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very Log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딸기 중 침투성 및 비침투성 농약에 따른 잔류특성 연구 (Comparison of Residue Patterns for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in Strawberry)

  • 유정선;곽혜민;장희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5-311
    • /
    • 2020
  • BACKGROUND: The healthy food trend has encouraged the consumption of natural products, including berries. This tre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strawberry consumption. There has been a concern about the exposure of pesticides approved for use on strawberry. In this study, the dissipation patterns of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were evaluated in strawberry under plastic-covered greenhouse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 applied on strawberry in the critical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Strawberries were harvested at 0, 1, 2, 3, 5, 7 and 10 days after final application of the pesticides. The analyses of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performed by HPLC-DAD with C18 column. The limits of quantitation (LOQ)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 0.04 and 0.02 mg/kg, respectively. The recovery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 88.1 ~ 103.3% and 79.0 ~ 110.2% for the spiked two levels (LOQ and 10LOQ),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ves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werer 7.5 and 8.9 days, respectively. The dissipation rates in strawberry were calculated by the statistics method at a 95% confidence level.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pesticides with low log Pow were indicated by the decreased dissipation rate and pesticides with similar log Pow and low solubility also showed the decreased dissipation rate. CONCLUSION: The residues of cyflumetofen and dimethomorph in strawberry at time 0 after the final application were below the established MRL in Korea. The dissipation behavior of systemic and non-systemic pesticides in strawberry is affected by their log Pow and water solubility values.

이태리포푸라재(材)의 건조성(乾燥性) 및 성질개선(性質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ess-drying of Italian Poplar Board and its Effect on Improvement of Wood Property)

  • 정희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30
    • /
    • 1978
  • 이태리포푸라재(材)의 건조(乾燥)의 한 방안(方案)으로서 열판건조(熱板乾燥)를 실시(實施)하여 건조중(乾燥中) 판재(板材)의 내부온도(內部溫度), 판재(板材)의 내부온도별(內部溫度別)에 따른 판재(板材)두께,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과 건조시간(乾燥時間)의 관계(關係), 건조중(乾燥中) 함수율(含水率)과 건조속도(乾燥速度), 수축율(收縮率)과 복원율(復元率), 그리고 열판건조재(熱板乾燥材)의 생재비중(生材比重),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 경단방향(徑斷方向) 전수축율(全收縮率) 등(等)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판재(板材)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건조초기(乾燥初期)에 급격히 상승(上昇)해서 15분(分) 동안 거의 일정(一定)하게 유지된 다음 서서히 상승(上昇)하였다. plateau temperature는 $114{\sim}119^{\circ}C$이었다. 2. 판재(板材)의 내부온도별(內部溫度別)에 있어서 판재(板材)의 건조시간(乾燥時間)(y)와 판재(板材)두께($x_1$),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x_2$),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x_3$) 사이에 관계식(關係式)은 다음과 같다. 3. 열판건조(熱板乾燥)의 건조시간(乾燥時間)(t)에 대(對)한 건조중(乾燥中) 함수율(含水率)(u)의 관계(關係)는 log u=4.658-0.060t(R=-0.990)이고, 건조속도(乾燥速度)(r)의 관계(關係)는 log r= -2.797-0.049t(R= -0.992)의 곡선(曲線)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그리고 천연건조중(天然乾燥中) 함수율(含水率)과 건조속도(乾燥速度)는 그림 2 와 같다. 4. 열판건조중(熱板乾燥中) 건조시간(乾燥時間)(t) 에 대(對)한 판재(板材)두께 (y) 수축율(收縮率)의 관계(關係)는 log y= l.933+038t(R=0.927)이고, 판재복(板材福) 팽창율(膨脹率)(y)의 관계(關係)는 $y=-0.692+0.043t-0.001t^2(R=0.984)$의 곡선(曲綠)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5.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2%까지 건조시(乾燥時)에 열판(熱板)의 압력별(壓力別) 따른 두께 수축율(收縮率)은 압력(壓力) 높아질 수록 커졌으나 폭수축율(幅收縮率)과 두께 복원율(復元率)은 35psi에서 가장 컸다. 6. 열판건조재(熱板乾燥材)의 생재비중(生材比重)은 천연건조재(天然乾燥材)의 것보다 25% 증가하였으며,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은 24% 감소하였고, 열판건조재(熱板乾燥材)의 항수축율(抗收縮率)은 27.7%이었다.

