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등록문화재 전차381호의 도료 분석 (Analysis of Paint used in Streetcar No. 381 of Registered Culture Property)

  • 김수철;박민수;서정훈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7-283
    • /
    • 2012
  • 본 연구는 전차381호(등록문화재 제467호)의 페인트 시료에서 근현대 도료의 특성을 밝히고자 현미경적 관찰 및 적외선 분광분석,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미경 관찰에서 상부와 하부 페인트는 각각 26층, 29층의 도색 층위를 이루고 있고 두꺼운 층은 $100{\mu}m$에서 얇은 층은 $10{\mu}m$까지 다양한 두께로 도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페인트는 적색, 녹색 등 여러 색상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며, 도색 전 표면 처리를 위해 퍼티가 사용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적외선 분광분석 결과 스펙트럼에서 C-H stretching bands와 C=O stretching band, aromatic bands, C-H bending bands, C-O stretching bands의 흡수대가 관찰되었고 Spectrum search 결과에 따라 알키드수지로 확인되었다. 무기물의 성분 분석을 통해 시료 표면의 금색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한 페인트를 사용했으며, 퍼티 층은 카올린(kaolin, 카올리나이트 $Al_2O_3{\cdot}2SiO_2{\cdot}2H_2O$와 할로이사이트 $Al_2O_3{\cdot}SiO_2{\cdot}4H_2O$), 탈크(talc, $3MgO{\cdot}4SiO{\cdot}H_2O$), 아연화(zinc white, ZnO)를 성분으로 하는 래커퍼티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적 문화유산 분류체계 연구 - LX국토정보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adastral Cultural Heritage : Focusing on LX museum collection )

  • 김지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63-74
    • /
    • 2024
  • 문화자원을 활성화하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그 기본은 국가유산(문화재)으로 국가유산에서 문화유산은 역사와 전통의 고유성, 정체성, 생활 변화를 나타내는 유형의 문화적 유산이다. 박물관의 경우 소장품(소장한 문화유산)이 그 기관에 대한 고유 특성을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문화유산을 학문, 산업, 행정에 연계하여 관리·활용할 수 있도록 박물관 소장품을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에 등록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근·현대 유산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시스템의 주제 분류 편년이 조선시대 이전 위주로 설정되어 있어, 국토정보에 맞는 문화유산 분류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 용어가 처음 사용된 근대를 기점으로 한국국토정보공사 LX국토정보박물관에 소장된 지적 문화유산 소장품을 중심으로 지적 문화유산에 대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지적 문화유산은 전문적인 기술 분야이면서도 특정 인물만이 지적을 측량하거나 결과물을 제작하지 않는다는 점, 제작에는 전문적이면서도 사용 시 교육적 측면이 많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른 전문 박물관 소장품이 제작 방법과 사용 의도, 제작자 등 용도의 기능적인 측면으로 분류한 것과는 다르게 분류 방법을 지적 사용품과 산출물에 따른 특성별 구분하고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의 항목을 참고하여 대, 중, 소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개념을 범주화하고 자료의 주제를 일련의 순서로 구분하여 체계화하는 것으로 지식의 효과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한다. 직접적으로는 지적 문화유산의 안전한 보존관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활용도에서는 소장품에 대한 학술적·사회문화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국토정보 연구 자료 검색, 전시 기획, 교육 자료 등 박물관뿐만 아니라 국토정보 분야에서 다양한 문화자원 콘텐츠 활용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완영(完營)책판의 현황과 문화재적 가치 제고(提高) (Improving the Current Status and Cultural Value of Donguibogam Wanyoung Woodblocks)

