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검색결과 1,877건 처리시간 0.03초

내생적 농촌지역발전 수단으로서의 적정기술 적용 가능성 탐색 - 전남 영광군을 사례로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as a Means Endogenous Development of Rural Areas - Focused on Yeonggwang-gun in Jeollanam-do -)

  • 고경호;안병일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45-5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licy directions to apply and activate the appropriate technology in rural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dogenous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eories.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ideas, values, and strategies that are common to both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c theories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eories, in this paper, various surveys and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study are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ocalization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ural areas have high potential and scalability to apply and activate the appropriate technology,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due to their nature based on local resources. Secon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first of all,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public sector, it is necessary to plan the projects based on the cooperation network of the relevant innovation entities within and outside the regions and to build the implementation systems. Third, the training system for high skilled manpower and indigenous entrepreneurs should be stably built in order to create independent conditions, which are key elements for growth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Fourth, there is a need to find the market and establish policies that can solve the typical economic problems of rural areas such as aging population, depopulation and decline in youth, economic unrest. Fifth, in order for the appropriate technology to contribute to socio-economic innovation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virtuous circle economy in the region, technical items and various business items suitable for the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autonomous conditions of rural areas are essential.

폐광지역 개발 지원사업의 경제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강원남부 폐광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A Policy Plan for Promot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Development Aid Project on the Closed Mine -Focused on the Analysis of Economic Spreading Effect upon the Southern Part of Closed Mine in Gangwon Province-)

  • 유원근;최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1-159
    • /
    • 2011
  • 본 논문은 폐광지역에 대한 개발 지원사업의 경제적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폐광지역의 자립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대체산업을 발굴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2001년부터 2010년간 전개된 폐광지역 개발 지원사업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지원사업의 내용과 규모에서 낙후지역의 자립적 경제구조의 성립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지역적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전략적 재원의 배분과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Poverty Alleviation Efforts through MDG's and Economic Resources in Indonesia

  • LAURENS, Samson;PUTRA, Aditya Halim Perdana Kusum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755-767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ovide guidelines for regional governments, communities, and the private sector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poverty-reduction activities that are more effective, efficient, and targeted. Besides, this research's specific aims are: 1) increasing the rate of regional economic growth through optimization of potential sources of local income, 2) increasing per-capita income, and 3) reducing poverty, unemployment, and social-economic inequality of the community. The study was conducted in North Morowali District, Central Sulawesi Province, Indonesia, in 2018-2019. The research approach us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scriptive analysis. Data sources include sources from the Focus Group Discussion (FGD) and Regional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indicators that there are four priority scales in poverty reduction, namely, Health and Infrastructure (Priority I), Education (Priority II), Food stability (Priority III), and Population and Employment (Priority IV). Therefore, as a solution to poverty alleviation strategies, the cost approach through regional economic optimization and local income sources and community empowerment factors are essential. Apart from that, the involvement between elements (government, organizations, society,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is expected to continue as an effort to realize poverty reduction can be optimally overcome.

세계 대나무박람회 개최에 따른 지역발전영향요인이 지역애착도와 개최지지 및 개최속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The expected impact regional development factors, according to the World Bamboo Expo held on regional and aechakdo be held and held persistence)

  • 안태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31-138
    • /
    • 2017
  •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의 고장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열린 2015 담양 세계 대나무 박람회 개최에 따른 지역발전 영향요인이 지역애착도와 개최지지 및 개최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 한 뒤 박람회장에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후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박람회 개최로 인해 지역이 발전하고 향후에 관광객들이 다시 찾는 관광 융합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역 애착도는 환경요인과 사회요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개최지지, 개최지속성은 환경요인가 사회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요인, 환경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최지지가 지역애착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박람회 개최에 따른 지역발전 영향요인이 지역애착도와 개최지지 및 개최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을 통해 향후 국내 지역박람회와 축제 평가에 관한 전략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별 혁신형태 유형화와 지역 기반 혁신 정책 (Classification of Regional Innovation Types and Region-based Innovation Policies)