  • PDF

Oxime 화합물을 침윤시킨 Amberlite XAD 수지에 의한 금속이온의 흡착 및 회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and Recovery of Metal Ions by Amberlite XAD Resins Impregnated with Oxime Compounds)

  • 이대운;음철헌;김영희;유의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7-405
    • /
    • 1985
  • 금속킬레이트제로써 잘 알려진 몇가지 oxime 화합물들의 Amberlite XAD 수지들에 대한 흡착성을 분포계수값을 측정함으로써 상호 비교해 본 결과 킬레이트제로서는 분포계수값이 비교적 큰 salicylaldoxime (SAO)과 ${\alpha}$-benzoinoxime(${\alpha}$-BzO) 그리고 수지로서는 XAD-4 수지가 적합함을 알았다. SAO과 ${\alpha}$-BzO를 XAD-4 수지에 각각 침윤시킨 SAO-XAD-4 및 ${\alpha}$-BzO-XAD-4 침윤수지의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SAO와 ${\alpha}$-BzO의 XAD-4 수지에 대한 최적 흡착조건은 30% 메탄올, pH 1∼8(SAO) 및 pH 1~9 (${\alpha}$-BzO)였다. SAO 및 ${\alpha}$-BzO의 XAD-4 수지에 대한 흡착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흡착메카니즘은 흡착엔탈피(-${\Delta}$H)를 구해본 결과 4.99 ~ 6.66 (Kcal/mol)인 것으로 보아 쌍극자-쌍극자 인력에 상응하는 분자 흡착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금속이온을 흡착시키는 매질용액과 흡착된 금속이온을 회수하는 염산수용액에서 침윤수지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전자는 pH 5∼10에서, 후자는 0.1~5M 염산수용액에서 비교적 큰 안정성을 보였다. 두 침윤수지에 의한 Mn(II), Co(II), Ni(II), Zn(II)등의 금속이온의 흡착몰비는 대략 1;2(금속이온:킬레이트제)이었으며 흡착된 금속이온은 3M-HCl 수용액 또는 3M-HCl/50%-MeOH 용리액으로 정량적으로 회수가 가능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Two-stage Pretreatment from Soybean Hull for Efficient Glucose Recovery

  • Jung, Ji-Young;Choi, Myung-Suk;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78-90
    • /
    • 2012
  • Soybean hull is an attractive feedstock for glucose production. To increase the glucose conversion in acid hydrolysis, a pretreatment method combined steam explosion with alkali pretreatment for soybean hull was studied. For first step pretreatment, steam explosion conditions (log Ro 2.45) were optimized to obtain maximum solid recovery and cellulose content. In the second step pretreatment, the conditions for potassium hydroxide pretreatment of steam exploded soybean hull were optimized by using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um conditions for minimum lignin content were determined to be 0.6% potassium hydroxide concentration, $70^{\circ}C$ reaction temperature and 198 min reaction time. The predicted lignin content was 2.2% at the optimum conditions.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optimum conditions gave the lignin content in similar value with the estimated value of the model. Finally, glucose conversion of pretreated soybean hull using acid hydrolysis resulted in $97.1{\pm}0.4%$. This research of two-step pretreatment was a promising method for increasing the glucose conversion in the cellulose-to-glucose process.

Recovery of NK(CD56+CD3-) Cells after One Year of Tenofovir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 Lee, Hwan Hee;Kang, Hyojeung;Cho, Hyo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204-1208
    • /
    • 2017
  • Natural killer (NK) cells have been reported to be dysfunctional in chronic hepatitis B (CHB) infection. However, the functional recovery of NK cells under antiviral therapeutic agents in CHB was not clea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enotypic changes of NK(CD56+CD3-) cells in terms of their functional markers (CD16, NKG2A, NKG2D) during tenofovir therapy in CHB. The frequency of NK(CD56+CD3-) cells in CHB patie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months of tenofovir therapy when compared with baseline. The expression levels of CD16+/CD56+CD3- and NKG2A+/CD56+CD3- cells were also affected by tenofovir treat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NK(CD56+CD3-) cells and HBV DNA (log copies/ml) in CHB patients.

