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pin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흰쥐 정관의 수축성에 미치는 Octreotide의 영향 (Effects of Octreotide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장선애;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44-156
    • /
    • 1993
  • Octreotide는 somatostatin 동족체로서 8개의 aminoacid로 구성된 합성 polypeptide이다. 이는 외분비선과 내분비선, 특히 위의 분비기능과 췌장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며 somatostatin에 비하여 체내 반감기가 길고 장기에 대한 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에 의해 유발되는 출혈, 급성췌장염, 그리고 소화기관의 분비선에 나타나는 종양의 치료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등은 somatostatin이 말초 교감신경에 존재하며, 신경전달인자 또는 신경조정인자로서 작용할것이라는 보고와 임상적용시 혈압과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는 보고에 흥미를 가지고 그 유도체인 octreotide가 말초 교감신경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흰쥐 (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험조에 현수하여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였다. 흰쥐 적출정관은 전기장 자극(duration : 1 mSec, voltage: 50 V, frequency: 5 Hz or 30 Hz, train: 10 Sec)에 대하여 first phasic component (FPC)와 second tonic component (STC)로 구성된 수축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축반응은 tetrodotoxin($10^{-6}M$) 전처치로 소실되었다. Octreotide는 전기장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반응을 FPC, STC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24 시간 전에 reserpine(1 mg/kg, IP)을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을 고갈시킨 흰쥐에서 적출한 정관 절편과 beta-gamma-methylene ATP를 전처치하여 퓨린성 수용체를 탈감작시킴으로써 ATP의 작용을 배재한 정관절편의 전기장 유발 수축을 공히 억제하였다. 이러한 octreotide의 모든 수축 억제 작용들은 5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30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octreotide는 정관 절편의 기본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외부에서 첨가한 norepinephrine과 ATP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octreotide는 흰쥐적출 정관의 교감신경성 신경원으로부터 ATP와 norepinephrine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그 수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lpha}_1-Adrenoceptor$ Agonist로서의 Oxymetazoline -가토혈압(家兎血壓) 상승작용(上昇作用)- (Oxymetazoline as an ${\alpha}_1-Adrenoceptor$ Agonist -A pressor effect in the rabbit-)

  • 박영태;최수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9-67
    • /
    • 1982
  • 1) 여러가지 말초(末梢) 조직(組織)에서 ${\alpha}_1-adrenoceptor$의 agonist로 알려져 있는 oxymetazoline의 측뇌실내(側腦室內) 투여(投與)는 urethane마취가토(麻醉家兎)의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이 상승(上昇)은 guanethidine, chlorisondamine처리(處理)로 거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고, phenotolamine, guanethidine과 chlorisondamine 또는 부신결찰(副腎結紮)과 guanethidine처리하(處理下)에서는 억제(抑制)되었다. 2) 측뇌실내(側腦室內) oxymetazoline에 의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은 측뇌실내(側腦室內) prazosin투여후(投與後)에는 현저(顯著)히 감약(減弱)되었으나 yohimbine 및 piperoxan의 영향(影響)은 받지 않았다. 3) Reserpine처리(處理) 가토(家兎)에서도 측(側) 뇌실내(腦室內) oxymetazoline은 혈압(血壓) 상승(上昇)을 일으켰으며, 이도 측(側) 뇌실내(腦室內) prazosin투여후(投與後)에는 현저(顯著)히 감약(減弱)되었으나 yohimbine의 영향(影響)은 받지 않았다. 4) 전신마취(全身麻醉) 가토(家兎) 및 척수가토(脊髓家兎)에서 정맥내(靜脈內) oxymetazoline은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으며 이 상승효과(上昇效果)에 대(對)한 정맥내(靜脈內) ${\alpha}_1-adrenoceptor$ antagonist의 길항능력(拮抗能力)은 prazosin, phentolamine, yohimbine의 순(順)으로 강(强)하였다. 5) 본(本) 실험성적(實驗成績)은 oxymetazoline이 혈압조절(血壓調節)에 관여(關與)하는 가토(家兎) 뇌조직(腦組織) 및 가토(家兎) 혈관근(血管筋)에서는 ${\alpha}_1-adrenoceptor$ agonist로 작용(作用)함을 가리키고 있다.

