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mmended wearing tim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일회용 써클소프트렌즈의 초과 착용에 의한 정상안의 자·타각적 증상 및 렌즈 광투과율의 변화 (Changes in Subjective/Objective Symptoms and the Light Transmissibility of Lens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Normal Eyes)

  • 박미정;권해림;최새아;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9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회용 써클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의 초과 착용으로 유발될 수 있는 자각적 및 타각적 변화와 광투과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가지 다른 재질(hilafilcon B, nelfilcon A, etafilcon A)의 일회용 써클렌즈를 안질환이 없으며 눈물량이 정상인 20대 20안에게 각각 착용시키고 자각적 불편감, 착용자의 순목횟수, 비침습성 눈물막 파괴시간(NIBUT), 각막에서의 렌즈 중심안정위치 및 렌즈 가시광선 투과율를 렌즈 착용직후와 착용자가 불편감을 호소하여 더 이상 렌즈를 착용하지 못하였을 때에 각각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결과: 일회용 써클렌즈의 평균 착용권장시간인 8시간을 초과하여 15시간 이상 착용하였을 때부터 착용감 저하를 호소하였으며, 30시간 이상 착용 시에는 대부분의 피검자가 렌즈 착용을 중단하였다. 렌즈 착용중단시점에서 대표적인 자각적인 불편감은 뻑뻑함, 건조감 및 피곤함이었다. 일회용 써클렌즈의 초과착용 시 순목횟수는 착용직후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NIBUT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렌즈 착용중단시점에서 렌즈의 중심안정위치는 착용직후에 비해 동공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렌즈에서 나타나는 결과이었으나 렌즈 재질의 종류나 개인에 따라서 자각적 및 타각적인 변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의 변화는 크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일회용 써클렌즈의 초과착용 시 감소된 NIBUT값은 건조감과 뻑뻑함을, 가시광선 투과도의 감소는 순목횟수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는 중심안정위치의 이탈과 자각적 불편감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개인 및 렌즈 재질의 종류에 따라서 그 정도의 차이가 크며, 이로 인하여 개인에 따라서는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일일 권장착용시간 준수의 필요성 및 문제점의 교육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How Does the Filter on the Mask Affect Your Breathing?

  • Kum, Dong-Min;Shin, Won-Seob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438-443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mask filters on the respiration rate of healthy people. Design: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Methods: A total of 15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n=15). After filling out the Physical Activity Readiness Questionnaire, the selected participants abstained from caffeinated beverages and meals 30 minutes before and sat in a chair 10 minutes before stabilizing their breathing. Afterwards, the lung function test was performed 3 times for each mask, and the maximum value was used. The provided masks were Mask Free, Dental Mask, KF80, and KF94. Exhalation was measured for 6 seconds for each mask, and breathing was stabilized by repeat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until the next time. Result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respiratory function according to the mask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FEV1 and FVC (p<0.05). As a result of post-hoc analysis, FVC, FEV1, PEF, and FEF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not wearing a mask (p<0.05). When wearing KF94, FVC, FEV1, PEF25-25%, and FEF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when wearing a dental mask (p<0.05). When wearing a KF80 mask,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FVC and FEV1 than when wearing a dental mask (p<0.05). In FEV1/FVC, the difference by mask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it was lower than the spirometry standard of COPD patients (FEV1/FVC<0.7). Conclusions: As Now that wearing a mask is essentia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ask affects the respiratory rate.Therefore, in the case of healthy adults, it is recommended to rest after wearing a mask if attention deficit or headache occurs. People with low breathing capacity are recommended to have low-intensity activities and frequent rest periods after wearing a mask.

콘택트렌즈 착용 직장인의 착용시간에 관한 조사 (The Survey on its Wearing Schedule of Workers Wearing Contact Lens)

