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Patterns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4초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 창원시를 대상으로 -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

  • 백수경;박경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12
    • /
    • 2014
  • 도시의 공원녹지는 지역 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다양한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거주하는 541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의 이용패턴과 주관적인 근린환경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사례지역에 대한 공원녹지의 접근성과 물리적 근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자가인식 건강수준, 그리고 체질량지수(BMI)와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주지로부터 2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출입구와 공원의 개수, 집 주변에서 운동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거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시설이 많다고 느낄수록 신체활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 주변 공원녹지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공원녹지의 개수가 많고, 면적이 넓을수록, 보행이 편리할수록, 공동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자가인식 건강수준(perceived health level)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로부터 4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개수, 보행환경의 안전성, 공동주거지역의 비율, 도로비율, 교차로 밀도 등이 BMI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공원녹지의 특성과 종속변수인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및 자가인식 건강수준 사이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수준 10% 이내에서 의미가 있는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와 근린환경의 특성이 지역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의 이용을 증진하고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의 조경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이다.

공간계량분석 방법에 따른 시설물 화재 발생 유의성 분석 (Significance Analysis of Facility Fires Though Spatial Econometrics Assessment)

  • 서민송;유환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1-293
    • /
    • 2020
  • 최근 우리나라는 크고 작은 화재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화재는 우리나라의 도시 내에서 교통사고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이며, 화재 발생 빈도는 토지이용의 형태와 시설물의 유형에 따라 밀접한 상관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10년간 화재데이터를 사용하여 토지용도별, 시설물 유형별 그리고 인문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여 화재 발생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분포 패턴을 파악한 후,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인문·사회 및 물리적 요인 간의 공간적 종속성 및 비정상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화재 발생 위치와 각 요인의 위치를 고려하여 공간가중치를 활용한 선형회귀모형, 공간시차모형 그리고 공간오차모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적합도가 높은 통계모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분포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LIS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심상업지역, 공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사회 및 물리적 변수를 통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 도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공간가중치를 적용하여 세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공간오차모형이 가장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 발생과 가장 높은 상관성이 있는 시설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가구 수, 판매시설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표준편차 타원체분석을 통하여 용도지역 중 주거지역, 공업지역, 중심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시설물별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거지역 및 공업지역에서는 네 개 시설물의 특성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중심상업지역에서는 화재위험도가 가장 높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중심부에 집중분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해 시설물별 특성을 파악하여 화재안전관리를 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애틀 공동묘지의 공간적 구조와 역사적 변화 양상 (Spatial Structure and Historical Change of Cemeteries in Seattle, USA)

  • 김충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45
    • /
    • 2018
  • 미국의 공동묘지는 망자의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도시 내 주거지 인근에서 빈번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도시화의 과정 속에서 언제 그리고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화에 따른 시애틀 공동묘지의 공간적 구조와 역사적 변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고문헌 및 고지도를 활용한 역사 분석을 통하여 시애틀 공동묘지의 초기 형성기를 규명하였고, GIS를 활용한 군집 분석을 통해 시애틀 공동묘지의 현재 위치를 도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역사 분석과 군집 분석의 통합연구방법을 통해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시애틀 도심의 초기 공동묘지들은 도심 형성 과정의 부산물이었지만, 교외지역의 공동묘지들은 도심 성장과 근린 개발보다 시간적으로 선행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시애틀의 공동묘지들은 시애틀의 쇼핑센터들과 유사한 입지 패턴을 보였으며, 시애틀의 인구 분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시애틀의 도시 공동묘지는 원래 농촌 지역에 위치하였으나, 이후 미국의 농촌 공동묘지의 경관을 유지하면서, 도시 지역에 위치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性에 따른 職住分離와 通勤通行 패턴의 差異 -서울의 旣婚女性과 旣婚男性을 中心으로- (Gender Difference in the Seperation of Employment from Home and Commuting: A Case Study of Married Women and Men in Seoul)

