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ve indicator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Information Environment

  • Dmitrenko, Natalia;Voloshyna, Oksana;Boiko, Anna;Hudym, Iryna;Zelinskyi, Vital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396-402
    • /
    • 2022
  • The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information environment. The role of reflection as a mechanism of formation of a modern teacher's self-consciousness was cleared up. The technology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as characterized and tested. The main stages of the technology were: a motivational and cognitive stage, a problematic and practical stage, and a reflective and operational stage. The substantiated pedagogical conditions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ere adhered. The criterial and evalu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ere worked out: components (reflection of personal conformity, reflection of th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barriers, reflection of professional growth); criteria (criterion of consistency, criterion of difficulty, criterion of potential); indicators (cognitive-evaluative, value-motivational, activity-creative). The levels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sufficient level, acceptable level, and optimum level) were determined. The analysis of students' surveys showed the effectiveness and expediency of using the technology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training.

교원능력개발평가 영양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한 영양교사들의 인식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 the Indicators and Items on a Teacher Evaluation)

  • 최희준;박지혜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ors and items on teacher evalu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provide insight for their improvement. To accomplish thi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318 nutrition teachers regarding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were evalua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t-test. In addition, the reflective analysis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responses to the open-ended questions asking problems in the indicators and item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for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most indicators and items were over four points, which implies that most indicators and items are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job tasks of nutrition teachers.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a few items be revised or removed for their improvement and appropriateness. This study concluded that nutrition teachers should have more chances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for students to enable them to perform as teachers and not simply dietitians.

고차 요인의 형성적 측정방법에 대한 식별 및 분석방법 (Specifying and Analyzing Formative Measurement of High-order Factor)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01-113
    • /
    • 2013
  • 기존의 방법론 관련 문헌에서는 반영적 지표를 기반으로 다측정 지표들의 개발과 타당성 검정에 관한 다양한 문헌적 고찰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형성적 지표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성적 지표를 사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접근법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자신의 모델을 위해 필요한 적합한 지표의 선택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적 지표의 본질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형성적 지표에 대한 기반이론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실증 분석에서 사용된 사례를 통해 형성적 지표의 접근법과 연구수행 절차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실증 연구에서 지표의 사용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정보시스템 성과평가를 위한 형성적 구성변수(Constructs) 및 측정지표 개발 (Development of Formative Constructs and Measuremen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s)

  • 김상훈;김창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35-151
    • /
    • 2012
  • Traditionally in I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items tends to be assumed to be reflective, meaning that the measurements are a reflection of the construct. In reality, however, the nature of the construct can be often formative, which means that its measurement items describe and define the construct rather than vice vers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oretical and empirically-analysed differences between formative construct and reflective construct through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And then on the basis of these differences, we intended to derive the rule of specifying whether the construct is formative or reflective and propose the methodology of testing the validity(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external construct) of formativ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s, differentiated from that in the case of reflective construct. Also, we suggested the concrete statistical testing methods such as VTT(Vanishing Tetrad Test), MIMIC(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test and multi-collinearity test.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ology to developing the construc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IS(Information Systems), we tried to identify its attribute(formative or reflective) and test the validity for the construct arbitrarily chosen among them which had been derived in our previous IS performance evaluation study by using this methodology.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was that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valid and effective in the area of IS performance evaluation.

정보시스템 성과 평가 모형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Evaluation Performance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 김창규;박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27-535
    • /
    • 2016
  • 국내 정보시스템 문헌에서는 형성적 구성변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변수와 측정변수의 관계, 즉 반영적 혹은 형성적 구성변수의 설정은 가장 현실에 가까운 성과 평가와 올바른 인과모형을 검정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 목적은 포괄적인 문헌 고찰로 반영지표와 형성지표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구성 및 개발 방법론을 정보시스템 평가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시스템 성과 평가에 대한 형성적 지표를 개발할 수 있는 올바른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정보화사업 성과 요인과 성과 평가에 관한 기저 이론과 선행 연구 모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정보화사업 성과 평가 구성변수와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한 지침(Guideline)을 통하여 정보화사업 성과 평가에 대한 올바른 형성적 구성변수 및 반영적 구성변수를 식별하였다. 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성변수를 올바르게 식별 및 분류하여, 향후 연구자가 정보화사업 성과 평가 구성변수의 올바른 구성변수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벌크터미널 서비스품질 분석 및 이용주체별 차이에 관한 연구: 부산항 벌크터미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Analysis and the Difference Between User Groups in Bulk Terminals of Busan Port)

