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ression Rate

검색결과 3,810건 처리시간 0.025초

하이브리드 로켓에서의 고체연료의 국부 후퇴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Regression Rate of Solid Fuel in Hybrid Rocket)

  • 김수종;이정표;김기훈;조정태;김학철;우경진;문희장;성홍계;김진곤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6
    • /
    • 2008
  • In generally, the regression rate was expressed with average value and oxidizer mass flux in hybrid propulsion system. This can not represent the local value of regression rate along with oxidizer flow direction. In this study,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with Separation method and Cutting method for measure local regression rate. In axial injection, the local regression rate decreases rapidly with axial location near entrance and increases with axial direction from the leading edge and the empirical formula for local regression rate with function of oxidizer mass flux and location was derived. Swirl injection regression rate has higher value at the leading edge of the fuel and comparatively uniform regression rate at the downstream. Overall regression rate of swirl injection is higher increased about 54 % than regression rate of axial injection.

  • PDF

The Experiments for the Enhancement of Regression Rate of Hybrid Rocket Fuel

  • Shin Kyung-Hoon;Lee Changjin;Yu Yung H.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939-1949
    • /
    • 2005
  •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crease regression rate of solid fuel in hybrid rocket. One of them resorts to swirl flow since it can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oxidizer in the fuel grain. Also, metal wires may lead to increase the regression rate of solid fuel as shown in solid propellants. In this study, a series of experiments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regression rate of solid fuel by embedded metal wires and by fuel port grain. And fuel port was designed with a helical configuration to attempt to induce swirl flow. PMMA with gaseous oxygen is the solid fuel used for investig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embedded metal wires turned out to be ineffective method because only $3-4\%$ increases in regression rate were observed. However, fuel port grain configuration yields higher burning performance of up to $50\%$ increase in regression rate. Also pitch number as well as total impulse was found to be a design variable.

스월 인젝션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연료 국부 후퇴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Regression Rate of Solid Fuel in Swirl Injection Hybrid Rocket)

  • 김수종;이정표;김기훈;조정태;문희장;성홍계;김진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7-81
    • /
    • 2008
  • 스월 인젝션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연료에서 축 방향 국부 후퇴율 거동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축 인젝션 후퇴율은 연료 그레인 축 위치가 입구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반해 스월 인젝션 후퇴율은 연료 입구부에서 높고, 하류에서는 비교적 균일한 후퇴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전체 후퇴율은 스월 인젝션의 경우가 축 인젝션의 경우에 비해 54%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형 사운딩 로켓에서 스월 인젝터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선회류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 연료 후퇴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olid Fuel Regression Rate of Swirl Hybrid Rocket)

  • 박종원;박주혁;이충원;윤명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3-56
    • /
    • 2005
  • 하이브리드 로켓은 기존의 고체, 액체 로켓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회류 하이브리드 로켓을 설계 및 제작하여 regression rate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산화제 선회강도의 변화에 따라 연소실 압력을 측정하여 추력을 계산하였으며, 연소과정의 가시화를 통해 근사적 regression rate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로켓 시험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도 제시하였다.

  • PDF

선회류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 연료 후퇴율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wirl Flow on Solid Fuel Regression Rate of Hybrid Rocket)

  • 박종원;박주혁;이충원;윤명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11-317
    • /
    • 2005
  • 하이브리드 로켓은 기존의 고체, 액체 로켓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회류 하이브리드 로켓을 설계 및 제작하여 regression rate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산화제 선회강도의 변화에 따라 연소실 압력을 측정하여 추력을 계산하였으며, 연소과정의 가시화를 통해 근사적 regression rate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로켓 시험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도 제시하였다.

