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Soil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9초

Soil Carbon Cycling and Soil CO2 Efflux in a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

  • Kim, Choon-Si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23-2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est carbon cycling and soil $CO_2$ efflux rates in a 42-year-old pine (Pinus densiflora) stand located in Hamyang-gun, Korea. Aboveground and soil organic carbon storage, litterfall, litter decomposition, and soil $CO_2$ efflux rates were measured for one year. Estimated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rage and increment in this stand were $3,250gC/m^2\;and\;156gC\;m^{-2}yr^{-1}$, respectively. Soil organic carbon storage at the depth of 30 cm was $10,260gC/m^2$ Mean organic carbon inputs by needle and total litterfall were $176gC\;m^{-2}yr^{-1}\;and\;235gC\;m^{-2}yr^{-1}$, respectively. Litter decomposition rates were faster in nne roots less than 2 mm diameter size ($<220\;g\;kg^{-1}yr^{-1}$) than in needle litter ($<120\;g\;kg^{-1}yr^{-1}$). Annual mean and total soil respiration rates were $0.37g\;CO_2m^{-2}h^{-1}$ and $2,732g\;CO_2m^{-2}yr^{-1}$ during the study perio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soil $CO_2$ efflux and soil temperature (r=0.8149), while soil $CO_2$ efflux responded negatively to soil pH (r=-0.3582).

고추재배지에서 퇴비시용에 따른 토양 미생물의 인지질지방산 변화 (Changes of Soil Microbial Phospholipid Fatty Acids as Affected by Red Pepper Cultivation and Compost Amendment)

  • 박기춘;김수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4-199
    • /
    • 2010
  • 퇴비 등의 유기물 시용은 화학적, 생물적 토양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나 그 성분함량과 시용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고추 주산지인 경북 영양의 미사질 양토에서 퇴비 0, 30, 60 Mg $ha^{-1}$를 시용하였을 때 토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인지질지방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퇴비 시용량 30과 60 Mg $ha^{-1}$ 을 무처리와 각각 비교하였을 때 세균, 사상균, 균근균 지표지방산의 양은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사상균/세균의 지방산 비와 불포화/포화지방산의 비도 각각 증가하였다. 그러나, 퇴비 시용량의 증가는 그람$^-$/그람$^+$ 세균 지방산의 비는 증가시켰으나 불포화/포화지방산의 비는 감소시켰다. 퇴비는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 군락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나, 퇴비량의 증가는 미생물 군락의 구조만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인공산성우와 토양시비가 소나무잎의 광합성속도, 왁스 함량 및 접촉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and Soil Fertilizers on Photosynthetic Rate, wax Content, and Contact Angle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 최기영;이용범;채의석;이경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3-268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cid rain and soil fertilizers on photosynthetic rate, was content, and contact angle on 5-year seedling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The seedlings were exposed to pH 3.0 (simulated acid rain), pH 6.5 (groung water) and rain (pH around 4.6). The seedlings were also treated with $Ca(OH)_2, Mg(OH)_2, and Ca(OH)_2 + Mg(OH)_2 + C.F.(compound fertilizer)$.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was content, contact angle value, and mineral nutrient content of the leav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of the leav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increased with application of soil fertilizer in the pH 3.0 treatment, but showed no changes in the rain and the pH 6.5. 2. Contact angle value and was content of the leaves did not change with the pH treatment, but increased with the fertilizer treatments. 3. Mineral nutrient contents of the leaves were lowest in the rain treatment and highest in the pH 6.5 treatment. The increase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was observed with the soil fertilizer treatments.

  • PDF

고추와 콩 재배에서 토양온도, 토양수분과 무기태질소 변화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 평가 (Evaluation of $N_2O$ Emissions with Changes of Soil Temperature, Soil Water Content and Mineral N in Red Pepper and Soybean Field)

