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Market Intensit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Market of Imported Medical Devices in Myanmar

  • Bae, Hong Kyun
    • 무역상무연구
    • /
    • 제64권
    • /
    • pp.213-237
    • /
    • 2014
  • The medical-device market of Myanmar in the recent Asian region is where the influences of Thailand, China, India and Singapore are being shown considerably with the lift-up of economic sanctions by America and the West. However, although the global capital and liberalization have widened the openness and the international concerns, the relative Myanmar's medical environment demands an active assistance and improvement. The stud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edical-Devices and their market conditions emerging as key business for knowledge-based industry, aims to obtain consequential meaningful suggestions, pursuant to relative export-concentration and sustainable market growth of Medical Devices, by analyzing inter-nation trade intensity for key Medical Device items. To do so, this study selected 8 nations in total by reviewing three points: core Medicine-advanced countries, geographically adjacent countries to Myanmar, and relative export-concentration.

  • PDF

한.미.중 의료기기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Medical Devices in Korea, U.S., and China)

  • 배홍균
    • 무역상무연구
    • /
    • 제59권
    • /
    • pp.181-205
    • /
    • 2013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international trade flow of medical devices in Korea, China, and U.S. more theoretical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a mutual connection of the medical device export structure of Korea and the import structure of China and U.S. organically, with an intensity approach on the bilateral international trade flow. Also, it is meaningful to find a solution to boost exports of Korea to China and U.S..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medical device market in China and U.S., which is the main competition for Korea and its market, and look into the trade situation of these three countries. We also look into the relative market stream and the trade intensity of the main medical devices in Korea, China and U.S., and seek measures for the steady growth of the medical device market in these three countries.

  • PDF

한.중.일 의료기기 무역분석 (Analysis on international trade flow of medical devices in Korea, China, and Japan)

  • 배홍균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131-152
    • /
    • 2012
  • 본 연구는 2국간 의료기기무역흐름(international trade flow)에 관한 무역결합도이론(Intensity Approach)을 통해 우리나라의 의료기기수출구조(export structure)와 중국과 일본의 수입구조(import structure)를 상호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한 중 일 의료기기 무역의 흐름을 보다 이론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의 대중국과 일본의 의료기기 수출증대(boost exports)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의료기기(medical device) 시장에서 주요한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과 일본의료기기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특별히 의료기기의 한 중 일 무역현황(situation of trade)을 살펴본다. 이어서 삼국의 의료기기에 있어서 상대적인 시장흐름(market stream)과 주요 의료기기 품목의 무역결합도(trade intensity)를 알아보고, 한 중 일 의료기기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방안을 찾고자 한다.

  • PDF

한ㆍ일 수산물 수출입 경쟁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Fishery Products Export & Import between Korea and Japan)

  • 최정윤;김정봉
    • 수산경영론집
    • /
    • 제34권2호
    • /
    • pp.141-164
    • /
    • 2003
  • This study analysis the market status and competitive structure of Korean fishery in Japan import market,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seeking main causes. Specifically', trade state between Korea and Japan is discovered and theoretical model is also used to analysis competitiveness between two countries. And then real measuring methods of competitive index is Introduced, the status of Korean fishery products in Japan import market is analysed totally through the study of comparative predominance and export competition.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RCA, RMI, and CMS. In summary, first, Korean fishery products have the comparative predominance in Japan, China and Thailand, but they have the comparative inferiority in USA, considering research results. Second, competitiveness of fishery products between Korea and in Japan import market extreme, relatively, competitiveness of Korean fishery products for Thailand's fishery products is lowest. Third, Korean fishery products maintain unconstant pattern, but competitive inputs result in increasing export to Japan generally.

