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Comprehensive Pla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개발로 인한 농촌마을 경관변화요인 평가 및 분석연구 - 전라도 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f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Factors of Changes in the Rural Landscape by Regional Development - Focus on Jeolla-Do -)

  • 최진아;김상범;김은자;임창수;박미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spc호
    • /
    • pp.689-702
    • /
    • 2016
  • In this study, it was promoted for the purpose of direction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change in the rural landscape. In the course of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y and field surveys, to derive the 25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ange in the rural landscape. Later, 25 factors were evaluated in the impact on landscape by experts. 25 factors of the rural landscape were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study and field surveys about the five villages of research area; Ji-San village, Non-Gae village, etc. Expert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the rural landscape, and architecture professionals of various related fiel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low of rural development policy and the business had a great effect on the physical changes in the rural landscape. Furthermore, additional factors such as population structure and lifestyle have made the change in the complex landscapes. Meaning the study has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what need there are considered factors in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The reason is that, since the r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in order to develop the more efficient rural landscape plan and management.

대구시 기반시설양호 주택지의 주민의식과 환경 개선 방향 (How to Improve the Environments of Detached Housing Areas with Moderate-quality Infrastructure Effectively in a Case of Daegu City)

  • 조득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1-122
    • /
    • 2010
  • A regional planning is central to addressing various urban problems surrounding the detached housing areas of a metropolitan city of Daegu. The problems are related with decrease in population, socio-economic issues of redevelopment and a sustainable society, the various housing market and housing rights, and a need to explore a desirable alternative to enhance the civil needs when renovating General Residential Zon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a possible method of residents led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surveying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The residents wish to have a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to be set up in place and financial support for old independent houses and finally for lampposts and CCTV to be installed by the administrative assistants. The 75.7 per cent residents who inhabit in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wish that a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is required and the population at 65.9 per cent could consider a need for the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residential improvement. 70.3 per cent answered that a consultative group of inhabitants is needed to be built, while 40.5 per cent expresse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hat group in case the group is set up. The possibility of productive residential improvement via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is high, as long as small various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are created, a resident-consultative group formed, and finally a residential improvement plan is addressed in a comprehensive way.

LBS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관광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le Tourism Destination Management Plan using LBS)

  • 박재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47-451
    • /
    • 2017
  • 본 논문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관광지관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국가와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관광지 관리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정보통신서비스기술과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위치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개별 관광지내에서의 개인의 특성-여가시간, 혼잡도, 활동성, 지출능력 등-을 기초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관광지에서 제공함으로써 개인여건에 부합하는 관광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1차적으로 관광객의 만족도를 최적화하며, 관리측면에서 환경적 데미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용력수준을 유지함으로써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2차적으로 관광객의 소비활동을 통한 경제적 수익창출을 통하여 관광지의 지속가능성을 배가할 수 있으며, 유사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유사시 실시간으로 관광객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관광지의 환경보존은 관리비용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하게 되며, 이용자인 관광객의 만족도는 제고할 수 있다. 이는 관광지 관리비용을 최소화 하며,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지 수익목표 달성이 가능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지 운영모델로 정립될 수 있다.

오염총량관리 할당부하량 초과지역의 최종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of Allocation Exceedance Regional in Total Maximum Daily Load)

  • 오승영;한미덕;김석규;안기홍;김옥선;김용석;박지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50-457
    • /
    • 2016
  •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is a watershed management system that involves the establishmen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the calculation of permission loading (allocation loading), and the control of total pollutants for each unit watershed. Allocation loading is assessed through the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assessment of the previous year's plan. Assessment results are used for follow-up management measures such as the limit of development and updating of TMDL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next planning period. Although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are important, they are not currently available. Therefore, we suggested assessment criteria by comparing two methods('integration method' and 'separation method') using combination point and non-point discharge loading. We also examined the penalty criteria considering controllable load local government and updating methods of the TMDL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 for the next planning period.

중증외상특성화센터의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Area Composition in Severe Trauma Center - Focused o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 박수로;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9-39
    • /
    • 2013
  • Purpose: As emergency medical service fund is further expanded due to amendment of the law on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2008, Korean government has prepared to intervene in a comprehensive manner to strengthen a trauma treatment system. As a result, it announced a master plan to establish a serious trauma treatment center in 16 areas across the n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serious trauma treatment centers and suggest the goal and improvement plan of future serious trauma treatment centers. Methods: As of 2011, Korea operates 23 emergency cerebrovascular service centers, 23 emergency heart disease centers and 35 severe trauma treatment centers across the country. 12 emergency medical service centers have been chosen among the serious trauma treatment centers. Then, top six (6) centers chosen at Emergency Medical Institute Assessment 2011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ve been selected, and floor layout and spatial allocation by usage have been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spatial components, circulation layout and spatial allocation of a serious trauma treatment. For construction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fundamental objectives and go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t is essential to allot spaces and select exact spatial components.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space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come up with construction planning through appropriate spatial allocation.