  • 노시학;손종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46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성에 따른 취업자의 지역별 통근율의 차이와 취업기회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통한 성에 따른 직주분리의 정도와 이에 의한 통근통행행태의 차이가 설명되었다. 분석결과 남성취업자의 경우 직장과 거주지의 위치에 따른 공간적 제약이 이들의 취업과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여성취업자의 경우는 직장과 거주지의 위치에 따른 공간적 제약이 이들의 취업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취업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제약의 성에 따른 차이는 곧 성에 따른 직주분리의 정도의 차이를 유발하여 여성취업자가 남성취업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주분리의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직주분리의 차이는 다시 이들의 통근통행행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일반적으로 남성통근자는 여성통근자에 비하여 보다 장거리 통근을 하며, 보다 많은 통근비용을 지출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고급의 통근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탄소저감정책 효과분석을 위한 공간통계기법 적용방안 연구 - 탄소포인트제도를 대상으로 - (Study on Geostatistical Method for an Effectiveness Analysis on Carbon Reduction Policy - Focusing on the Carbon Point System)

  • 황해성;주용진;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71-80
    • /
    • 2012
  • 탄소포인트제도는 가정, 상업 시설의 전기, 가스, 수도 등 에너지 사용 절감량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민참여형 기후변화대응 프로그램이다. 현재, 기존 국가정책 및 연구는 사업장 위주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한정되어있고, 가정부문에 대한 탄소저감정책 시행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정책 중 탄소포인트제도를 중심으로 가정부문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에 관한 실증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성북구를 대상으로 가정부문의 전기, 가스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하고, IPA 분석을 통해 행정동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변화의 공간패턴을 가시화하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계열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사전-사후분석을 통해 탄소포인트제도의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공간통계기법과 핫스팟을 이용한 점사상의 국지적 분석을 통해 에너지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의 공간적 분포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실제 탄소배출저감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는 지방자치단체 에너지 진단 등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효과 평가와 녹색생활 개선 수립을 위한 다양한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eoul

  • Choi, Hyun-Ah;Lee, Woo-Kyun;Kim, So-Ra;Kwak, Han-B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67-4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기온($^{\circ}C$) 및 강수(mm)의 시 공간 구조 분석 및 변화경향과 변이성을 도출하였다. 1997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의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1개 자동기상관측망의 기온 및 강수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 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거리자승역산가중 (IDSW: 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ing)을 적용하여 보간 하였다. 기온과 강수량의 변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평균 및 더운 날과 추운 날의 빈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최고 기온 값은 1999년의 $32.80^{\circ}C$, 최저기온은 2001년의 $-19.94^{\circ}C$로 나타났다. 더운 날의 빈도가 가장 많았던 해는 79일을 기록한 2006년이며, 2004년과 2005년에도 비슷한 기록을 보였다. 추운날의 빈도가 가장 많았던 해는 105일을 기록한 2001년이다. 또한 기온과 강수량 모두 지난 10년 동안 기온이 약 $1.03^{\circ}C$, 강수량이 약 483.09mm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10년 동안 기온변이의 경우 고도가 높은 산림지역과 고도가 낮은 주거지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난 반면, 강수량의 경우 지형 및 토지이용에 따른 변이성의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통흐름에 기인하는 미세먼지 노출 도시인구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 (Spacio-temporal Analysis of Urban Population Exposure to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77
    • /
    • 2008
  •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도로교통량이 크게 늘면서 교통에 기인한 다양한 피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집중되는 대도시에서는 교통에 기인한 도시민의 건강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는 도시인구는 미세먼지의 주 발생원인 교통흐름이 있는 도로변에 가까이에 노출되는 도시민들이라고 보고 도시 공간 내에서 교통흐름과 미세먼지, 그리고 도시 통행인구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문제가 심각한 서울을 대상으로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의 실태를 살펴보고,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경기도 일대에 대단위 주거지들이 밀집된 신도시들이 개발되면서 나타나는 인구분포와 통행패턴, 그리고 교통흐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나타나는 공간적 변화와 이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GIS를 적용하였다. 또한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마이닝기법으로 추출해낸 통행흐름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시간별 통행인구분포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에 직접 노출하게 되는 도시인구를 산정하는 시 공간적 모형개발을 시도하였다.

