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Records

검색결과 3,220건 처리시간 0.034초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기능분류체계 개발 연구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System for Public Records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 설문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7-488
    • /
    • 2003
  • 조선총독부 공문서는 근대사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정보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원칙과 단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기능적 분류체계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기록물 분류의 개념과 역할 분류 원칙에 대해 살펴보고, '기능적 출처' 개념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선총독부 공문서 분류에 왜 기능분류가 적합한지를 살펴보았고, 기능분류 사례와 그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와 조선총독부 조직 및 기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원칙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개념화, 용어화, 기호화를 고려한 개발모형을 도출하였으며, 분류표와 함께 시소러스를 연계 구축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수집사료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국사편찬위원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Collecting Historical Manuscripts Management System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윤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71-387
    • /
    • 2009
  • 국사편찬위원회는 역사 연구의 자료가 되는 기록인 사료의 중심 수집기관으로 사료조사수집 활동을 통한 성과물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집사료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사료는 기록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출처주의, 계층목록과 같은 기록물관리체계를 따르지만 실제 업무흐름은 도서관업무와 유사하다. 국편이 목표로 하는 수집사료 관리시스템은 전자사료관시스템과 전자도서관시스템의 통합된 형태가 된다. 본 연구는 국사편찬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집사료 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최근 10년간(2004-2013)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 Focused on Research Papers between 2004 and 2013)

  • 최이랑
    • 기록학연구
    • /
    • 제43호
    • /
    • pp.147-177
    • /
    • 2015
  •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을 분석한 내용이다. 총 5종의 학술지에서 수집한 논문은 479편이며 키워드와 저자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고, 분석 도구는 KrKwic, Ucinet, NetDraw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기록관리, 아키비스트, 전자기록이었으며, 범용적이고 일반적인 키워드를 제외하고서는 전자기록,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학술 논문에 가장 많이 참여한 기관은 명지대, 한국외대, 중앙대, 부산대였고, 전체 기관 중 약 41%의 기관들이 대학 및 대학원이었다. 특히 명지대와 중앙대가 국내 기록관리학의 커뮤니티에서 가장 핵심 기관으로 나타났다.

특수 보존 기관의 종이 기록물 장기 보존 대책 (Long-Term Preservation Measures of Paper Records of Special Preserving Organization)

  • 신종순;이재수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9
    • /
    • 2012
  • This study is Long term preservation measure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reserving paper records, record condition evaluation, preservation measure and is conducted as follows. As for Means to Evaluate the Deterioration and Damaged Conditions of Records, research and analysis has been made on the contamination and deterioration examples such as damage, dry, stapler, metal, contamination, acidific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paper record damage types. The of Paper record is one of the key procedures to evaluate the record material and its physi-chemical status in many criteria and to suggest the best preservation method. Between 1970 and 2000, the main record materials was fine paper and OMR paper along with partly newspaper and coarse paper, whereas the main recording material was ball point pen. Overall damage and deterioration status is, for record materials between 1940 and 1960, high deterioration was found and in urgent need for preservation measure and more damages are caused by tapes, staplers and metals. As for records after 1970, there is light deterioration but needs preservation process. There are approximately 3 million records produces before 2000, and assuming that there are 30 pages per record and that 30% has been damaged or deteriorated, 27 million pages are subject to preservation process. Among damaged or deteriorated records, there are large number of records impossible to go through deacidification process so manual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ocess is necessary as well. Securing manpower having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skills as well as preservation equipment(deacidification process,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is in urgent need.

Selecting and scaling ground motion time histories according to Eurocode 8 and ASCE 7-05

  • Ergun, Mustafa;Ates, Sevket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5권2호
    • /
    • pp.129-142
    • /
    • 2013
  • Linear and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es have been becoming more common in seismic analysis and design of structures with advances in computer technology and earthquake engineer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such analyses i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acceleration time histories and matching these histories to a code design acceleration spectrum. In literature, there are three sources of acceleration time histories: artificial records, synthetic records obtained from seismological models and accelerograms recorded in real earthquakes. Because of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strong ground motion database, using and scaling real earthquake records for seismic analysis has been becoming one of the most popular research issues in earthquake engineering. In general, two methods are used for scaling actual earthquake records: scaling in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is to discuss and summarize basic methodologie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nd scaling ground motion time histories. The second is to analyze scaling results of time domain method according to ASCE 7-05 and Eurocode 8 (1998-1:2004) criteria. Differences between time domain method and frequency domain method are mentioned briefly. The time domain scaling procedure is utilized to scale the available real records obtained from near fault motions and far fault motions to match the proposed elastic design acceleration spectrum given in the Eurocode 8. Why the time domain method is preferred in this study is stated. The best fitted ground motion time histories are selected and these histor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Eurocode 8 (1998-1:2004) and ASCE 7-05 criteria. Also, characteristics of both near fault ground motions and far fault ground motions are presented by the help of figures. Hence, we can compare the effects of near fault ground motions on structures with far fault ground motions' effects.