  • PDF

국제금융위기 이후의 코스닥 상장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비에 대한 실증적 심층분석 (Further Empirical Analysis on Corporate R&D Intensity for KOSDAQ Listed SMEs in the Era of the Post Global Economic Crisis)

  • 김한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48-258
    • /
    • 2021
  • 본 논문은 국내 자본시장에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인 측면에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에 대한 재무적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이다. 최근 국내에 수입되는 핵심 부품 및 재료 등에 대한 다른 국가(들)의 전례없는 제한과 관련된 경제 상황을 감안하여, 국내 중소기업들도 규모와 범위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연구개발비 투자를 통한 대체재 개발문제에 당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개발비 투자가 대기업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미약하다고 판단되는 코스닥 상장 중소기업들을 표본자료로 선정하였고, 연구기간은 국제금융위기 이후의 기간 (2010넌~2018년)으로 설정되었다. 패널자료모형이 활용되었고, 토빗모형과 단계적회귀분석모형도 응용되었다. 상대적인 분석으로서 로짓, 프로빗, 보충적 로그-로그모형 등이 활용되었다. 전년도 연구개발비 지출 변수, 그리고 동 변수와 고부가가치 산업 간의 교호작용, 기업 규모 그리고 성장성 등이 연구개발비 비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전체 설명변수들 중, 대다수의 변수들이 비교 연도들 (즉, 2011년과 2018년)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표본기업들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매출액 변화로 실현되기 위한 시간적 차이가 통계적으로 존재함이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향후 국내 중소기업들의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최적의 연구개발비 수준에 대한 분석에서도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업내.외부 환경요인과 수출지원정책 활용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수출기업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Internal or Exterior Factors and Utilization of Export Assistance Programs on Export Performance - with reference to Korean Small-Medium Exporters -)

  • 김영일
    • 통상정보연구
    • /
    • 제12권1호
    • /
    • pp.299-32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an index to usage of export assistance programs for korean small-medium exporters. Build around the index make an analysis of SMEs internal or exterior factors have an effect on export at present or in future export performanc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Based on 128 surveys form korean SMEs experienced export assistance programs, 8 hypotheses, which are set up each factor, were verified through the practical analysis. The main result of hypothesis drawn by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 The more SMEs use the programs, the more high export performance at present and in future. Export competitive factor reject at present export performance, but it will affect future export performance. A size of the firm in the characteristics of SEMs will affect export performance. Export rate of own brand will not affect performance. Another factors show adoption partly concerned hypothesis. Classified exterior factors of SMEs, a intensity of market competition shows adoption partly concerned hypothesis. Market growth rate will affect export performance at present and future strongly. Finally the usage of assistance programs will affect between a consumption goods and an industrial goods differently. From this study we found if we want to develop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 that can actually in phases help the SEMs.

  • PDF

국내 대형 그룹사 IT수준 및 계열 IT서비스사 경영 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 연구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evancy between the IT competency of the Group Enterprises, and the IT Service Firms' Management Performance)

  • 안연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9-1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계열 IT서비스 기업을 갖는 국내 대형 그룹사의 IT수준과 IT서비스 기업의 성과에 대한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24개 IT서비스 기업과 관련 그룹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관련 가설을 수립하여 집단간 차이분석(t-test)을 통해서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IT서비스사의 SM 매출과 대내 매출, 대내 서비스 역량 및 종합 서비스 역량 그리고 그룹사 자체의 매출액 및 IT 서비스 신규투자 규모가 고객 그룹사의 IT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 그룹사의 매출, IT서비스 기업의 대내 및 SM 매출이 높은 집단에서 IT서비스 기업의 매출액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외 사업 비중 및 SI 사업 비중이 낮은 집단과, 대내 사업 비중 및 SM 사업 비중이 높은 집단에서 IT 서비스 기업의 서비스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부산지역 섬유·패션기업의 공간근접성에 따른 효율성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Technical Efficiency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Closeness in Apparel Textile Industry of Busan)