한국 지역과학기술정책의 변화와 발전 방향 (The Process of Changes and Challenges of Regional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 Korea)

  • 김호;김동복;채윤식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1호
    • /
    • pp.29-63
    • /
    • 2023
  • 세계화와 지방화 추세의 가속화와 21세기 지식기반경제의 발전에 따라 지역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과학기술정책의 대상으로 지역이 주목받게 된다. 행정적으로는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기점이 된 것으로 평가되며, 1999년 제1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수립과 관련 내용의 법제화 이후에 비로소 독립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정책과 지역발전정책이 연계되고 정부의 국정방향 구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구현되면서 변화 발전하게 된다. 시기적으로 구분하면 1994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전까지 국가의 경제발전을 위한 부문계획으로서 국가과학기술정책의 정립과 지역과학기술정책의 태동기, 1994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국가과학기술기본법 제정의 시기 동안 지역의 과학기술정책이 재조명되고 1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이 수립된 지역과학기술정책의 형성기, 이후 지역과학기술정책이 별도의 정책적 위상을 가지고 국가 과학기술정책 및 지역발전정책과 상호 작용하면서 현재까지 추진된 발전기로 나눌 수 있다.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수립과 함께 다양한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지역의 자립적 발전기반이 확충되고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중앙정부의 종속적 정책추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실질적인 지역과학기술의 자립적 생태계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직면하고 있는 고령화, 저출산 등으로 인한 인구감소, 지역주력산업 침체로 인한 일자리 감소, 청년인구의 수도권 집중 등 지역간 격차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등 전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지역과학기술정책은 새롭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2022년은 신정부 출범으로 지역정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을 바꾸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과학기술기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등 새로운 지역과학기술관련 중장기 계획이 수립되는 시점이다. 디지털전환과 탄소중립 등 대외 기술환경 또한 대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면서 확대되는 지역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1990년대 후반에 형성된 중앙정부 중심 지역과학기술정책의 제도적 기반을 지역 자율적인 체계로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새로운 정책추진을 위한 새판을 짤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방법(ANP)을 이용한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정책의 전략적 관리방안 (Strategic Management of the Policy for Seoul City's Hangang Renaissance)

  • 조세환;정광섭;김상원;원제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0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정책이 나가야 할 방향과 전략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정책단계별 수준선정을, 둘째, 수준별 중요도를 측정하고, 셋째, 이상의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강 르네상스 개발계획의 기조인 회복, 창조의 중요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제2단계 정책수준에서는 도시공간 재편, 자연성 회복, 이용성 증진 순으로 정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단계 정책수준에서는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 한강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개편, 한강 중심의 Eco-Network 구축 등의 순서로 중요도를 보였다. 특히, 제3수준의 세부계획인 4정책수준의 중요도는 도시공간재편의 경우 수변도시의 유형별 개발 및 토지이용 다양화, 워터프런트 타운 조성의 경우 수변공간을 공공 및 복합용도로 활용, 그리고 한강변 경관개선의 경우 건축물의 종합적인 관리방안 수립,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은 통합디자인 계획 등이 주요 정책지표로 부각되었다. 중요도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전략적 정책 방향은 통합디자인 계획을 통한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과 함께 도시공간구조를 재편하는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면서 다른 정책계획들과 연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대일로' 하에 중국 허난성의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5 지역'과 '4 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Plan in Henan Province, China under 'One Belt and One Road' - Focusing on '5 Region' and '4 Road')

  • 왕콘;장일주;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24-44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일대일로'와 세계 주요국과 중국 선진지역의 산업 협력과 관련된 발전 경험을 정리함으로써 허난성의 지리 위치를 결합하여 '5 지역'과 '4로' 발전 현황을 분석하며 문제점을 제시하고 중국 내륙의 대외개방과 협동 발전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있다. '5 지역'과 '4로' 발전 현황에 따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5 지역'과 '4로'로 인한 우위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협력 체제가 아직 완전하지 않다. 셋째, 지역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교통 시스템 체계가 미흡하다. 넷째, 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부족하다. 다섯째, 인프라가 미래 발전수요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상 문제점에 관한 본 연구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상층 전략 플랫폼을 구축하고 정책 지원 체계를 보완해야 한다. 둘째, '4로'의 우위를 향상하며 협력 발전을 가속화 해야 한다. 셋째, 조화로운 공조 체제를 설립하고 산업 클러스터의 협력 효과를 일으켜야 한다. 본 연구는 '일대일로' 정책 발전 예측에 필요한 참고자료와 중국 내륙의 허난 지역 활성화 방안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생태적 진단결과에 기초한 창원천과 남천의 복원계획 (Restoration Plan of Changwon and Nam Streams Based on the Results of Diagnostic Assessment)

