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tal Pric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주택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변화에 따른 전세/매매가격비율 변동 분석 (Analyzing Fluctuation of the Rent-Transaction price ratio under the Influence of the Housing Transaction, Jeonse Rental price)

  • 박재현;이상효;김재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20
    • /
    • 2010
  • Uncertainty in housing price fluctuation has great impact on the overall economy due to importance of housing market as both place of residence and investment target. Therefore, estimating housing market condition is a highly important task in terms of setting national policy. Primary indicator of the housing market is a ratio between rent and transaction price of housing. The research explores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Rent-Transaction price ratio, housing transaction price and jeonse rental price, using Vector Autoregressive Model, in order to demonstrate significance of shifting rent-transaction price that is subject to changes in housing transaction and housing rental market. The research applied housing transaction price index and housing rental price index as an indicator to measure transaction and rental price of housing. The price index and data for price ratio was derived from statistical data of the Kookmin Bank. The time-series data contains monthly data ranging between January 1999 and November 2009; the data was log transformed to convert to level variable.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the rising ratio between rent-transaction price of housing should be interpreted as a precursor for rise of housing transaction price, rather than judging as a mere indicator of a current trend.

VAR분석을 활용한 금융위기 이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변화 (A Study on the Seoul Apartment Jeonse Pric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n the Frame of Vecter Auto Regressive Model(VAR))

  • 김현우;이두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15-63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정책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에 가계경제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자료를 이용하여 VAR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서울의 전세가격에 미치는 가계경제변수들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소비자물가지수, 고용률, 실질GNI, 가계대출금액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단기적으로 가계경제변수들에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계경제변수들의 구조적 충격에 따른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의 상대적 기여도는 단기적으로는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자체 충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받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가계변수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가계경제를 이루는 어떤 요인들이 주택전세가격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주택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0년 공공건설임대주택 분양전환가격 산정에 대한 현황 분석 (Analysis on current status in Calculating The Price of 10-year Public Rental Housing converted into Distribution)

  • 문형수;김규용;손민재;서동균;이예찬;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5-36
    • /
    • 2020
  • In recent years, prices have risen sharply, and housing has become an object of investment.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ith publicity and the conversion of pre-sale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However,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re-sale price applied for each rental period h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from the construction cos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s an improvement measure, there is a method of applying a conversion price for 5-year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price control. Each has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we apply the most appropriate improvemen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present and future values.

  • PDF

주택 전세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ouse Rental Price and Macroeconomic Variables)

  • 김현우;진경호;이교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28-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 시장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변수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택 전세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는 거시경제변수로는 가계대출금리, 가계예금총액, 취업자 수로 분석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택 전세가격은 네 가지 거시경제변수 모두에 영향을 받으며 각각의 변수가 높아질수록 전세가격 또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주택 전세가격 안정화를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택시장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월세가격동향조사 구축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Construction of the Monthly Rent Price Survey)

  • 박진우;백성준;이기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3호
    • /
    • pp.1-21
    • /
    • 2008
  • 우리나라의 주택시장은 대부분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주택시장을 둘러싼 제반 여건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주택 임대차시장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과거 전세 위주의 임대차계약에서 보증부월세나 완전월세의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다. 그런데 매매가격이나 전세가격 관련 통계가 쏟아져 나오는 것과는 달리 월세가격에 대해서는 신뢰할 만한 통계가 거의 없다. 더욱이 우리나라 주택시장에서의 월세는 완전월 세보다 다양한 형태의 보증부월세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월세 개념을 어떻게 규정해야 할지도 불명확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주택 매매가격이나 전세가격동향지수에 상응하는 월세가격동향지수 통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우리나라 월세시장 현황을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바람직한 월세의 개념을 정립하고 월세조사를 위한 합리적인 조사방법을 마련하며, 2005년 주택총조사 결과에 기초한 표본의 설계 및 월세가격지수 산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다가구매입임대주택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외부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rnal Effect of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tal Housing to Nearby Area)

  • 김상돈;이주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9-36
    • /
    • 2008
  • The objective of 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Dagagu' housing purchase and the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on the nearby community. In the case of public rental housing,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perception that a public rental house is a low income dwelling has an external effect on the residents immediately outside the area such as the perception of the lowering of house prices. However, an advanced research concerning the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tal housing has not been carried out because it has only recently been enforced. Through a survey conduced of residents who live nearby the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tal housing the aim of his study is to show how the residents perceive the renal houses and are influenced by the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xternal effect of rental house supply by analyzing the housing price around the area. Most people who live in the near by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al housing have a negative opinion of his housing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residential prices will depreciate. However, only about 40% of the people felt that the residential price depreciation as a result of the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was not visible.

