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mustard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적갓김치 Anthocyanins의 항산화 특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nthocyanins in Red Mustard Leaf Kimchi)

  • 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37-941
    • /
    • 2003
  • 재래종 적갓(Brassica juncea czerniak et coss)을 주재료로 담금하여 발효시킨 적갓김치(red mustard leaf kimchi, RML kimchi)의 crude anthocyanin(CA) 및 refined anthocyanin(RA) 획분들에 대한 항산화성을 규명하였다. 발효된 적갓김치는 산도 0.72(%), pH 4.6 그리고 crude anthocyanin 함량(건조물기준)은 49.4 mg/g이었다. 동결건조 적갓김치로부터 얻어진 조색소용액 (crude pigment solution)을 계통 추출분획하여 증류수 획분, methanol 획분, TFA-methanol (CA) 획분을 얻었으며, CA 획분을 계속 분획하여 정제된 5개의 정제된 RA 획분(Fr.1, Fr.2, Fr.3, Fr,4, Fr.5)을 얻었다.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linoleic acid의 autoxidation system에서 peroxide formation 억제능과 DPPH($\alpha$, $\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의 free radical 소거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조색소용액 분획물 중 CA 획분이 항산화능이 높았고, CA 획분으로부터 얻어진 RA 획분 중 Fr.3이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다. 특히 Fr.3은 적갓김치의 대표적인 anthocyanin이었고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el보다는 낮았으나 그것에 접근하는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그 활성은 지질의 과산화 억제능과 수소공여성에서 다같이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성을 보였다.

갓김치 숙성중 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 박석규;조영숙;박정로;문주석;이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3
    • /
    • 1995
  •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uncleic acid-related compounds of leaf mustard-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7$^{\circ}C$ were investigated. The leaf mustard-Kimchi was formulated with 4kg leaf mustard, 120g garlic, 80g ginger, 540ml salted anchovies, 1kg green onion, 200g red pepper powder, 200g ground red pepper, 60g whole sesame and 600ml glutinous rice paste. Changes in pH and acidity were relatively slow. Major free sugars were glucose(0.13%) and maltose(0.42%), and residual sugars(0.03-0.04%) were also detected after 32 days of fermentation. Major free amino acids containing more than 26.5mg% wer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increased from 244.8 to 397.2mg% by 24 days of fermentat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 lac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119.3mg%), and its content increased markedly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Other organic acids(below 53.1mg%) observed were malic, oxalic and citric acid. Contents of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were high in the order of hypoxanthine(22.8mg%), IMP(8.3mg%) and GMP(6.9mg%).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by 10 days(27.3mg%) and decreased thereafter, while the others decreased gradually during the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 PDF

웅성불임 인자를 이용한 갓(Brassica juncea L. Czern)의 F1 육종 (Breeding of F1 Hybrid for Oriental Mustard(Brassica juncea L. Czern) Using the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

  • 박용주;민병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27-36
    • /
    • 2018
  • 김치가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되어 세계인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갓의 수요도 점점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갓품종의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품종보급 체계가 미흡하여 자가 채종에 의한 자식약세현상, 순도저하, 상품의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갓의 F1 품종 육성체제를 갖추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수집한 갓의 순계분리와 자식계통의 육성, 웅성불임인자의 도입을 통하여 고품질의 갓을 육성하기 위하여 각 조합을 공시하여 조합능력을 검정하고(인도자사이${\times}$고흥담양)조합과 (분리 MS 유기계-MS910${\times}$일본 적자색갓 8${\times}$강화갓 9) 분리계 조합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양친으로 선발하였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MS type을 확인해 본 결과, MS계통 MSLS와 MSLC는 갓에서 보고된 orf263, orf220 및 orf288 CMS 유전자를 미토콘드리아 DNA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생산력검정 및 농가 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적갓김치의 발효특성 및 항산화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 황정희;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9-101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적갓김치의 발효과정에 따른 발효특성과 항산화성을 규명하기 위해 갓김치와 가열 쇠고기를 이용한 model system을 만들어 쇠고기 지방질에 대한 항산화성을 살펴보았고 용매별로 추출한 김치성분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다. 적 갓김치는 15$^{\circ}C$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6일째 김치의 pH가 4.5에 도달하였다. 발효진행에 따라서 산도는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젖산균수 역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a-scorbic acid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가 발효 6일째에 다시 다소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생 시료에서보다는 갓김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페놀함량은 증가하였다. 적 갓김치를 가열쇠고기와의 model system을 조제하여 TBA가를 통해 항산화성을 살펴본 결과 첨가한 김치의 양이 많을수록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시료일 때보다는 김치의 항산화성이 우수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된 숙성상태일 때 더 항산화성이 우수하였다. 동결건조시킨 적 갓김치를 물, 메탄올, 핵산 세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을 때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담금직후보다는 숙성된 상태의 갓김치가 항산화성이 높았다.