  • 이경남;양한나;왕고봉;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3-230
    • /
    • 2016
  • 해상운송화물이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화물을 처리하는 터미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터미널과 관련된 대부분의 국내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벌크터미널의 서비스품질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벌크터미널 서비스 이용자를 크게 선사와 화주로 구분하여 제공받는 서비스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속성 가운데 유형성은 선석 수나 수심, 장비 등의 변수들이 반영되어 설명되기 때문에 형성지표로 분석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구조방정식모델에서 활용되는 반영적 측정모델뿐만 아니라 형성적 측정모델을 결합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체 측정모델의 분석결과 공감성과 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주체별 차이 분석 결과는 화주가 선주보다 신뢰 반응성이 만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벌크터미널의 경쟁력 확대를 위한 전략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Effects of Job Quality on the Health of Wage Workers: Congruence between the Hard and Soft Job Quality

  • KonShik Ki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31-42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linear and non-linear effects of the hard and soft dimensions of job quality on the overall health of wage workers. It also examines the congruence or fit between the hard and soft job quality on the overall health of wage workers.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irty indicators that constitute job quality and reduced the indicators into twelve sub-dimensions of job quality using reflective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derived two dimensions of job quality from the twelve subdimensions, namely the hard and soft job quality using formative factor analysis. This paper applied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to analyze the congruence effect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job quality. Results: A logarithmic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imension of hard job quality and the worker's overall health. This study also verified that the congruence effect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job quality does not exist, and the combined effect of job quality is lower when the two dimensions of job quality are at the same level than the effect when either level of job quality is high or low. Conclusions: Although hard and soft job quality has independent positive effects on the overall health of wage workers, the two dimensions of job quality are not congruent or not in harmony with each other. This incongruence between hard and soft job quality, together with a higher impact of hard job quality, suggests that the role of soft job quality on overall health is relatively limited.

고속철도 지면반사파를 고려한 열차무선 전파모델 (Modeling of Train Radio Propagation Affected by Ground Reflected Wave in High-speed Railway)

  • 배성호;송기홍;최규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460-465
    • /
    • 2013
  • 고속철도에서의 열차무선전파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전파와 달리 레일, 침목 및 자갈로 구성된 철로면 반사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수신되는 지면반사파의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수신되는 철로면 반사파를 랜덤변수로 모의하고, 여기에 송수신간 직접 경로에 의한 직접파를 추가한 열차무선 전파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전파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열차무선에서의 경로손실지수는 3.0으로 분석되어, 일반적인 이동통신환경에서의 4.0에 비해 경로손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속철도 현장에서의 열차무선 수신전력 측정치에서도 동일하게 경로손실지수가 3.0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시뮬레이션 및 측정결과로부터, 열차무선 전파모델을 검증하고 경로손실지수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고속철도 열차무선통신망의 커버리지 예측 및 기지국 설계에 응용할 수 있다.

행정업무시스템의 생산성 및 효과 분석: 나라장터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roductivity and Effects of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KONEPS(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 김훈희;오창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6
    • /
    • 2017
  • 정보시스템(IS)에 대한 평가분석 방법은 시스템관점, 이용자관점, 경영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다. 세부 방법으로는 이용자 설문이나 전문가의 의견에 의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분석 항목 중 행정업무시스템의 구축으로 얻어지는 생산성과 효과를 측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정성적인 생산성 평가와 범용적인 효과지표를 제시하는 것과 달리 정량적인 생산성과 행정민원에 특화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대표적인 행정업무시스템인 나라장터를 대상으로 전자계약 실적과 중간과정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소요일수로 환산하고, 투입 인력에 따른 생산성을 산정하였다. 효과분석은 행정업무시스템의 목표인 민원관련 설문을 분석하였다. 기록된 정보에는 계약문서작성, 공문서처리, 전화통화량을 업무활동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항목에는 민원대응을 위한 수행영향, 업무편의, 목표달성 여부를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각 요인을 반영적 구조변수와 형성적 구성변수로 구분하고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과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을 진단하였다. 기술통계법에 따른 신뢰도 검증, 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도 측정하고 다중회귀모델 경로계수로 모델을 분석하였다.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적방정식에서 활용하는 다중 확인적 요인분석(CFA)에 따라 Chi-square, RMR, GFI, AGFI, NFI, CFI 분석을 수행한다.

조직의 경영성과 측정과 평가를 위한 균형성과표(BSC) 모형의 도입 및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장충석
    • 산학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77-101
    • /
    • 2009
  • 본 연구는 조직이 균형성과표(BSC) 모형을 도입하여 조직의 경영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하는 경우, 도입하기 전에 비해서 균형성과표(BSC)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 경영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적성과, 그리고 경영성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의 도급 200위 이내서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1차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균형성과표(BSC)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반적인 성과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 경영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적 성과, 그리고 경영성과에서 조직이 균형성과표(BSC) 모형을 도입하여 경영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하기 전에 비해서 도입 후의 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