The Effect of the Reduction in the Interest Rate Due to COVID-19 on the Transaction Prices and the Rental Prices of the House

  • KIM, Ju-Hwan;LEE, Sang-Ho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8호
    • /
    • pp.31-3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uses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to predict the impact of a sharp drop in the base rate due to COVID-19 at the present time when government policies for stabilizing house prices are in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house policy by predicting changes in house transaction prices and house rental prices after a sharp cut in the base rat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RIMA intervention model can build a model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with just one time series. Therefore, it is a time-series analysis method frequently used for short-term prediction. After the subprime mortgage, which had shock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April 2007, the bank's interest rate in 2020 is set at a time point close to zero at 0.75%. After that, the model was estimated using the interest rate fluctuations for the Bank of Korea base interest rate, the house transaction price index, and the house rental price index as event variables. Results: In predicting the change in house transaction price due to interest rate intervention, the house transaction price index due to the fall in interest rates was predicted to change after 3 months. As a result, it was 102.47 in April 2020, 102.87 in May 2020, and 103.21 in June 2020. It was expected to rise in the short term. In forecasting the change in house rental price due to interest rate intervention, the house rental price index due to the drop in interest rate was predicted to change after 3 months. As a result, it was 97.76 in April 2020, 97.85 in May 2020, and 97.97 in June 2020. It was expected to rise in the short term. Conclusions: If low interest rates continue to stimulate the contracted economy caused by COVID-19, it seems that there is ample room for house transaction and rental prices to rise amid low growth.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house price due to the low interest rate situation,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suppress speculative demand.

수도권 보금자리주택 대상계층의 지불가능성 분석: 공공분양, 10년임대, 분납임대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ffordability of Bogeumzari Housing in Metropolitan Area: Focused on Public Sales Housing, 10-Year Rental Housing, and Shared-ownership Housing)

  • 최은희;김옥연;이종권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61-370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상계층을 설정하고 유형별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보금자리주택을 평가해 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수도권 보금자리지구가 지정되고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발표되면서, 정책대상계층의 접근성에 대한 논의가 불거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등장한 여러 논의 중에서 두 가지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주변시세애 비해 과도하게 낮게 책정된 분양가 혹은 임대료로 인해 청약에 당첨된 입주자에게 역시 과도한 개발이익 수혜가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게 낮게 책정된 분양가 혹은 임대료라고 하더라도 일부 지역의 경우 주변 시세가 워낙 높아, 저소득층이나 무주택 서민인 정책대상계층이 접근하는 것이 쉬울 것인가 하는 것이다. 두 가지 논의는 완전히 다른 것 같으면서도 다르지 않다. 상대적인 가격에서는 우위를 점하지만, 절대적인 가격에서는 여전히 낮지 않다고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논의에 착안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보금자리주택은 저소득층을 위한 장기공공임대주택(국민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 등) 뿐 아니라 공공분양주택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10년임대주택과 분납임대주택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 이 세 가지 유형에 대해 정책대상계층의 지불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형별, 지역별, 면적별 지불가능성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기존의 논의에 대한 의문을 어느 정도 해결해 보려고 했으며, 향후 공공주택 공급 프로그램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오피스 임대료 하락기 및 상승기의 임대료 결정모형 회귀모수의 변화 - 서울시 강남과 도심권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ffice Rental Cycle and Time-Varying Regression Parameters of Rental Determinants in Hedonic Price Model)

  • 최종근;김서경
    • 지역연구
    • /
    • 제34권1호
    • /
    • pp.3-17
    • /
    • 2018
  • 본 논문은 임대료시장의 주기변화에 따른 헤도닉 모형의 임대료 결정요인의 영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임대료지수를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금융위기가 전환점이 되어 서울시 임대료 시장이 하락기와 상승기로 구분됨을 밝혔으며 주기에 따른 헤도닉 모형의 특성변수의 회귀모수 변화를 고찰하였다. 분석은 강남오피스와 도심오피스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권역에 상관없이 일관된 변화를 보인 개별회귀모수로서는 토지가격, 지하철역에서의 거리, 건물규모, 건물연한 및 전환이율로 밝혀졌다. 상승기에는 건물의 규모가 클수록 임대료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건물이 오래될수록 임대료 하락요인으로의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이율 역시 임대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승기에 높아짐을 보여준다. 토지가격의 영향은 줄어들고 교통편의성의 장점은 약해지고 있어 상승기에는 지리적 이점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건물 특성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주택 전월세시장 패러다임변화와 정책 제언 (A Study on Political Correspondence for Paradigm Change of Housing Chonsei and Monthly Rent Market)

  • 박상학;권치흥;김경미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4호
    • /
    • pp.195-213
    • /
    • 2015
  • 전세수급 불균형 및 그에 따른 전세가격 상승,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비중이 줄고 보증부 월세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는 등 주택 임대차시장 패러다임의 일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12월 임차인(일반임차인, LH임대주택 임차인), 임대인, 공인중개인 등 시장참가자를 지역, 거주 유형별로 1,150여 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시장참여자 모두 전세에서 월세로의 구조변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전세가격 상승 이유는 임차인, 임대인, 중개인 모두 집주인의 월세 선호와 전세물량 부족을 응답하였다. 주거안정 및 전세가격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는 임차인, 임대인, 중개인 모두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이 외에 민간임대주택 활성화, 전세금 대출제도 확대, 임대료 보조지원 등을 지목하였다. 고소득층의 전월세시장에 대해 공공이 지나친 개입하기 보다는 시장의 자율성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시장원리에 맡기기보다는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공급확대를 통하여 중장기적으로 전월세 시장을 안정을 기하는 방안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