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gious Maturit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hurch Education for the Elderly's Religious Maturity)

  • 박은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77-1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된 한국교회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종교적 성숙의 과제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인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해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교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노인교육의 방향과 과제가 종교적 성숙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인간 삶의 여러 영역에서 종교적 성숙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종교적 성숙의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성서적 및 신학적 성숙의 개념과 종교심리학적 성숙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종교적 성숙에 있어서 중요한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하나님 이미지 개념과 성숙한 인간 삶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노인의 종교적 성숙을 위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맺도록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 형성 및 개발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을 지적, 정서적, 행위적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지적인 차원의 교육으로 성서적 및 신학적 하나님 개념을 교육하는 것과 지속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으며 성장과 성숙이 필요한 존재로 노인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정서적 차원의 교육으로 노인들의 하나님 이미지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한 성찰 및 확인하도록 교육할 것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 치유하기 위한 교육 상담적 접근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행위적 차원의 교육으로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에 있어서 부모와 조부모의 역할에 대해 교육할 것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으로 나타나도록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기독교인 영아교사의 신앙성숙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노동,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 김정희;정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69-1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3 Christian teachers of early-child classes who work in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do province.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ffective and volitional factors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verall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 affective factor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utward behavior, which is the lower variable of emotional work, and a positive influence on inner behavior. Third, the volitional factor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ption of self-emotions,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emotional application,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intelligence overall.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연구 (A Influence Effect of Mid-life Religious Life and Faith Maturity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 정진오;변상해;김종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88
    • /
    • 2009
  • 본 연구는 인생의 봄은 지나고 인생의 가을을 맞이하는 중년기부부관계는 결혼 전의 영향도 있지만 결혼 후에 발생하는 갈등요인이 더 많이 있다. 이유는 부부 사이의 태도와 안정되고 적절한 수입 그리고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이 부부생활만족과의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C. G. Jung은 인생의 전반기를 자기확산기로, 후반기는 자기수렴기로 구분하였는데, 자기 확산기에는 외부적.물질적 자아에 몰두하는 반면, 자기 수렴기에는 종교적 철학적 직관적 정신세계에 몰두해야만 인생전체가 균형과 통합을 이루는 중년기로 보았다. 이는 중년기의 발달과 심리적 위기를 잘 극복하고 보내면 노년기를 행복하게 맞는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정의와 중년기의 발달특성, 중년기에서의 종교와 종교에서의 부부관계와 중년기 부부변화가 무엇인가를 연구한 후 종교에 대한 이해를 중점으로 중년기부부 생활만족도에 대한 이론들을 문헌연구로 제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변인들이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내에 있는 35세 부터 60세 까지의 중년기를 연구대상으로, 2009년 3월 25일 부터 4월30일 까지 400명에게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그리고 부부생활만족도 등을 설문하고 통계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서 신앙성숙도의 봉사, 관계, 영성은 종교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영성적, 개인적, 공식적종교 활동은 신앙성숙도에 영향이 있음을 말한다. 둘째,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종교 활동(t=31.36, p<.001)이 신앙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과 종교활동(t=33.81, p<.001)이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그리고 신앙성숙도(t=28.64, p<.001)가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말한다. 셋째,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생활만족도에 대해서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사이에 주요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교 활동(F=15.95, p<.001)과 신앙성숙도(F=23.94, p<.001)는 부부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 사이에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기독교인의 코로나19 건강예방행위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Christians' COVID-19 Health Prevention Behavior)

  • 방설영;제남주;박미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2_2호
    • /
    • pp.293-30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Christians' COVID-19 preventive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2 adult Christians, and the data collected were using SPSS 25.0 and AMOS 21.0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religious maturity level was 4.21 ± .55 points out of 5 points, COVID-19 stress was 2.86 ± .73 points out of 5 points, optimism bias was 2.94 ± 1.26 points out of 7 points, and COVID-19 preventive health behavior was 4 points. The total score was 3. 54 ± . 44 point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ject's religious maturity, COVID-19 stress, optimistic bias, and COVID-19 preventive health behaviors, COVID-19 preventive health behaviors were faith maturity (r=.156, p=.012), COVID-19 stress (r=.21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ptimism bias (r=174, p=.005).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religious maturity, the higher the COVID-19 stress, and the higher the optimistic bias, the better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COVID-1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overall model was 9.4%. In the post-COVID-19 era,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promote health in the community.