  • 안지홍;임치홍;정성희;김아름;우동민;이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11-524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restoration plan to improve the ecological quality of the Changwon and Nam streams. Based upo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diagnostic assessment, restoration priority was given to the upstream reach, where conservation status is relatively superior. Restoration level was usually determined to practice active restoration as conservation, and the states of both Changwon and Nam streams were not so good. Restoration plans, by reach, were classified into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were suggested in both terms of horizontal section frame and vegetation-based on the result of diagnostic assessment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Upstream", "mid-stream" and the "downstream" of Changwon and Nam streams were classified into "small-gravel- mountainous", "small-sand-plain", and "small-clay-plain streams" respectively (based on scale, and substrate and slope of river bed). The spatial arrangement of vegetation was laid out in diagram form by reflecting micro-topography and the water level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river. Information regarding species composition was recommended as dominant species, which appear frequently in three vegetation zones composed of herbaceous plants, shrubs and trees and sub-tree- dominated zones divided by reflecting disturbance regime, depending on position on the horizontal section of river. Moreover, there have been prepared not only plans to improve the terrestrial ecosystems around the streams but also plans to create ecological networks, which can serve to improve the ecologic quality of the whole regional environment by serving to connect streams and terrestrial ecosystems, a process probably necessary and definitely recommended to realize true (genuine) restoration. Plans for ecological parks and networks were prepared by mimick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Alnus japanica community, Zelkova serrat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and Q. serrata community.

재래시장 환경개선 지원정책 개발에서의 지역 장소적 기능 도입 (Introduction of region-based site functions into the traditional market environmental support funding policy development)

  • 정대용;이세호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83-405
    • /
    • 2005
  • 재래시장은 지역의 중심지적인 특성과 문화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지역 거점지이며 인근 지역주민의 상거래라는 1차적 장소적 기능과 사회문화적 측면의 상호 정보문화교류, 커뮤니티 공간 형성으로 유통의 집객시설과 집적시설로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5인 이하 가족 단위의 생계형으로 취급상품, 구입방범, 판매방식 등이 전근대적인 경영기법을 통해 한국의 대표적 소매업태로서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신유통업태와 대형할인점 진출로 인해 재래시장은 급격한 경쟁력 상실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의 향상, 구매패턴의 변화,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 등 외부적인 유통 환경변화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고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경제의 발전 측면에서 고령화된 재래시장에 대한 대책 중 정부의 예산지원 정책으로 환경개선사업, 연구용역, 경영현대화중심의 국고지원 사업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총 3,853억원의 국고가 지원되었으나 활성화 사업의 실효성에는 아직 정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시장상인리더들의 전문성결여로 종합적인 추진전략과 중장기적 계획수립 및 자발적인 상인들의 합의점 유도 반감으로 지속적인 사업추진방향에 한계점을 나타냈다. 재래시장이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물리적인 장소적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역 장소적 생활공간으로 커뮤니티적 접근을 통한 장소적 창조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업 방향 전환을 통해 재래시장의 장소적 기능 도입을 동해 문화적 경제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재조명을 동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래시장은 지역 기반으로 한 지역생활자들과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상호 형성하고 정보와 지식 공유를 통해 부 창출 공간으로 재생되어야 할 것이다 재래시장이 부 창출 공간으로 재생하려면 시대적 장소적 환경에 맞는 시설과 교류활동을 통찬 상호신뢰구축 활동 속에서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영업환경도 변화하여야 하며, 지역단위 중심 영국의 TCM, 미국의 BID, 일본의 TMO 등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단위 시장상가 점포단위의 점(點)정책에서 선(線)단위의 상가로 환경사업과 거시적인 지역단위중심인 면(面) 정책적 접근을 통한 커뮤니티적인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외 사례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적 정책수요 발굴과 기존의 추진방법에 대한 선진사례 연구를 통한 NPO, NGO 등의 시민기업가와 이를 수행키 위한 혁신성과 전문성조정능력을 갖춘 리더자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역자원 활용 소스 중심의 문화관린 산업의 seeds 발굴과 향토상품의 상품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