%이상의 웅성발생성 반수체 수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웅성발생성 개체는 전형적인 haploid syndrome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flow cytometry분석 결과 정확히 미꾸라지 반수체(1.4 pg/cell)의 DNA함량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삽입된 형질전환 유전자 표지를 이용하여 부계 특이적인 인공처녀생식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일부 반수체자어들에서$(8\sim11%)$ 모계 유전물질의 잔류가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