  • PDF

흰쥐 태 뇌간의 세포배양에서 HPLC-전기화학검출을 이용한 Tyrosine Hydroxylase 활성 및 Dopamine의 정량 (Application of HPLC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to Assaying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and Dopamine Content in Dissociated Cultures of Fetal Rat Brainstem)

  • 송동근;위명복;박찬웅;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2
    • /
    • 1991
  • 쥐(태령 14일) 뇌간 세포배양에서 발달과정에 따른 Tyrosine hydroxylase(TH) 활성 및 dopamine의 양적 증가를 전기화학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 활성 및 dopamine의 양은 배양 7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배양 7일째에 여러 약물들의 dopamine 대사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TH 억제제인 ${\alpha}-methyl-p-tyrosine$ 및 aromatic amiono acid decarboxylase 억제제인 NSD-1015는 효과적으로 dopamine을 고갈시켰다. Dopamine은 reserpine에 의해 고갈되었고, parglyine에 의해 증가되었다. 일주일 배양한 세포의 배양액에 tetrodotoxin$(0.1\;{\mu}M$)을 7일간 투여하였을 때 TH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배양세포의 dopamine 대사가 뇌 dopamine 대사를 충실히 반영함을 나타낸다. 뇌간 세포의 배양에서 HPLC-전기화학검출을 이용한 TH 활성 및 dopamine의 측정은 중추 dopamine계의 약리 및 독성 연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새앙쥐 강제수영시 부동자세 시간에 대한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 on the Immobility Duration in the Forced-swimming Test Mice)

  • 임병용;김상곤;이원식;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8
    • /
    • 1985
  • 새앙쥐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향주도성 행동의 항진이라는 본능적 충동의 유발이라는 가정 아래 중추 noradrenaline neuron에 있어서 ${\alpha}_1$- 및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과 관련지어 이 실험을 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새앙쥐를 이용한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은 clonidine 및 guanabenz 등과 같은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용량에 의존하여 단축되었다. B-HT 933 및 oxymetazoline은 용량에 의존하지 않으나 단축시켰다. xylazine에의하여는 오히려 증가되었다. 2.${\alpha}_1$-Agonists 인 cirazoline, amidephrine 및 methoxamine은 부동자세 시간에 일관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3. Clonidine과guanabenz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alpha}_2$-antagonists, yohimbine, idazoxan 및 phentolamine 전처치로 봉쇄되었으나 ${\alpha}_1$-antagonists, prazosin 및 corynanth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4, d-Amphetamine 투여시 부동자세 시간은 용량에 비례하여 단축되었고, 이러한 단축효과는 yohimbine에 의하여는 길항되었으나 prazosin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5. ${\alpha}$-methyl-p-tyrosine 이나 reserpine 또는 두 약물을 동시에 전처치 하였을때 clonidine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6. Desipramine 및 imipramine 같은 항우울제를 장기처치 또는 장기간 저기충격 요법을 가한 새앙쥐에서도 clonidine의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앙쥐의 강제수영 실험에서의 부동자세 시간의 변동은 중추내 noradrenergic neuron의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시사되며 이러한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항진되는 escape-directed behavior는 자기보호를 위한 일종의 충동의 유발로 인한 행동으로 사료된다.

  • PDF

Tetrabenazine 의 Norepinephrine 승압효과(昇壓效果)의 강화작용(强化作用) (Potentiation by Tetrabenazine of Pressor Activity of Norepinephrine in Rabbits)