안전요원 배치 여부에 따른 무인운전 경전철의 운행중단 시간예측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Suspension Time of Unmanned Light Rail according to Safety Personal Deployment)

  • 곽상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7-92
    • /
    • 2023
  • The number of unmanned light rail train operato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Korea. In a failure event during an oper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unmanned operation, recovery is performed based on the remote control. However, if remote recovery is not feasible, safety personnel arrive at the train to resume the train operation. There are regulations on safety personnel and the suspension time of the train operation.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rule for safety personnel deployment. Currently, railway operating organizations operate in three scenarios: safety personnel on board trains, stationed at stations, and deployed at major stations. Four major factors influence the downtime for each emergency response scenario. However, these four influencing factors vary too much to predict results with simple calculations. In this study, four influencing factors were considered as random variables with high uncertainty. In addition, the Monte Carlo method was applied to each scenario for the safety personnel deployment to predict train service downtime. This study found a 17% difference in train service suspension by safety personnel deployment scenari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setting service goals, such as standards for future safety personnel placement and frequency of service interruptions.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을 위한 결함 복구 시간 제한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ash Recovery Technique with Bounded Execution Time for NAND Flash File System)

  • 강승엽;박현찬;김기만;유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6호
    • /
    • pp.330-338
    • /
    • 2010
  • 현재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다양한 이동형 기기에 활용되면서 급격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더욱 용량이 크고 빠른 기기들을 요구하지만, 현재의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은 결함 상황에서 복구 및 초기화 시간이 미디어의 용량에 비례하여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기기의 부팅 시간을 지연시켜 사람들의 불편을 초래한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 초기화 시간이 미디어의 용량과 무관하도록 '작업 영역 기법'을 제안한다. 작업 영역 기법은 한 시점에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일부 영역만을 작업 공간으로 정의하고 유지하며 쓰기 명령을 작업 공간 안에서만 수행시킨다. 따라서 결합 상황에서 복구시 검색해야 할 크기를 최근 작업 영역으로 제한하므로써 결함 복구 수행 시간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용량과 비례하지 않도록 한다. 우리는 이러한 작업 영역 기법을 YAFFS2를 기반으로 구현하였으며 기존 기법들과 초기화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1기가 낸드 플래시 메모리상에서 결함 복구 수행 시간이 기존의 로그 기반 기법에 비해 25배 가량 단축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격차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용량이 늘어날수록 커질 것이다.

고투수성 충적층에서 수리전도도와 종분산지수의 규모종속효과 (The scale dependent effect of hydraulic conductivity and longitudinal dispersivity in the alluvial aquifer with high permeability)

  • 강동환;김태영;김성수;김동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99-1903
    • /
    • 2008
  • 대수층의 저유량이 풍부한 강변여과수 개발 예정지역의 충적층(지표면하 $25{\sim}35\;m$ 구간)에서 수리전도도와 종분산지수의 규모종속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양수시험과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이 수행 되었다. 양수시험과 추적자시험의 규모는 2 m 와 5 m 이었으며 양수시험은 5개 공, 추적자시험은 3개 공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양수시험은 일정한 양수율($2,500\;m^3/day$)로 수행되었으며, 양수 시작 후 경과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자료를 AQTESOLV 3.5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해석하였다. 시험 대수층의 수리전도도는 양수정에서 $1.745{\times}10^{-3}\;m/sec$, 양수정에서 이격거리가 2 m 구간에서는 $2.161{\times}10^{-3}\;m/sec$$2.270{\times}10^{-3}\;m/sec$ 이었으며, 이격거리가 5 m 구간에서는 $2.452{\times}10^{-3}\;m/sec$$2.591{\time}10^{-3}m/sec$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양수정에서 회복시험 시 Theis(Recovery) 방법에 의해 해석된 수리전도도는 $1.603{\times}10^{-3}\;m/sec$이었다. 양수정에서 관측정의 이격거리(d)에 따른 수리전도도(K) 증가함수는 log K=0.0693 log d-2.671와 log K=0.0817 log d-2.655로 추정되었으며, 결정 계수는 각각 0.965와 0.979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양수정에서의 이격거리가 멀수록 수리전도도가 증가하는 규모종속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시험대수층의 수리전도도가 방사상으로 유사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의 양수율은 $2,500\;m^3/day$ 이었으며, 2개의 주입정에 염소이온 5 kg을 순간 주입하였다. 염소이온의 농도이력곡선을 작성하여 초기도달시간과 최고농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누적질량회수곡선을 통해 양수 후 경과시간에 따른 염소이온의 질량회수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염소이온농도 대 누적질량회수율의 이력그래프를 작성하여 누적질량회수율에 따른 염소이온농도의 증가와 감소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염소이온농도의 증가/감소 구간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농도 증가율과 감소율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양수정에서 관측된 경과시간별 염소이온농도 자료를 CATTI 코드의 "Converging Radial Flow With Instantaneous Injection" 해석법에 적용하여 종분산지수를 추정하였다. 양수정에서 이격거리가 2 m인 경우의 종분산지수는 0.4152 m, 이격거리가 5 m인 경우의 종분산지수는 3.2665 m이었다. 따라서 양수정에서 이격거리가 멀수록 종분산지수가 증가하는 규모종속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격거리에 대한 종분산지수의 비는 각각 0.21과 0.65 정도로서 증가하였다.