  • PDF

쯔쯔가무시병의 임상 양상에 대한 소아와 성인의 비교 (A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tients with Tsutsugamushi Disease between Children and Adults)

  • 호요한;박기철;장영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2호
    • /
    • pp.104-11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전주 예수병원에 쯔쯔가무시병으로 입원한 환자를 조사하여 소아와 성인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쯔쯔가무시병의 진단 기준에 포함되는 768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소아 49명, 성인 719명의 임상적 특징과 검사소견 및 합병증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연도별 환자의 증가 추세는 소아와 성인 모두에서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고, 10월과 11월에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남녀비에서 소아는 남아가 많은 반면에, 성인은 여자가 많았고, 거주 지역은 소아가 성인에 비해 도시가 더 많았다. 증상은 소아에서 발진과 가피가 많았고, 근육통은 성인에서 더 많았다. 검사상 소아는 빈혈이 많은 반면에, 혈소판, 간기능, 신기능의 이상 소견이 적었다. 입원 기간과 합병증에서는 성인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소아에서 독시사이클린과 마크로라이드계열 항생제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두 약제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소아는 남아에서 많았고, 발진 및 가피의 발생이 더 많았다. 검사상 이상 소견은 성인에 비해 경하였으며, 입원 기간이 짧고, 합병증이 적으며, 마크로라이드계열 항생제에도 동일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행 시기에, 소아에서 쯔쯔가무시병이 의심될 때에는, 세밀한 이학적 진찰과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빠른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로도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지하저수조의 수리적 거동과 수질변화 특성 평가 (Assessment of Hydraulic Behavior and Water Quality Variation Characteristics in Underground Reservoir)

  • 이현동;배철호;김정현;황재운;홍성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2-58
    • /
    • 2005
  • The assessment on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behavior and water quality variations of underground reservoirs of buildings were studied. Firstly, it was thought that underground reservoir capacities($m^3$) of buildings should be not determinated by the uniform and same methods but b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dwelling areas on dominated households and their residenti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se characteristics influence significantly on actual water usages and patterns of buildings. Secondly, it was likely that the average reduction rate of residual chlorine in underground reservoirs were affected from the their capacities, because the average reduction rate of residual chlorine in underground reservoirs under $1,000m^3$ was 43 percent, on the other hand, that rate of underground reservoirs over $1,000m^3$ was 60 percent. Thirdly,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the retention time of drinking water in underground reservoirs were in the range from 0.3 day to 3.9 day. In addition to, the average reduction rate of residual chlorine were depended largely on the retention time of drinking water. When the retention time was under 24 hours, the average reduction rate of residual chlorine was 45 percent, and in case of over 24 hours, was 49 percent. Fourth, water level in underground reservoirs was averagely varied in the range from 0.1 m to 2.65 m at the height of underground reservoirs. If considered actual height of underground reservoirs, 37.6 percent of the height of underground reservoirs was only used. Consequently, the frequency of the inflow and outflow of drinking water in underground reservoir were very increased, and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residual chlorine. Lastly, the investigations on hydraulic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reservoirs inside showed the locations of inflow and outflow of drinking water almost wer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ome buildings had several baffles in the middle. Nevertheless, their installations had no beneficial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VIIRS-DNB 데이터를 이용한 수도권 야간 빛 강도의 시·공간 패턴 분석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s of Nighttime Light Brightness of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VIIRS-DNB Data)

  • 주뢰;조대헌;이소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19-37
    • /
    • 2017
  • VIIRS-DNB 데이터는 기존의 DMSP-OLS 데이터에 비해 야간에 발생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VIIRS-DNB 데이터를 이용해 야간 빛의 분포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상당히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도권을 대상으로 2013~2016년간의 야간 빛의 분포 및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공간회귀모델을 통해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시점 간의 변화를 살펴봄은 물론 계절간 변화 양상 또한 함께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과 2016년 두 시점 모두 야간 빛은 서울과, 인천, 그리고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의 도시에 집중되어 인구밀도 및 주거지관련요인, 경제토지이용관련요인 등과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2013년과 2016년을 비교해보면 야간 빛의 강도는 특히 서울에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인구밀도의 변화 및 산업용 건물의 비중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 그리고 인천과 경기도의 주변 지역들은 야간 빛의 계절 변동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겨울(12월, 1월, 2월) 및 가을(10월, 11월)에 빛의 강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야간 빛의 계절간 변동은 적설면적 변화와 유의미하게 양적 상관관계 나타났고, 알베도의 변화와 유의미하게 음적 상관관계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