  • 최승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5-72
    • /
    • 1969
  • 전신마취가토(全身麻醉家兎) 및 춘체가토(春體家兎)에 tetrabenazine(40mg/kg)을 투어(投與)한 후(後) norepinephrine 및 tyramine에 대(對)한 승압반응(昇壓反應) 및 심박증가(心搏增加) 반응(反應)을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신가토(全身家兎)에서 TBZ투여(投與) 2시간(時間) 이내(以內)에는 NE에 대(對)한 승압반응(昇壓反應)은 강화(强化)되지 않았다. 2) 전신가토(全身家兎)에서 TBZ투여(投與) 5시간후(時間後)에는 NE에 대(對)한 승압반응(昇壓反應)은 강화(强化)되었으며 10시간후(時間後)에는 강화(强化)는 최고(最高)에 달(達)하였고, 24시간(時間), 48시간후(時間後)에는 점차(漸次)이 강화(强化)는 소실(消失)되었다. 3) 춘체가토(春體家兎)에서 TBZ투여(投輿) 10시간후(時間後)에는 NE에 대(對)한 승압반응(昇壓反應)은 현저(顯著)히 강화(强化)되었고 심박증가반응(心搏增加反應)도 증강(增强)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그러나 24시간 후(時間 後)에는 이러한 강화(强化)는 볼 수 없었다. 4) 전신가토(全身家兎)에서 TBZ투여(投與)로 NE승압반응(昇壓 反應)이 강화(强化)되어 있는 상태하(狀態下)에서는 desipramine으로써 더 이상 반응(以上 反應)이 증가(增加)되지 않았다. 5) 춘체가토(春體家兎)에서 TBZ투여(投與)로 NE승압반응(昇壓 反應)이 강화(强化) 되어 있는 상태하(狀態下)에서 desipramine으로써 그 반응(反應)은 더욱 증가(增加)되었다. 6) TBZ투여(投與) 2시간(時間) 및 6시간후(時間後)에 carbachol을 주사(注射)한 가토(家兎)에서는 NE에 대(對)한 승압반응(昇壓反應)의 강화(强化)는 현저(顯著)히 억제(抑制)되었다. 7) TBZ투여(投與) 10시간후(時間後), 전신가토(全身家兎)의 tyramine에 대(對)한 승압반응(昇壓反應)은 약화(弱化)되지 않았고 춘체가토(春體家兎)의 tyramine에 대(對)한 반응(反應)은 강화(强化)되었다. 8) TBZ로서 NE에 대(對)한 supersensitivity가 발생(發生)하고 tyramine에 대(對)한 반응(反應)은 약화(弱化)되지 않고 carbachol로서 NE에 대(對)한 supersensitivity가 방지(防止)되었음은, NE에 대(對)한 supersensitivity발생(發生)에 뇌내(腦內) catecholamine 감소(減少)에 따른 교감신경계(交感神經系) tone의 감소(減少)가 관계(關係)있음을 시사(示唆)하고 있다.

  • PDF

백서 뇌내 Endorphin의 일주기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urnal Variation of Endorphin in Rat Brain)

  • 정창영;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7
    • /
    • 1984
  • 실험적으로 L:D, 12:12또는 D:D, 12:12에 적응시킨 흰쥐의 간뇌에서 beta-endorphin함량의 일중변동과 이에 대한 수종 중추성 약물의 효과를 검토하고 beta-endorphin함량의 생리 및 약리학적 의의를 추구코저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D, 12:12 cycle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뇌내 beta-endorphin함량은 06 : 00시 에 최고에 달하고 18 : 00시에 최저인 대단히 유의한 일중변동을 일으켰고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은 $46.7{\pm}3.6$ fmole/mg protein 이었다. 2) D:D, 12:12에 적응시친 표본에서 beta-endorphin 함량은 대조군에서와는 달리 14 : 00시에 최고에 이르고 02 : 00시에 최저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24시간 평균 beta-endorphin함량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3) 뇌내 beta-endorphin함량 일중별동은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처리로써 변동되었다. 4) 대조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은 22 : 00시에 최고에 달하는 일중변동을 보였으며,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의 binding은 02 : 00최고, 그리고 14 : 00시에 최하에 이르는 일중변동을 보였다. 5) 대조군과 지속적인 암적응군에서 함량과 maximum $^3H-morphine$ binding간에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으로 흰쥐 뇌내 beta-endorphin함량과 수용체는 유의란 일중변동을 일으키고 opiate receptor binding의 일중변동은 beta-·endorphin함량변동에 따른 receptor regulation에 의함을 시사하며 또한 지속적인 암적응을 포함하여 수종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endorphin함량 일중변동을 변동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백서 뇌내 Opiate 수용체의 일주기 변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ircadian Rhythm of Opiate Receptor in Rat Brain)

  • 이무석;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34
    • /
    • 1984
  • 실험적으로 명암주기 또는 암주기에 적응시킨 백서의 간뇌 homogenate에서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 유무를 검토하고, circadian rhythm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종 중추작용약물의 영향을 보고 저 7 group에서 4시간 간격으로 1일 6회 maximum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 : D, 12 : 12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maximum $^3H-morphine$ binding은 22시에 최고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일중변동을 보였고, 24시간 평균 $^3H-morphine$ binding치는 $0.45{\pm}0.03\;pmole/mg Protein이었다. 2) 지속적인 암적응을 시킨 D : D, 12 :12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의 일중변동은 14시에 최하, 그리고 2시에 최고의 binding치를 보이는 만상성의 일주변동은 보였으며 대조군의 곡선과는 그 shape, Phase, 진폭, 최고 또는 최하 binding시기 및 24시간평균 opiate수용체의 수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3) 지속적인 암적응,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 처리는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켰다. 4) 그러나 전 실험군에서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 실험성적으로 백서뇌내 opiate수용체의 일중변동은 수용체의 질적변동이 아닌 수적인변동에 의하고, 지속적인 암적응이나 circadian rhythm을 변동시키는 중추성 약물들이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통을 포함하여 제종 진통제의 효과가 일중변동을 일으키는 것은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 PDF