  • PDF

LEDs 광조성 및 광도가 베이비채소의 생육 및 기능성물질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Baby Vegetable as Affected by LEDs Source and Luminous Intensity)

  • 윤성탁;정인호;김영중;한태규;유제빈;제은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49-565
    • /
    • 2015
  • LEDs 광원 및 광도에 따른 베이비채소 6작물의 생육 특성과 기능성물질 함량을 구명하고자 Fluorescent lamp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1:1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2:1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4:1 (100, 125, $150{\mu}mol\;m^{-2}s^{-1}$) 광원하에서 파종 40일 후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이비채소의 엽수는 시금치를 제외한 비트, 치커리,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초장은 비트를 제외한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3. 생체중과 건물중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4. 엽록소 a, 엽록소 b 함량은 시금치, 적상추, 겨자가 대조구인 Fluorescent lamp $150{\mu}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5. 총 안토시아닌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6. Free radical 소거능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의 $150{\mu}mol\;m^{-2}s^{-1}$에서 높았지만 LEDs 광원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의 베이비 채소를 Red+Blue (4:1) $150{\mu}mol\;m^{-2}s^{-1}$에서 재배한다면 더욱 좋은 생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 함량도 다른 광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좋았으므로 추후 상기의 베이비채소 생산 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xseed Meal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Inoculated on Red Mustard

  • Son, Hyeon-Jeong;Song, Kyung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67-71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xseed meal extract (FM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on red mustard. With the treatment of 0.7% FME for 3 min, the reduction levels of S. aureus and E. coli O157:H7 populations were 1.23 and 1.83 log CFU/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mbined treatment of 0.7% FME at $50^{\circ}C$ for 3 min reduced the populations of the pathogenic bacteria by 2.28 and 2.41 log CFU/g, respectively. The color and the vitamin C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us, FME can be used as a novel antimicrobial agent in fresh-cut vegetables.

건조방법에 따른 적겨자잎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효과 비교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Red Mustard (Brassica juncea L.)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이주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5-524
    • /
    • 201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air-dried red mustard (Brassica juncea L.) leaf (HR) and freeze-dried red mustard leaf (FR).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FR, and crude fat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highest in HR. However,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drying methods. Total free sugars were higher in HR compared with FR.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in both HR and FR. Contents of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HR compared with FR. The major organic acid of FR was malic acid, and the major organic acid of HR was malic acid. The conten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HR than in FR.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FR (10,187.22 mg%) compared with HR (9,815.80 mg%). Major minerals were K, Ca, and Na in the two drying methods. The contents of vitamins C and E in HR were higher than those in FR.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However, total flavonoid contents in HR were higher than in FR. The $IC_{50}$ values of FR and HR in ABTS assay were 0.89 mg/mL and 0.65 mg/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ll experiments suggest that HR and FR can be natural candidates as a rich source of antioxidants for further chemical investigation.

남녀 관광객의 돌산 갓김치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컨조인트 평가 (Conjoint Measurement of Tourists' Preferences for Dolsan Leaf Mustard Kimchi(Brassica juncea) across Gender)

  • 강종헌;정항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2-25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ourist product factor combinations which confer the highest utility to tourists and to establish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total utility across gender. Among 250 questionnaires, 230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X^2$ analysis, Conjoint model, Max. Utility model, BTL model, Logit model, K-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arson's R and Kendall's tau statistics showed that the model fitted the data well across gender. Second, it was found that total respondents and three clusters regarded taste price as the very important factor across gend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ale and female tourists most preferred product with light red color, shaped package, and highly pungent taste sold at a cheap price in factor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ale tourists most preferred simulation product with light red color, shaped package, and highly pungent taste sold at a cheap price in factory. The female tourists most preferred simulation product with light red color, shaped package, and mild taste sold at a cheap price in factory.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types of effective product designs that can be successfully developed by marketers.

  • PDF

식물공장내 양액의 EC가 적겨자와 청경채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C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Quality of Red Mustard and Pak-Choi in Plant Factory)

  • 이상규;최장선;이준구;장윤아;남춘우;여경환;이희주;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2-326
    • /
    • 2012
  • 최근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식물공장내 인공광을 이용한 쌈채소 재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쌈채소를 좋아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그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토양재배보다는 수경재배로 생산한 엽채류를 좋아하기 때문에 식물공장 시설을 이용하여 수경재배로 쌈채소를 생산하면 그 효과가 크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식물공장내에서 쌈채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적겨자와 청경채를 대상으로 양액농도별 수량과 비타민 함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겨자와 청경채 모두 초장은 EC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고, 엽수는 적겨자의 경우 EC 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청경채의 경우는 유의성이 없었다. 청경채의 경우 EC가 높아질수록 엽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생체중은 두 작물 모두 EC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 능력은 적겨자의 경우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청경채는 EC가 높을 때 높은 경향을 보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적겨자의 경우에 EC가 낮을수록 높게 나왔고, 청경채의 경우에는 EC $2.0dS{\cdot}m^{-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1.5, $2.5dS{\cdot}m^{-1}$ 처리구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적겨자와 청경채를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양액농도를 $2.0{\sim}2.5dS{\cdot}m^{-1}$로 관리하는 것이 생체중과 Ascorbic acid 함량을 고려해볼 때 가장 적절한 양액 농도 관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Thermal Inactivation of Myrosinase from White Mustard Seeds

  • Ko, Young Hwan;Lee, Ra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35
    • /
    • 2021
  • Myrosinases (thioglucosidases) catalyze the hydrolysis of a class of compounds called glucosinolates, of which the aglycones show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It is often necessary to minimize the loss of myrosinase activity during thermal processing of cruciferous vegetables. Myrosinase was isolated from a popular spice, white mustard (Sinapis alba), and its thermal inactivation kinetics was investigated. The enzyme was extracted from white mustard seeds and purified by a sequential processes of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Concanavalin A-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t least three isozymes were revealed by Concanavalin A-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The purity of the major myrosinase was examined by nativ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on-gel activity staining with methyl re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major enzyme was estimated to be 171 kDa. When the consecutive step model was used for the thermal inactivation of the major myrosinase, its inactivation energy was 44.388 kJ/mol for the early stage of destruction and 32.019 kJ/mol for the late stage of destruction. When the distinct two enzymes model was used, the inactivation energy was 77.772 kJ/mol for the labile enzyme and 95.145 kJ/mol for the stable enzyme. The thermal inactivation energies lie within energy range causing nutrient destruction on he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