표층과 심층의 시각에서 바라본 대순진리회 - 종교적 경험의 관점에서 - (Daesoonjinrihoe from both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 Focused on Religious Experience)

  • 이은희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245-282
    • /
    • 2016
  • 지금 전 세계에는 자기 안의 신성을 되찾고자 하는 영성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종교 갈등은 진행 중이다. 테러 사건, 종교 간의 분쟁 등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등 오히려 더 규모가 커지고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다. 종교 간의 화합은 더욱 요원해 보인다. 종교 간 갈등의 근본 원인은 무엇일까? 종교공동체 사이에 소통한다는 것이 이토록 어려운가? 비록 문화가 다르고 교리적 의례적 표현은 다르지만 어느 종교이든 핵심적인 부분인 심층을 들여다보면 대체로 종교 상호 간에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통점을 찾고 차이점을 인정할 때 서로 배움의 자세가 되어 소통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다면 종교 간의 공통점으로 무엇이 있을까? 많은 학자들은 각 종교의 신비주의에서 말하는 '하나됨'의 경지를 주장한다. 이 하나됨의 경지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성숙시키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의 궁극적 도달점인 것이다. 이 도달점에 이르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깨달음의 종교가 심층종교라고 할 수 있다. 표층종교가 기복적이고 무조건적인 믿음을 강조하는 것이라면 심층종교는 내 안의 신성(神聖), 참나, 큰나를 깨닫는 것을 강조하는 종교이다. 표층종교와 심층종교라는 것은 비교종교학자인 오강남 교수가 편의상 분류한 용어로, 이 잣대는 상대적 개념이며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러나 표층·심층종교의 개념은 종교생활이나 종교성의 발달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종교에 대한 논의를 보다 분명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층·심층의 분류를 이러한 의미에서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고자 한다. 필자는 표층·심층의 용어를 빌리되 여러 학자들의 분류를 참조하여 재고찰해 보고, 이 시각을 종교적 경험과 연결해 보고자 한다. 종교성의 발달 즉 신앙의 성숙은, 진리에 대한 깊이 있는 깨달음은, 개방적이고 공감하는 태도는 어떻게 가능할까? 대부분의 많은 학자들은 '종교적 경험'을 꼽는다. 종교적 경험을 통해 기복적이고 자기중심적이고 표층적인 믿음에서 좀 더 성숙한 신앙으로, 계속되는 깨달음과 그 실천으로 더욱더 깊은 신앙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사에는 표층종교와 심층종교의 측면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역대 종교에 대한 비판의 소리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표층과 심층의 시각으로 대순진리회 수도인들의 종교적 경험 수기 몇 가지를 분석하여, 표층에서 심층으로의 종교성의 발달이 종교적 경험을 통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 특성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Strength and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 양남희;홍은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43-157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1, 2, 3학년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3일-11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00부를 배부하여 부실자료를 제외한 858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아홉 가지 가족건강성 하위영역 중 가족에 대한 존중이 3.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감사와 애정정서, 가족 간 문제해결능력, 가족 경제적 안정, 역할의 충실도, 유대의식, 긍정적 의사소통과 가치관목표공유의 순이었고, 사회와의 유대의식은 2.90으로 가장 낮았다. 총 가족건강성은 3.36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관여성이 3.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성향성, 독립성, 타협성의 순이었으며, 결정성이 2,75로 가장 낮았다. 총 진로성숙도 점수는 3.05이었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여학생이, 인문계고교 학생이, 부모와 본인 종교가 있을 경우, 부모의 학력이 대체로 높은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은 초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길수록,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친조부모와 외조부와는 비동거시,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어머니나 본인의 종교가 없거나 불교인 학생이, 부모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이 초혼이거나 재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중간 이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11년-30년 사이인 경우, 부모와 동거하는 학생이, 친조모와 외조부와 동거하지 않는 학생이,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가 하위영역에서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지만 가족건강성은 총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어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관여성과 성향성에서 그 효과는 더욱 명백하였다. 반면 조사대상 학생의 평균점수가 중간점수 미만이었던 결정성과 타협성은 가족건강성이 낮은 학생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독립성은 가족건강성이 높은 학생이 가장 낮았고 가족건강성이 중간인 학생이 가장 높았다.