  • PDF

Factors Related to Regional Variation in the High-risk Drinking Rate in Korea: Using Quantile Regression

  • Kim, Eun-Su;Nam, Hae-S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2호
    • /
    • pp.145-152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in the high-risk drinking rate among yearly alcohol users in Korea and to identify relevant regional factors for each quintile using quantile regression. Methods: Data from 227 counties surveyed by the 2017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were analyzed. The analysis dataset included secondary data extract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data from the KCHS. To identify regional factors related to the high-risk drinking rate among yearly alcohol users, quantile regression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data into 10%, 30%, 50%, 70%, and 90% quantil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also performed. Results: The current smoking rate, perceived stress rate, crude divorce rate, and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s well as one's social network, were related to the high-risk drinking rate among yearly alcohol users. The quanti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perceived stress rate was related to all quantiles except for the 90% quantile, and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e was related to the 50% to 90% quantiles. The crude divorce rate was related to the high-risk drinking rate among yearly alcohol users in all quantile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cal health programs for high-risk drinking are needed in areas with high local stress and high crude divorce rate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Regression rate On Hybrid Rocket Engine

  • Park, J. W.;S. Krishnan;Lee, C. W.;M. W. Yoon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24-527
    • /
    • 2004
  • Hybrid rocket had many advantage with compared to solid and liquid rockets. However, the engines have not yet been used in practical rocket systems, due mainly to the disadvantage of hybrid combustion, such as low fuel regression rate. In this study, lab-scale hybrid moto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he methods of regression rate improvement were considered. Test firings with thrusts up to 300 N were conducted with GOX and transparent PMMA. Thrust was calculated with the press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gression rate was measured in with variation of oxidizer flow rate. The regression rates showed a strong dependency on GOX mass flux. The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of the bulk-mode oscillation of motor was applied to a hybrid rocket motor and wa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is frequency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chamber volume. Several problems and solutions of operating hybrid rocket were presented.

  • PDF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현상 연구 (Study on the Combustion of the Hybrid Rocket)

  • 박종원;;이충원;윤명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1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130
    • /
    • 2003
  • 하이브리드 로켓은 기존의 고체, 액체 로켓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b-scale의 하이브리드 모터를 설계 및 제작하여 regression rate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산화제 유량의 변화에 따라 연소실 압력을 측정하여 추력을 계산하였으며, 연소과정의 가시화를 통해 근사적 regression rate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로켓 시험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방안도 제시하였다.

  • PDF

스월 유동과 나선형 그레인에 의한 하이브리드 로켓 연료의 연소율 향상 (The increase in the regression rate of hybrid rocket fuel by swirl flow and helical grain configuration)

  • 황영춘;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3-69
    • /
    • 2006
  • 하이브리드 로켓 연료의 연소율 향상을 위해서 스월 유동을 이용한 방법과 나선형 그레인 방법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연소율 증가에 대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월 유동을 적용하기 위해서 두 가지의 인젝터를 사용하였으며 스월 수 3.61인 인젝터를(Type II) 사용할 때 더 높은 연소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 가지 인젝터 모두에서 공통으로 연료 앞부분에서 연소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나선형 그레인에 의한 연소율 증가를 실험하기 위하여 피치 6과 피치 100인 두 종류 연료를 사용하였다. 스월 유동이 없는 인젝터를 사용할 경우 피치 6 그레인에서는 강한 난류의 발생에 따른 연소율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월 인젝터와 나선형 그레인을 동시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Type II 인젝터와 피치 100 그레인를 적용할 경우에 가장 높은 연소율 증가를 이루었다. 이것은 인젝터에서 발생한 스월 유동이 나선형 그레인을 통해 연료의 출구까지 유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산화제 유입조건에 따른 하이브리드 로켓 연료의 연소율 향상 (Enhancement of Regression Rate of Hybrid Rocket Fuel by Oxidizer Injection Condition)

  • 황영춘;이창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6-7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모터의 연소율 증진을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첫째로, 산화제 유입 시에 스월 유동을 적용하여 연소율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산화제 스월 인젝터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둘째로 연소 면적 증대와 스월 유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나사산 형상의 연료 그레인을 제작하여 연구하였으며 PMMA 고체 연료와 기체 산소가 사용하였다. 이전에 진행되었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각 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