  • 주수현;이선영;김영재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341-365
    • /
    • 2008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섬유 패션산업의 종사자 및 부가가치액 기준 비중과 특화도(LQ)를 분석하여 현황과 위상 및 중요도를 제시하였으며, DEA모형을 이용하여 섬유 패션기업의 효율성을 공간근접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공간근접성에 따른 분석기준인 소비시장 근접성과 공급업체 근접성 그리고 생활기반 근접성 및 클러스터 근접성 등 특성별 효율성 값을 제시하여 섬유 패션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부산지역의 섬유 패션산업은 제조업내 비중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지역의 핵심산업이며, 특화도가 1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부산지역 섬유 패션산업의 기업효율성을 소비시장에 근접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전체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의 효율성 모두에서 소비시장에 근접한 그룹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공급업체 근접성으로 구분한 경우에도 공급업체에 근접한 업체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소비시장에 근접한 그룹이 공급업체에 근접한 그룹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게 나타나 원자재 및 부품 공급업체에 근접하여 입지하기 보다는 주요고객업체 및 시장에 근접하여 입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주거, 교육, 문화 등의 생활환경 및 기반시설이 양호하고, 연구기관, 대학 등과의 기술협력 및 인력교류가 활발한 업체가 그렇지 못한 업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 자본시장에서의 재벌 계열사들의 연구개발비 비중에 대한 재무적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es on the Financial Profile of Korean Chaebols in Corporate Research & Development Intensity)

  • 김한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32-241
    • /
    • 2019
  • 본 연구는 현대 재무관리 이론 상 전형적인 주제로서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는 국내 재벌그룹 소속 계열사들의 연구개발비 비중에 대한 재무적 결정요인들에 대한 분석이다. 실증 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의 강건성 제고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증적 모형들이 응용되었다. 절대적 추정방법으로서 정적인 패널자료 모형, 토빗 모형 그리고 단계적 회귀 모형 등이 활용되었고, 상대적인 추정방법으로서 로짓, 프로빗 그리고 보완적 로그-로그 모형 등이 재벌소속 계열사와 그에 대한 상대 표본인 비재벌소속 계열사들의 재무적 결정요인의 차별성 규명을 위하여 응용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와 관련, 전년도의 연구개발비 비중, 시장가치 기준의 부채비율 그리고 기업규모 등이 첫 번째 가설에서 표본기업들의 연구개발비 비중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재무적 결정요인으로서 판명되었으며, 후자의 상대적 추정모형 분석에서는 총 11개의 설명변수들 중, 대다수의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정되었다. 최근 국내 자본시장에서 요구하는 재벌기업들의 사회-경제적 기능면에서의 점진적 변화 가능성을 전제하여, 본 연구 결과는 재벌소속 계열사들의 적정 연구개발비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선행요인들의 재무적 분석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 KOSPI 상장기업들의 연구개발비 관련 재무적 요인 심층분석 (Further Examinations on the Financial Aspects of R&D Expenditure For Firms Listed on the KOSPI Stock Market)

  • 김한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46-45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재무 분야 중 국내 유가증권 시장 상장기업의 연구개발비에 관한 2가지 가설이 수립, 검정되었다. 기업의 목표인 이윤 극대화라는 관점에서, 동 연구개발비의 최적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실무적으로도 중필수적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의 첫 번째 가설에서는 국제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부터 2015년의 표본기간 동안, 국내 KOSPI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표본 대상으로 동 연구개발비 지출에 관한 재무적 결정요인들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와 관련된 두 번째 가설 검정에서는 동 표본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상대적 고성장산업과 저성장산업 그룹으로 2분화하여 양 그룹 간의 재무적 차이점에 대한 재무적 결정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동 가설검정 결과와 관련하여, 전기의 연구개발비 비율, 산업더비변수와 전기의 연구개발비 간의 교차효과, 그리고 광고비 등 3가징 요인들이 (당기의) 연구개발비 (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들로서 판명되었다. 또한, 고성장산업 소속 KOSPI 상장기업들은 비교그룹인 저성장산업 소속의 기업들과 비교하여, 전기의 연구개발비 비율, 수익성, 그리고 외국인 지분율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실증적으로 분석되었고, 반면에, 후자인 저성장산업 소속 기업들은 시장가치 기준의 부채비율과 광고비 등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업 경영의 목표인 주주의 부의 극대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인, 연구개발비의 최적 수준을 규명하기 위한 측면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