  • PDF

한국과 캐나다 거주 한국 노인의 심리사회적 성숙경험에 관한 연구 (A Content Analysis of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Elderly Korean Residents in Korea and Canada)

  • 안정신;정여진;정영숙;문정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3-334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cultural differneces in psychosocial maturity experiences between collectivistic and individualistic cultures.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were assessed to explore psychosocial maturity experience of elderly Korean residents in Korea and Canada who were psychosocially well develop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diver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elderly Korean residents between the two cultures. First, psychosocially mature elderly residents in both cultures showed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meaning. Second,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 most important and satisfying relationship was the spousal relationship for both cultures, an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ere satisfying.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ultures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Third, psychosocially mature elderly residents in both cultures reported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mature aging as a social dimension. Elderly residents in Korea regarded mature aging as a relationship oriented phenomenon, whereas those in Canada reported social attitudes toward mature aging. In addition, elderly residents in both cultures reported greed and harm to others as immature aging. Elderly residents in Korea regarded relational discord as immature aging, whereas those in Canada regarded it as demanding adult treatment from future generation. In terms of transcendence, adjustment was reported as living by going with the flow. Elderly residents in Korea reported adjustment based on fatalism, whereas those in Canada showed some religious meaning. Finally, psychosocially mature elderly residents showed a positive view, acceptance and life integration.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fferences.

일개 대학교 신입생과 예비졸업생의 우울수준과 그 관련요인 - 영적안녕과 신앙성숙도를 중심으로 (Depressive Symptom and Its Associates in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 Focus on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 김태규;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8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between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and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ir depressive symptom. Methods: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335 college students during June to July, 2010.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depressive symptom was $17.55{\pm}11.24$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26.5% in college freshmen. And those in college seniors were $14.18{\pm}14.17$ and 17.4%.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freshmen than in seniors. The depressive symptom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faith maturity.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on depression in college freshmen includ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ge, and confidence of salvation ($R^2$=49.7%). And those in college seniors includ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R^2$=53.3%). Conclusion: The counseling program and spirituality development program for preventing depression considering these affecting factors for especially college freshmen are necessary.

목회용 서번트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SLS-P (Servant Leadership Scale-Pastoral version))

  • 석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58-66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측정도구로 서번트리더십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독교 전통과 목회장면에 나타난 서번트리더십을 분석하고, 서번트리더십 측정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문항을 바탕으로 366명의 크리스챤을 표집하여 척도 타당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약 및 신약성경의 전통 속에 나타는 서번트 리더십의 특징을 분석한 후, 예수 모델을 통해 서번트리더십의 지향점을 모색하였다. 둘째, 목회용 서번트리더십의 구성요인으로 '나눔', '섬김', '돌봄', '낮춤', '이끔'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최종 23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타당도가 검증된 본 목회용 서번트리더십 척도는 목회장면에서 수행하는 서번트리더십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사회적 지지가 소년원 내 남자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and Self-reliance of Inmates of a Juvenile Reformatory)

  • 김나영;배임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233-2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 내 남자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 성숙과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소년원을 대표하는 S소년원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15부의 응답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22.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R^2=.411$,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친구 지지와 종교인 지지가 진로 성숙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R^2=.520$, p<.001로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종속변수인 친구 지지, 가족 지지가 자립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 제언으로는, 유의미한 변수인 친구 지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집단활동, 상담 등의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체계의 마련을 위해 소년원 주변 지역사회 내의 자원 발굴 및 연계, 효과적인 사회적 지지 제공을 위한 교육이나 관련 단체 설립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