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very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초

Three Dimensional Shape Recovery from Blurred Images

  • Kyeongwan Roh;Kim, Choongwon;Lee, Gueesang;Kim, Soohyu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2
    • /
    • pp.799-802
    • /
    • 2000
  • There are many methods that extract the depth information based on the blurring ratio for object point in DFD(Depth from Defocus). However, it is often difficult to measure the depth of the object in two-dimensional images that was affected by various elements such as edges, textures, and etc. To solve the problem, new DFD method employing the texture classification with a neural network is proposed. This method extracts the feature of texture from an evaluation window in an image and classifies the texture class. Finally, It allocates the correspondent value for the blurring ratio.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method gives more accurate than the previous methods.

  • PDF

이첨 대동맥판막협착을 동반한 단일 관상동맥증 -1례 보고- (Single Coronary Artery Associated with Bicupid Aortic Valvular Stenosis -1 Case Report-)

  • 김우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472-476
    • /
    • 1994
  • The incidence of single coronary artery is extremely rare in a review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coronary arteries. This 27-year-old male patient was referred for the evaluation of cardiac condition showing exertional dyspnea[NYHA class II-III] and chest discomfort for about 1 year. A complete catheterization study including angiogram disclosed large single coronary artery arising from left aortic sinus [Ogden classification L-4] associated with bicuspid aortic valvular stenosis and low grade supravalvular aortic stenosis. Calcified stenotic aortic valve was fully removed with caution and the 19mm St. Jude Medical valve was then implanted in the small nortic annulus. The patient had an uneventful recovery and was discharged on 13th postoperative day.

  • PDF

A Systemic Review of Body Awareness Therapy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 Ahn, Si-N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4호
    • /
    • pp.154-162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available body awareness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 total of 3,462 studies were searched in relevant databases using the search keywords, and six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after review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studies was classified using the five levels of evidence-based classification, and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ICO model (patient/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s). Of the six studie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one, three, and tw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on-randomized two-group studies, and case reports, respectively. Body awareness therapy was applied to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non-specific musculoskeletal disorder, hip osteoarthritis, and amputation, who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after the interventions. Our results suggested that body awareness therapy is an important intervention with positive effects on the recovery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tudy on the Lifetime Prediction of Lithium-Ion Batteries Based on the Long Short-Term Memory Model of Recurrent Neural Networks

  • Sang-Bum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3호
    • /
    • pp.236-241
    • /
    • 2024
  • Due to the recent emphasis on carbon neutralit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global electric vehicle (EV) market is experiencing rapid growth. This surge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recycling and disposal methods for EV batteries. Unlike tradi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EVs require unique and safe methods for the recovery and disposal of their batteries. In this process, predicting the lifespan of the battery is essential. Impedance and State of Charge (SOC) analysis are commonly used methods for this purpose. However, predicting the lifespan of batteries with complex chemical characteristics through electrical measurement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To enhanc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this paper proposes using a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a type of deep learning-based recurrent neural network, to diagnose battery performance. The goal is to achieve safe classification through this model. The designed structure was evaluated, yielding results with a Mean Absolute Error (MAE) of 0.8451,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1.3448, and an accuracy of 0.984,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재발성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추간판 재절제술의 결과 (The Result of Repeat Discectomy for Ipsilateral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 김우성;나화엽;오상훈;박섭리;손의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9-64
    • /
    • 2017
  • 목적: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추간판 재절제술의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59명이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추간판 재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관찰하였다. 수술 결과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Macnab 분류에 따라서 평가하였고, 회복률은 VAS 변화에 따라 계산하였다. 그리고 SPSS를 이용하여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수술률은 일차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전체 환자의 6.0% (59/983예)를 차지하였다. VAS에 따른 첫 번째 수술의 임상적 호전 비율은 77%, 두 번째 수술에서는 71%로 측정되었다. 통계적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평균 임상적 호전 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acnab 분류에 따르면 96%의 환자가 excellent 또는 good 판정을 받았다. 추간판 재절제술 후 추가적으로 요추 불안정성이 발생된 증례는 없었다. 재수술 시 흡연, 외상력, 당뇨의 요인에 따른 수술 후 임상적 호전 정도에는 일차 수술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 시행한 추간판 재절제술은 일차 추간판 절제술만큼 좋은 임상 결과를 보였다. 흡연, 외상력, 당뇨의 요인들은 추간판 재절제술의 결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성인에서 발생한 단순성 골 낭종에 대한 스테로이드 주입의 효과 (The Effect of Steroid Injection of Simple Bone Cyst in Adults)

  • 양준영;이준규;김동희;김태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9
    • /
    • 2006
  • 목적: 성인의 단순성 골 낭종에서 스테로이드 주입법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추시 가능한 11예를 대상으로 Needle aspiration 또는 천공술로 병변에 도달하여 낭종액을 배액후 Depo-medrol (methylprednisolone acetate, 신풍제약, Korea)을 1회 최소 80 mg에서 최대 200 mg까지 주입하였고, 추시 방사선 촬영은 투여 후 2주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약물 투여 후 6주에 시행한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치유의 증거가 보이지 않을 경우, 8주에 추가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재 투여하였다. 최대 5회까지 시행하였고, 변형된 Neer의 분류법, Pentimalli 분류법, Scaglietti와 Sandra 분류법에 따라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스테로이드의 한번 주입으로 치유된 예는 없었으며, 2회 주입 후 3예, 3회 주입 후 3예, 5회 주입 후 2예에서 치유되었고, 2예에서는 5회 주입 후에도 호전되지 않았으나, 증상의 변화가 없어 현재 관찰중이다. 1예에서는 2회의 스테로이드 주입 후에도 골 낭종의 크기가 증가되어 병적골절의 위험이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Pentimalli 등의 단순 방사선 사진의 방사선학적 판정기준에 의해 결과를 평가하면, 1예에서 우수, 7예에서 보통이었고 3예에서 불량이었다. 결론: 스테로이드의 국소적 주입 요법은 성인에서도 효과적이며 일차적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 PDF

