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modern heritage building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대학교 본관과 건축가 김한섭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1940~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 Kim Han-sup's Architecture and the main building of Chosun University in the 1940's to 1950's)

  • 김명선;김용춘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6호
    • /
    • pp.41-48
    • /
    • 2018
  • For the proper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of Regional Modern Heritage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history of local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region and also to architectural history. The aim of this study is expand the awareness and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modern architecture in Kwangju in the 1940's to 1950's, by exploring the origin of regional modern architecture from new perspectives. As a part of the discussions of the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be therefore explained with the regional correlations between the architect Kim Han-seop's works and activity, influential politicians, strong enthusiasm of educati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building of Chosun University, architecture schools and association in Kwangju. Then, it will be finalised that Kim Han-seop and the main building of Chosun University are directly and indirectly correlated and affected each other strongly.

전통마을의 배치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산 외암민속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ite Planning in Traditional Village - A Case Study of Asan Oeam Village -)

  • 김훈종;이호정;류수훈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69-7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that analysis of the layout-structure of the Traditional Village Oeam. It can identify through the division of area, the properties of layout residential type,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s and roads and location of buildings and a gate. Traditional Folk Village is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However, now is time for our disappearing heritage due to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This study will good references for residential Complex in modern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tudy road in the center of village is divided into two areas. The road and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ousing layout and composition of the village. Oeam village houses are separated by scale as large, middle, small scale housing. The courty yard is formed widely through a various of housing plan. So that ventilation and light is favorable even if the main house is high. Each house has the individuality with avoiding the village roads and using the byroads and stone wall. Therefore, each house can protect the privacy of houses.

중국(中國) 전통원림(傳統園林) 공간(空間) 조영(造營) 원리의 현대적 탐구(探究) - 곡강지(曲江池) 유적공원(遺蹟公園)을 중심으로 - (A Modern Translation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Space - Focusing on Qujiang Pool Heritage Park -)

  • 위첨첨;김정문;전조양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3-1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원리를 어떻게 현대공원에 접목시키며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전승 및 창신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전조양 등은 '중국 고전원림 및 현대전역십오강(中國古典園林与現代轉譯十五講)'에서 중국 전통 원림은 시간과 공간이 결합된 원림이며, 간략(簡略)화된 기본 조영원리 모식도(模式圖)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중국현대공원인 곡강지 유적공원에 전통 원림요소와 현대 원림요소를 어떻게 접목시켰는지와 이 요소들이 공원 공간에 표현된 방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강지 유적공원의 복합형 공간은 공원 경계부와 복합형 동선으로 조영하였다. 공원경계부에 위치해 있는 원림 요소는 다리, 광장, 식물, 선형(線形)으로 배열된 건축물군집으로 구성하였다. 공원의 중심 수공간은 곡강지 옛 수계유적흔적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구불구불한 자연적인 호안선으로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원 수공간은 대지(大池)와 소지(小池)로 나눴으며 대지 내에 연파도(煙波島)를 설치하고 소지 안에 조도(鳥島)를 조영하였다. 공원 내에 있는 건축물들이 공원 동선의 볼록한(철각(凸角)) 부분에 위치하여, 공원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의 시간과 공간설계구성의 공간조영원리를 검증하였으며, 현대공원의 전체 공간 구조에 간략화 된 공간 설계 기법으로 원림의 복잡한 조합에 그 본질적인 공간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곡강지 유적공원의 원림요소는 현대기법으로 진(秦)·한(漢)·수(隋)·당(唐)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곡강지 공원을 지역의 특색을 지니는 공간으로 재조영 하였으며, 당나라 문화를 주제로 하여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시대별, 공간별 조영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은 제시된 공간조영원리가 적용된 공간이며, 중국 전통원림 공간 구성원리가 적용된 결과물이다. 그리고 곡강지 원림요소가 전통역사문화와 결합해서 창출된 경관은 현대 원림요소의 창신한 부분이다. 즉, 곡강지 유적공원은 중국의 특색있는 현대 원림으로 계승 및 창신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