  • 김건엽;소규호;정현철;심교문;이슬비;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80-885
    • /
    • 2010
  • 밭에서 $N_2O$ 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N_2O$ 배출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시험포장에서 $N_2O$ 배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추와 콩에서 NPK+돈분퇴비를 처리하여 $N_2O$ 배출에 미치는 요인들과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_2O$ 배출량과 토양온도, 토양수분함량 및 무기태질소의 상관 분석한 결과, 고추에서 $0.528^{**}$, $0790^{***}$ 그리고 $0.937^{***}$, 콩은 $0.658^{***}$, $0.710^{***}$ 그리고 $0.865^{***}$으로 고도로 유의하여 $N_2O$ 배출량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N_2O$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추에서는 무기태질소 (71.9%), 토양수분 (23.6%), 토양온도 (4.5%), 그리고 콩은 무기태질소 (65.5%), 토양수분 (19.2%), 토양온도 (15.2%) 순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Spring Seeding on Growth and Carbon Uptake of Clover Species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 Myung-Chul;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44-652
    • /
    • 2017
  •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Clover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s on sloping, atmosphere purification, and supplying nitrogen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al land, we observed its effect on growth and carbon uptake in upland soil. The plant height of clover species increased with late harvesting time and was 46.0~55.0 cm at 90 days after seeding (DAS) and the longest in red clover. The dry matter increased at 85 DAS, after that, decreased slightly. The dry matter of white clover and red clover was $3.0Mg\;ha^{-1}$ and $3.1Mg\;ha^{-1}$, respectively, and crimson clover was $2.5Mg\;ha^{-1}$,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clover. Crops bloomed at 90 DAS were white clover and crimson clover, the period from sowing to flowering was 78 days for crimson clover and 85 days for white clover. The nitrogen content of the clover species was $12.0{\sim}29.3g\;kg^{-1}$, with the highest of $29.3g\;kg^{-1}$ for white clover. The carbon content of clover species was similar in all clover species, but carbon uptake was high in white clover and red clover, and lowest in crimson clover. The carbon uptake of the plant increased to 85 DAS and then decreased. Based on the clover growth and carbon uptake, white clover and red clover were promising when sown in spring.

노지고추에서 고추역병 경감을 위한 녹비작물 호밀의 재배효과 (Effect of Rye Cultivation for Reduction of Phytophthora Blight in Red Pepper Field)

  • 권오훈;김찬용;김영숙;원종건;정희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79-589
    • /
    • 2020
  • 고추역병 다발생 포장에서 녹비작물인 호밀재배에 따른 토양환경 변화와 고추역병 경감 효과를 조사하였다. 토양 물리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호밀재배에서 용적밀도와 공극률이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 삼상의 분포는 고상에서는 관행재배와 차이가 없었으나, 기상은 관행재배 보다 증가하고 액상은 감소하였다. 토양 내 인지질 지방산을 추출하여 지표 지방산으로 분석한 미생물 군락의 상대밀도는 호밀재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호기성균/혐기성균의 비율의 비율도 호밀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환경스트레스 지표인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율과 cyclo-지방산/전구체 비율은 호밀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낮아 토양환경이 개선 된 것으로 나타났다. 호밀재배에 따른 고추역병의 경감효과를 조사한 결과 호밀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30.7% 낮은 발병률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볼 때, 고추역병 다발생 포장에서 녹비작물인 호밀재배는 토양환경을 개선하고 고추역병 발병을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경작지토양에서 미생물제제가 미생물의 다양성과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Soil Microbial Diversity and Growth of Red Pepper by Treated Microbial Agent in the Red Pepper Field)

  • 안창환;임종희;김요환;정병권;김진원;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0-38
    • /
    • 2012
  • 두 종의 Bacillus와 한 종의 Pseudomonas로 구성된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고추 경작지에 첨가하였을 때 경작지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건전한 토양의 지표가 되는 질소순환관여 미생물과 근권토양 내 섬유소 분해기능, 인산가용화기능과 urea 가수분해기능을 가지는 기능성미생물의 활성과 밀도를 측정하였다. 고추 경작지 토양에 컨소시엄 PGPR 미생물인 B. subtilis AH18, B. licheniformis K11과 P. fluorescens 2112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처리하여 토양미생물의 다양성에 변화를 측정하여 컨소시엄 미생물제제의 처리에 의한 근권토양 미생물의 다양성 변화와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의 경우 Actinomyces spp., Trichoderma spp., 광합성세균과 Azotobacter spp.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1.7-5배 이상 높았으며, 질소 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1.4-4배 증가되었다. 또한 기능성 미생물의 다양성도 화학제제나 물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1.3-3배 증가하였다. 건고추 수확량은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처리하였을 경우 대조구나 화학제제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15%이상 수확량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PGPR 컨소시엄 미생물제제의 처리로 인해 고추 경작지 토양의 근권미생물 다양성과 작물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메타지노믹스를 활용하여 미생물 다양성 변화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제주 토양유형이 '제시골드' 키위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Kiwifruit Quality of 'Jecy Gold' as Affected by Soil Types in Jeju Island)