  • 김화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50-64
    • /
    • 2022
  • 본 논문은 2005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 중 <동의보감> 책판의 현황과 그것의 문화재적 가치를 제고(提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인출할 때 사용하였던 것이었고, 현재 10여 종의 책판이 전하고 있다. 1987년 전주향교의 장판각에 목재 서가를 설치하여 보존하였고 현재는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존 관리되고 있다. 그 중 <동의보감> 책판은 1814년에 전라감영에서 인출한 『동의보감』 판본의 판목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의보감』의 가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았다. 1610년 편찬된 『동의보감』은 1613년 개주 갑인자 목활자로 처음 간행되었고, 간행된 이후 조선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2009년에는 『동의보감』 초간본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처럼 『동의보감』의 판본은 인정을 받아 온 반면 판본을 찍었던 책판에 대해서는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조명한 사례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논문은 <동의보감> 완영책판의 현황을 분석해보고 그것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제고시키고자 한다. 『동의보감』초간본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정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동의보감』은 공공의료와 예방의학의 이상을 선포한 조선의 혁신적 지시에 따라 편찬되고 보급된 의학서이다. 그 과정에서 책판은 바로 전국적인 보급을 위한 조선의 의지를 실현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도구였다고 볼 수 있다. <동의보감> 책판은 목판 쇄의 목적을 넘어 위정자의 애민정신이 깃든 것이며, 백성을 위한 의학 지식의 보급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동의보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점검해보면서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관 중인 완영책판 <동의보감>의 현황과 함께 그것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해 보고자한다. 완영책판 『동의보감』은 감영에서 제작한 것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전하는 목판이라는 점과 책판은 목활자본과는 달리 완정한 판본을 오래 보존하고 널리 유포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완영책판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부안군 죽막마을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보호지역' 설정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at Chungmak Village, Buan-gun and Perspectives on 'Protected Area' Designation)

  • 최재웅;김동엽;이상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5-93
    • /
    • 2014
  • 부안군 격포리 죽막마을은 작은 해안마을이지만, 국내 최대의 고대 해양 제사터가 있는 중요한 곳이다. 이러한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5~6세기, 삼국시대 백제)이 마을 당집(수성당)을 둘러싸고 있는 당산숲인 곰솔림에서 발굴된 것은 당산숲의 기원과 관련하여 큰 의미가 있다. 명승 제13호인 '부안 채석강 적벽강 일원' 안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8호인 수성당(水城堂)과 천연기념물 제123호인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이 있다. 주민들은 매년 수성당에서 '수성당 개양할미 당신제'를 지내고 있으며, 수성당과 비보숲인 후박나무 군락의 실제적 관리는 모두 마을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부안 죽막마을의 제사유적, 비보숲, 해안, 농경지를 포함한 당산숲의 경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위한 문화경관 보전 방법론으로,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서의 관리방안을 고찰하였다.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먼저 죽막마을 당산숲의 경관 특성이 올바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후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서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통금박 및 금실자수문양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제안 및 금박 이미지의 자카드 직물 개발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Development Textile Design Applied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Patterns and Modern Fabrics of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Image(II))

  • 이연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67-177
    • /
    • 2011
  • As today the world has been globalized, each country and race has been trying its best to preserve and develop its own unique culture to have its identity. Same exertion has been added in the areas of fashion and textile such as developing traditional textile or fabrics and applying them to the materials of modem fashion. The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is one of invaluable cultural heritages, and another means to elevate the wearer's social status, and its beauty and artistic quality is very excellent. So, in order to preserve and develop of the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the exertion of developing the gold foil into multi-purpose modem fashion material which is endurable and practical by using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should be don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rve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to develop Korean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by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images in modem fash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extile designs applied plant motives of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were carried out, modem fashion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gold foil image were developed by Jacquard weave. They were to certify that those were registered on the register of the Korean of design registrations from commissioner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developed fabrics of Korean gold foil image were examined the utility for modern fashion materials through using them in the modem wearing, interior goods and fashion items.

  • PDF

장기간 발효 김치인 묵은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JK-17의 기능성 조사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 김동선;조형우;김대한;오계헌
    • KSBB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18-2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sever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Initially,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solate JK-17, and the strain could be assigned to Lactobacillus sakei and designated as L. sakei JK-17. The strain was registered in GenBank as [JX841311]. The changes of bacterial growth and residual organic acids were monitored and HPLC was used to measure quantitatively two organic acids, lactic acid and acetic acid, produced in the culture during 84 hours of incubation.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sever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 sakei JK-17 were examined. L. sakei JK-17 culture depleted nitrite concentration 94.75%. Antioxidant activity of cultural supernatants of L. sakei JK-17 was approx. 53.8%,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ies were 0.243 units/mL at pH 7.0 and 0.387 units/mL at pH 4.1, respectivel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a were examined with 20-fold concentrated culture supernatants from L. sakei JK-17 and the antibacterial effects were clearly observed against all bacteria tested in thi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