국제 목록 동향을 반영한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KORMARC-Authority Format by Reflecting the International Trends of Authority Control)

  • 노지현;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84
    • /
    • 2014
  • 정보의 체계적인 조직과 연계를 통해 검색의 정확률과 재현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거레코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저작의 집중과 탐색을 위한 기반으로서 전거레코드는 도서관 뿐 아니라 박물관, 기록관, 미술관 등 그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우리 도서관계에서는 지난 1999년에 KORMARC- 전거통제용을 제정한 이래, 국제적인 목록 환경과 국내 도서관계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정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도서관계에서 전거레코드를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은 손에 꼽을 정도로 소수에 불과하며, 이러한 전거레코드의 부재는 검색의 효율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거제어와 관련한 국제적인 목록 동향과 이러한 동향을 대폭 수용하여 개정한 MARC21을 상세히 분석한 다음, 우리 도서관계에 적용할 KORMARC - 전거통제용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개정(안)의 도출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국내 도서관 및 VIAF의 전거레코드 분석, 도서관 실무진과의 집단면접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상담기록물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Method to Manage Counselling Records and Archives for Youth - Focused on Korea Youth Counselling and Welfare Institute -)

  • 정지나;김성환;김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1-428
    • /
    • 2017
  • 상담기록은 상담원의 기능 습득과 내담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계, 학문, 사회문화 이해의 연구 데이터로서 기능을 확대 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기록관리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해 보려한다. 이를 위해 해당 기관 문헌조사 후 이를 기반으로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도출된 문제점에 대하여 관리적 측면에서 일반 행정기록의 관리와 상담기록의 관리로 나누어 제언하고, 시스템적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주상복합아파트 거주자의 질병자료 내용 분석 (Contents Analysis on Medical Reports of High-Rise Condominium Residents)

  • 강인호;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7-6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ce stories in high-rise condominium and residents' disease patterns throughout the dweller's medical reports. Research basic data are obtained from medical fee reques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ata are limited to 'A' high-rise condominium and a medical treatment time to 3 years (2004. 1-2006, 12). Data for analysis are composed of total 346,286 medical records, 43,159 disease records, and 8,999 personal records. Data are stored by sex, age, building story, residence story, visiting year and month, treatment days, main disease type (KCD-4). Treatment number, disease type and asthma in disease records and personal records are statistically analyzed by residence story considering age. Findings are as follows: 1) Women have more medical treatments than men, 40-50 age group is more treated, and the residents of 6-25 stories are more received medical treatments. According to KCD-4,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and diseases of the eye and adnexa are relatively treated higher than other diseases. 2) The diseases of he respiratory system, the eye and adnexa, the skin and subcutaneous issue, the ear and mastoid process, and the asthma have not relation to the high-storied residence through the data of disease records and personal records. But the analysis on the data of children, age 7 and les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conclud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ce of high-stories in the condominium and residents' disease patterns, but there is a little probable to the relationship in the pre-school child.

공공기록에 대한 접근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통령기록관 주제시소러스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Public Records: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Subject Thesaurus for Presidential Archives)

  • 이해영;권용찬;성효주;유병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27-151
    • /
    • 2014
  • 기능별 분류체계나 출처 중심의 탐색은 이용자들에게 쉽지 않으며 키워드검색도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기록물명의 단순 매칭 결과만 제시하여, 이용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기록관에서는 주제 분류체계를 개발하여 기록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와 연계하여 이용자들의 검색 과정을 돕고 기록관리 업무에도 용어통제 등 도움을 줄 주제 시소러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물 건명을 형태소 분석하고, 관련 시소러스와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입력한 검색 용어 및 정보공개 청구용어 등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한 후, 주제 분류체계와의 매핑을 통해 주제시소러스를 개발한 과정을 제시한다. 또한 주제 시소러스의 업무 및 온라인 서비스에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군 기록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현황과 발전방안 - 미 육군의 아카이브즈 사례를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Regarding Online Contents Service of Army Records and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US Army's Archives Case)

  • 김용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4
    • /
    • 2018
  •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평창올림픽 개최 전까지만 해도 경색 국면이었던 남북관계가 해빙무드로 전환되어 사회 전반에 걸쳐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으나 한편으로 북한의 전통적인 화전양면(和戰兩面) 전술을 경계해야 한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공존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 드러난 대학생과 청소년층의 낮은 안보의식은 국민들의 확고한 안보의식과 국가관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국가안보의 핵심기관인 육군이 소장한 각종 기록(Army Records)을 온라인 콘텐츠로 재창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방국이자 기록관리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미 육군 아카이브즈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군 기록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