  • 문두경;김천환;김성철;손다니엘;좌재호;성기철;정희찬;임한철;이영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7-24
    • /
    • 2012
  • 동일한 무가온 하우스 내에서 화산회토양(흑색, 농암갈색) 및 비화산회토양(암갈색)에 재배되고 있는 5년생 참다래 '제시골드'(Actinidia chinensis cv. Jecy Gold)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토양유형에 따라 비교하였다. 토양유형별 토양수분포텐셜은 암갈색 비화산회토양이 가장 낮았다. 개화 후 과실 종경의 비대는 토양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횡경비대는 암갈색 비화산회토양이 흑색 및 농암갈색 화산회토양보다 작은 경향이었다. 과실의 당도는 개화 후 140일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140일 이후에는 암갈색 비화산회토양이 흑색 및 농암갈색 화산회토양보다 높았다. 수확 후 과실의 산함량 및 경도는 토양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과즙의 과당, 포도당 및 자당함량은 각각 암갈색 토양이 $4.45{\pm}2.08$, $5.43{\pm}1.13$, 및 $2.40{\pm}0.40%$, 흑색 토양이 $2.51{\pm}0.55$, $3.53{\pm}0.86$$0.80{\pm}0.33%$, 농암갈색 토양이 $2.55{\pm}0.47$, $3.53{\pm}0.73$$0.73{\pm}0.38%$ 이었다. 따라서 과실의 당도는 토양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원인은 비화산회토양인 암갈색 토양이 화산회토양인 흑색 및 농암갈색 토양보다 토양수분 보유능력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SCB) by Fertig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 Lee, Jong-Eun;Yun, Yeo-Uk;Lee, Jin-Il;Choi, Moon-Tae;Lee, Dong-Soek;Nam, Yun-G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04-412
    • /
    • 2015
  • The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SCB) liquid manure has some obvious advantages including a good source of N, P and K, local availability, effective microorganism and the ability to improve soil proper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n the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yield of red pepper by fertigation cultivation with SCB application for 2 years. Red pepper was transplanted in early May in 2013 and 2014. The treatment with three replication was composed of 4 types as control (N 1.0), SCB 0.5N, SCB 1.0N, and SCB 2.0N standards of recommended nitrogen fertilizer ($19kg\;N\;10a^{-1}$). The fertigation cultivation which was installed the surface drip irrigation system was splitted 10 times as $2.5Mg\;10a^{-1}$ nutritional solution included with chemical fertilizer and SCB every 10 days during the cultivation. The height and width of pepper plant were 7.0% and 5.8% higher in SCB 2.0N treatment than that in control. The yield of red pepper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SCB application rates from SCB 0.5N to 2.0N. The yield of SCB 1.0N was much better 10% in average than that of control,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reatments. pH of control soil after final harvest decreased to 6.1, however pH of SCB treated soils increased from 6.7 to 7.1 depending on SCB application rates. The Exch.-K contents of SCB treated soils were increased 13.7 to 56.9% after final harvest compared with control by $0.51cmol_c\;kg^{-1}$. Accordingly, these results showed that SCB 1.0N application rate as a recommended nitrogen level based on soil testing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nitrogen management as well as plant nutrition for red pepper cultivation.

재배 조건에 따른 고추의 생장과 토양 수분소비의 변화 (Changes of Soil Water Balance and Growth of Red Pepper as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s in the Plastic House)

  • 태근식;엄정식;황재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8-44
    • /
    • 2003
  • 플라스틱 하우스 내에서 토성과 재배조건을 달리하여 라이시메터를 이용한 용적법으로 고추의 증발산량을 구하고자 하였다. 멀칭과 사질 또는 점질양토는 무멀칭과 모래에 비하여 고추의 증산량이 높았으며, 고추의 생장과 수량을 증가시켰다. 그히고 총 관수량의 약53%∼72%가 고추의 증산에 소모되었고, 증발산량의 약 91%∼94%가 증산에 이용되었으며 증발량은 시기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생장 초기에 증산량보다 높은 편이었다. 고추의 전 생장기간 동안 증발산량은 기상조건과 생장량에 따라 다르지만, 점질양토에서 337.7∼774.3 mm, 사질양토에서 910.6 mm, 모래에서 253.1 m의 증산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