  • PDF

셰일가스정 천이유동 생산자료분석의 기술적 고려사항 (Technical Consideration for Production Data Analysis with Transient Flow Data on Shale Gas Well)

  • 한동권;권순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수압파쇄와 수평시추가 적용된 셰일가스정에서 생산자료의 유동형태에 따라 적절한 분석 방법과 궁극가채량을 산출하는 기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정리한 흐름도를 제안하였다. 또한 1차 천이유동만이 나타나는 현장자료에 대해 생산천이유동 분석을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log-log 그래프와 시간제곱근 그래프 분석을 통해 생산자료의 유동 특성을 분류할 수 있고, 이 결과, 1차 천이유동만이 나타나는 생산자료는 이 유동이 종료되는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여 이 시점을 기준으로 생산성을 각각 예측하여야 한다. 이 시점은 미세탄성파 탐사자료 해석을 통해 균열자극부피의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공저압력자료나 미세탄성파 탐사자료가 없다면 셰일가스정에 적절한 경험적 방법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생산기간이 짧은 자료는 상대적으로 생산기간이 긴 인접 생산정의 자료를 활용하여 생산기간의 적절성을 평가한 후 필요하다면 생산초기 자료를 제외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탄성파 탐사자료 해석에 의해 산출된 SRV는 분석방법이나 분석자의 주관에 의해 과대, 과소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파쇄 단계, 파쇄유체 주입량, 생산성 분석을 통한 적절성평가를 수행하여 필요한 경우, 저류층 시뮬레이션, 균열모델링, 생산천이분석을 통해 재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령과 손잡이에 따른 정상인들의 Motor Activity Log-28과 Actual Amount of Use Test 연구 및 Actual Amount of Use Test의 평가자간 신뢰도연구 (Studies on Motor Activity Log-28 and Actual Amount of Use Test, Actual Amount of Use Test Inter-rater Reliability in Healthy Individuals: Age Dependence and Handedness)

  • 김경현;신유미;임미유;정유창;오지은;김수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33
    • /
    • 2019
  • Background: Spontaneous use of the upper extremities on the affected side of patients with stroke is a meaningful indicator of recovery and may vary by the age or dominant hand of patients. No prior study has reported changes in actual amount of use test (AAUT) and motor activity log (MAL)-28 according to age and handedness in healthy adults, and AAUT inter-rater reliability for assessment of healthy adult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1) research the differences in AAUT and MAL-28 according to age and handedness in healthy adults, and (2)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AAUT. Methods: Seventy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L-28 was assessed by dividing 61 subjects into young right-handed ($n_1=20$), young left-handed ($n_2=21$), and older right-handed ($n_3=20$) groups. The AAUT was assessed by dividing 63 subjects into young right-handed ($n_1=25$), young left-handed ($n_2=18$), and older right-handed ($n_3=20$) groups. Student's t-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Amount of Use (AOU) scale values for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and handedness groups in the MAL-28 (p>.05). The AAUT AOU scale val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dominant handedness in the AAUT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05). (2)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AAUT was excellent, except few items (item 9, 11, and 12). Conclusion: Although both the MAL-28 and the AAUT measured how much participants used their dominant arms in healthy subjects, the AAUT on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ominant arm use in left hander than the right hander. In addition,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AAUT was excellent. Current results can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when clinicians develop rehabilitation strategies, and AAUT was shown to be a reliable evaluation tool for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use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reliability demonstrated by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