  • 유광민;김동관;한성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1-175
    • /
    • 2015
  • 지역 혁신정책의 중심이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별로 차별화된 지역혁신 전략을 수립, 추진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국가 전체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 차원에서도 비효율적이다. 국가내 지역간에 혁신 형태나 특성에 뚜렷한 차이가 있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 혁신 정책은 의도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지역간 혁신 형태의 특성과 차이를 밝혀내고, 이를 유형화하여 적절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지역혁신 관련 지표들을 검토하고, 선정된 지역혁신지표들을 활용하여 다중인자분석과 군집 분석 방법을 통해 지역들을 혁신유형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혁신유형별로 드러난 특징과 차이를 기초로 그에 맞는 정책적 방향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혁신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규제자유특구와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gulation-Free Special Zone and the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 최호성;김정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1-36
    • /
    • 2019
  • 최근 세계경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서로 다른 기술 산업 간 융 복합이 활성화되고 새로운 기술이 빠르게 창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기술 신서비스 기반의 혁신기술을 육성하고 있으나, 각종 규제로 인하여 신기술 신서비스에 대한 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신기술 신서비스를 활용한 혁신사업이 규제의 제약 없이 실험 실증하고 사업화 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Sandbox)가 적용되는 규제자유특구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특화발전특구와 새로이 도입되는 규제자유특구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전국에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규제만을 완화하는 지역특화발전특구의 한계를 고찰하고, 규제자유특구가 신기술 기반의 실증 테스트 베드로 육성할 방향과 지역의 혁신성장 거점으로 성장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해안의 낙조 테마 철도 관광산업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ing the Theme of Railway Tourism Industry Considering the Sunset in the West-Coast)

  • 박은수;탁준우;조홍준;이태식;이동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45-2352
    • /
    • 2010
  • By Chinese growth, economic development and investment of the West-coast are consisting. Specially, the West-coast area need tourist development and tourism Import for the Incheon and the Pyeongtaekhang of the Gyeonggido Province, China trade through the Chungcheongdo Province area. According to such regional special quality, the railroad tourism industry should be activated. Sunset of tourism infra in the West-coast is high value as representative goods of the West coast. Development of the theme railroad tourism industry that utilize the tide may maximize regional advantage of China and capital region. This research is basis investigation to examine development possibility as sunset theme railroad tourism industry of the West-coast. Scope of this research limited by the sunset theme railroad tourism industry for the Chungchongdo Province area.

  • PDF

중소기업육성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for promot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 장석주;박노국;윤병섭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1호
    • /
    • pp.133-151
    • /
    • 2007
  • 지난 20세기 우리나라는 단시간 내에 산업화를 이룩하여 세계 12위의 주요 경제국으로 올라섰으나, 압축 성장은 사회의 모든 부문에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했으며, 특히 수도권과 경부선축 중심의 발전전략은 지역경제 간의 불균형발전, 수도권 과밀화로 인한 각종 사회 경제적 문제를 노정시키고 있다. 국민의 정부 이후 행정수도 이전,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의 지방이전 정책 등을 추진하고, 지역특화산업의 도출을 통한 중소기업의 육성 및 장려,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각종 이해집단의 이견으로 통합적이고 조화로운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지역 간, 산업체간 균형발전이라는 국정목표를 수행함에 있어 우리나라 지역산업 발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소기업의 자생적, 창의적 발전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조화롭고 통합된 국가산업정책을 도모하고, 나아가 동북아 중심국가 실현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간 우리나라의 지역 중소기업정책은 수도권에 대한 입지규제와 지방에서의 하드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하향식 정책 집행에 의해 추진되어 왔다. 정책의 유기적 연계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부처별로 예산집행이 이루어짐으로써, 지역의 입지여건에 적합한 산업군집의 형성을 통한 지역경쟁력의 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주지의 사실로, 본 연구는 지식기반경제 하에서의 지역 중소기업정책의 의미와 지역균형발전 모형의 구축 방안, 그리고 이에 근거한 지역의 중소기업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Knowledge Broker in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A Case of Gyeonggi Province in Korea

  • Shin, Sangwoo;Yim, Deok Soon
    • STI Policy Review
    • /
    • 제5권1호
    • /
    • pp.112-130
    • /
    • 2014
  • Many actor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RIS) such as universities, private firms, research institutions, governments, and public agencies. In a country like Korea, where the central government takes more than 95% of the total government R&D budget, the role of regional authorities i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are fairly limited, although in recent years some regional governments have tried to promote innovation activity in their localities. This paper looks into the Gyeonggi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GSTEP) in Gyeonggi Province and examines its emerging role and achievements in innovation policymaking. It was found out that GSTEP engages in knowledge brokering with the purpose of helping firms participate in regional technological innovation processes. The knowledge brokering roles of this regional authority are described along with their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y. This study aim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regional authority's role in a RIS through the case study of regional actors transitioning from being subordinators to becoming active participants with greater participation on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