노후 코어형 필댐의 잠재 위해성 유형 분류 (Potential Hazard Classification of Aged Cored Fill Dams)

  • 박동순;오제헌
    • 지질공학
    • /
    • 제26권2호
    • /
    • pp.207-221
    • /
    • 2016
  • 최근 국내 필댐 및 저수지의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제체의 손상이나 붕괴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필댐의 핵심적인 차수기능을 담당하는 코어층에 대한 열화와 잠재 위해성 분류에 대한 연구는 거의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가 진행 중인 13개 기존 코어형 필댐에 대해(준공 후 경과년수 9-52년, 댐 높이 22-67 m), 무수보링에 의한 코어층 시추 지반조사와 표준관입시험, 2D 및 3D 전기비저항탐사, 물성·역학시험을 수행하여 공학적 기반의 잠재적 위해성 유형을 국내 최초로 분류, 제시하였다. 중심코어층에 대한 무수보링 시추 지반조사 결과, 코어재 잠재 위해성 유형을 국부적 포화대, 신속한 공내수 유입, 조립질 혼재 코어재, 상대적 저 강성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코어형 필댐의 잠재 위해성 유형 중국부적 포화대 유형은 코어존 내 유로의 성장 및 발달에 의한 내적침식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가장 위험한 위해성으로 분류 되었으며, 코어재의 열화 등급에 따라 적절한 차수능 회복을 위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외 세 가지 위해성 유형은 즉각적인 조치보다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기 검사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대상 댐의 분석 결과, 준공 후 경과년수와 댐 코어재의 열화 양상과는 상관성이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코어형 필댐의 노후화에 따른 댐의 안전관리와 성능개선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보벡터 분류에 의한 영상 에러 복원 (Error Recovery by the Classification of Candidate Motion Vectors for H.263 Video Communications)

  • 손남례;이귀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2호
    • /
    • pp.163-168
    • /
    • 2003
  • 이동 통신 채널과 같은 저대역 통신망에서는 비디오 전송을 위해서는 높은 압축율을 갖는 부호화 방법들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대역 폭 통신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H.263 부호화를 기반으로 전송도중 손상된 움직임 벡터의 복원기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공간적으로 인접한 블록간에는 움직임 벡터의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손실블록 또한 이 블록들과 움직임이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손실블록의 주변블록 중에서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을 갖는 블록들로 구성된 동일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이 블록들을 이용하여 손실블록의 움직임벡터를 복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정확한 손실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찾아 거의 완벽하게 복원하기도 하지만 정확한 움직임벡터를 찾지 못한 경우에는 주변블록과 가장 비슷한 움직임벡터를 찾아서 에러를 은닉하는 효과가 있다. 제안한 방법으로 복원한 영상은 전체적으로 눈에 거슬리는 오류가 생기지 않으므로 주관적인 화질이 좋았다. 또한 객관적인 척도인 PSNR 측면에서는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기존 BMA 방법보다 약 0.5㏈∼l㏈까지의 향상이 있었다.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in patients undergoing minor oral surgery

  • Saiso, Krittika;Adnonla, Pornnarin;Munsil, Jitpisut;Apipan, Benjamas;Rummasak, Duangdee;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3호
    • /
    • pp.199-204
    • /
    • 2017
  • Background: Anxiety control remains an important concern in dental practice. We evaluated the incidence, nature, and sequelae of complications during and after minor oral surgeries performed under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using the titration technique. Metho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minor oral surgeries under moderate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1, 2015 and December 31, 2015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ge, sex, body mass index, medical history,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classification, indications for sedation, amount of sedative used, surgical duration, and recovery time were evaluated for all patients. Results: In total, 107 patients aged 9-84 years were included. ASA class I and class II were observed for 56.1% and 43.9% patients, respectivel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edation occurred in 11 (10.2%) patients.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Oxygen saturation reached 95% during the procedure in six patients; this was successfully managed by stimulating the patients to take a deep breath. Two patients exhibited deep sedation and one exhibited paradoxical excitement. After the procedure, one patient experienced nausea without vomiting and one exhibited a prolonged recovery time. The surgical procedures were completed in all patients. Obes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dation-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using the titration technique for minor oral surgeries are mostly minor and can be successfully managed with no prolonged sequelae.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폐자동차 범퍼 파쇄물의 색채선별공정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Color Sorting Process of Shredded ELV Bumper using Reaction Surface Method)

  • 이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2호
    • /
    • pp.23-30
    • /
    • 2019
  • 폐자동차 범퍼 파쇄물 재활용을 위하여 색채선별법을 도입하였다. 색채선별법은 기존의 비중, 입도 차이에 의한 선별이 어려운 물질을 색상 차이를 이용한 카메라와 영상 분석기법으로 분리하는 선별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법 중 BBD (Box-Behnken Design)를 적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다. 색채민감도, 피드투입량 및 입자크기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회귀분석과 통계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2차 반응 모델을 획득하였다. $R^2$ 및 p-value는 각각 99.56%, < 0.001로 타당하였으며, 추정된 최적조건은 색채민감도 32%, 피드투입 200 kg/h, 입자크기 33 mm 조건에서 94.1%의 회수율이 나올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제 실험을 통한 회수율은 93.8%로 나타나 해당 모델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