석청포 정유의 진정 및 진통효과 (Sedative and analgesic effects of essential oil of Acorus gramineus Soland in mouse)

  • 정혜선;박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37-744
    • /
    • 1998
  • The rhizomes of the Acorus gramineus Soland have been used as sedatives, analgesics, stomachics and anthelmintics in chinese medicine. It is known that the rhizomes of the Acorus gramineus Soland contains the essential oil about 0.5~0.8% and this essential oil contains asarone about 86%. The asarone possess many pharmacological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reserpine and chlorpromazine. Sedative and analgesic effects of essential oil of Acorus gramineus Solaad in mouse was observed. The essential oil of Acorus gramineus Soland decreased the frequency of ambulation on mouse in proportion of concentration. ${\alpha}_2$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hydrochloride) and opioids receptor antagonist(naloxone hydrochloride) were markedly decreased in frequency of ambulation. The essential oil of Acorus gramineus Soland decreased writhing syndrome in mouse and ${\alpha}_2$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hydrochloride), opioids receptor antagonist(naloxone hydrochloride) were not increased above effects. In conclus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ssential oil of Acorus gramineus Soland have sedative and analgesic effects, but it did not antagonized ${\alpha}_2$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hydrochloride) and opioids receptor antagonist(naloxone hydrochloride).

  • PDF

대동맥 축착증 수술 1례 (A Case of Coarctation of the Aorta)

  • 노중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1권3호
    • /
    • pp.321-325
    • /
    • 1978
  • Coarctation of the aorta was rare condition among the congenital cardiovascular defects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coarctatlon of the aorta [postductal type], which was successfully corrected by resection and end to end anastomosis. This patient, 21 years male patient, was admitted to the medical department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headache and exertional dyspnea during 4 years, and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 of chest surgery for operation. On physical examination, blood pressures were measured on both extremity, measuring 190/100mmHg on the arm and 100/80mmHg on the leg. Systolic murmur was heard on 2nd to 3rd left intercostal space and left sternal border. On simple chest x-ray, rib notching was seer/on low border of right 3rd and left 4th rib. Final preoperative diagnosis was made by the retrograde aortic catheterization and aortography, which showed the typical configuration of postductal type of coarctation with poststenotic dilatation of the aorta. On 20th, July, 1978,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resection of coarctation of the aorta and end to end anastomosis was performed. During clamp for resection, blood pressure of upper extremity was elevated to 200/140mmHg, and controlled by Arfornad. During recovery, blood pressure over 160ramrig in systole was controlled by Reserpine for 8days postoperatively. At discharge, postoperative 8th day, brachial and femoral artery pressure was 145/85 mmHg and 135/80mmHg. After discharge, there was no evidence of specific symptoms and hypertension without antihypertensive drug.

  • PDF

측뇌실내(側腦室內) Norepinephrine의 가토심박(家兎深博) 급(及)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n intraventricular norepinephrine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of rabbits)

  • 신승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1
    • /
    • 1965
  • Effects of intraventricular norepinephrine (NE) on rabbit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investigated. 1) Blood pressure was little affected by small doses of NE (below $500{\mu}g$) but showed marked rise by 1 mg. 2) Heart rate was decreased by intraventriccular NE $(200{\sim}500{\mu}g)$. One mg of NE caused less pronounced bradycardia than with smaller doses. The bradycardia could not be observed in vagotomized or atropinized animals. 3) Intraventricular NE potentiated reflexive bradycardia produced by 5-hydroxytryptamine. 4) Cord-sectioned rabbit showed different responses; the smaller doses $(100{\sim}200{\mu}g)$ produced transitory bradycardia and depression of blood pressure, which followed by tachycardia and pressure rise. The transitory bradycardia and depressor effects were not observed in cord-sectioned and vagotomized rabbit. 5) Treatment of animals with reserpine, guanethidine and hexamethonium changed the effects of intraventricular NE on blood pressure, i.e., in these cases the smaller doses of NE caused maked elevation of blood pressure. 6) From these observations it was inferred that central NE caused stimulation of cardioinhibitory and vasomotor center. The former seemed to be more sensitive to NE than the latter. Susceptibility of the vasomotor center to NE seemed to be influenced by peripheral sympathetic t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