  • 김기성;김선경;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9
    • /
    • 2015
  • 목적: 콘택트렌즈 착용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시간과 권장착용시간을 비교하여 올바른 콘택트렌즈 착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콘택트렌즈 착용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611명(남성 39명, 여성 5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일 렌즈 착용시간, 착용 중인 렌즈의 종류, 일주일 중 렌즈 착용일수, 권장착용시간 인지와 준수여부를 설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일 콘택트렌즈 착용시간은 평균 $7.97{\pm}3.60$ 시간으로 나타났다. 247명(40.4%)가 권장착용시간을 초과하여 착용하고 있었고, 36명(5.9%)은 일일 15시간 이상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착용하고 있는 렌즈의 종류에 따른 착용시간은 3개월 착용 렌즈와 매일착용 렌즈가 각각 $9.79{\pm}2.68$ 시간과 $8.98{\pm}3.30$ 시간 이었다. 렌즈의 착용일수에 따라서는 주 5일 이상 착용하는 경우 평균 9시간 이상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장착용시간을 알고 있는 사람은 293명(48.0%), 모르는 사람 318명(52.0%)이었다. 권장착용시간을 알고 있는 사람의 56.7%가 착용시간을 준수한 반면, 모르는 사람은 22.3%가 착용시간을 준수하였다. 권장착용시간을 알면 권장착용시간을 지킬 확률이 4.55배 높았다. 결론: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한국 직장인의 일일 평균 착용시간은 $7.97{\pm}3.60$ 시간(2~15시간)이며, 권장착용시간을 초과한 경우는 247명(40.4%)이었다. 권장착용시간에 대한 교육과 장시간 착용자에 대한 권고사항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콘택트렌즈의 재질별 각막부종의 비교 (Comparison of Corneal Edema Induced by Material of Contact Lens)

  • 김기성;김선경;김태훈;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1-156
    • /
    • 2015
  • 목적: 콘택트렌즈를 권장착용시간 동안 착용한 후에 렌즈의 재질에 따라 발생하는 각막부종의 정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이나 약물사용이 없는 성인남녀 43명 77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Narafilcon A, HEMA,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의 정기교체형 렌즈 3종의 렌즈를 사용하였다. 중심각막두께는 Pentacam을 사용하여 렌즈 착용 전과 8시간 착용 후를 측정하였다. 착용 전과 후의 차이 값으로 각막부종의 정도를 판단하였다. 결과: Narafilcon A, HEMA 재질의 렌즈,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의 정기교체형 렌즈의 평균 각막부종은 각각 $2.36{\pm}6.15{\mu}m(Mean{\pm}SD)$, $23.61{\pm}10.71{\mu}m$, $18.25{\pm}8.64{\mu}m$였다. Narafilcon A를 착용한 뒤 측정된 중심각막두께는 착용 전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EMA와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의 렌즈에서 착용 후에 유발된 각막부종은 그 정도에 있어 narafilcon A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정기교체형 실리콘 하이드로젤 재질 렌즈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양은 HEMA 재질의 렌즈에서 유발된 각막부종의 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narafilcon A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재료의 조성에 따라 권장착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회용 써클소프트렌즈의 일일 초과착용 시 유발되는 건성안의 자각적 불편감, 순목횟수, 중심안정 및 렌즈 광투과율의 변화 (Changes in Subjective Discomfort, Blinking Rate, Lens Centration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Lens Induced by Exceeding Us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Dry Eyes)

  • 박미정;강신영;장정이;한아름;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62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성안이 일회용 써클소프트렌즈(이하 써클렌즈)의 권장착용시간을 초과하여 하루 이상 착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자각적 및 타각적 변화와 렌즈 가시광선투과율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로 다른 재질(hilafilcon B, nelfilcon A 및 etafilcon A)의 3가지 일회용 써클렌즈를 눈물량이 정상보다 적은 20대의 건성안(30안)에게 착용시키고 자각적 불편감, 착용자의 순목횟수, 각막에서의 렌즈중심안정위치 및 렌즈 가시광선투과율을 렌즈 착용직후와 착용자가 자각적 불편감의 증가로 더 이상 렌즈를 착용하지 못하였을 때에 각각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결과: 일회용 써클렌즈의 재질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였지만 10시간 이상 착용하였을 때부터 자각적 불편감을 호소하며 렌즈착용을 중단하였다. 그러나 비이온성 써클렌즈의 경우는 40시간 이상을 착용하는 건성안도 20% 정도로 나타났다. 건성안은 세 가지 재질 가운데 etafilcon A 재질 써클렌즈의 초과착용 시 가장 민감하게 자각적 불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써클렌즈 착용중단시점에서 대표적인 자각적인 불편감은 이물감, 뻑뻑함, 건조감 및 피곤함이었다. 일회용 써클렌즈를 초과착용하였을 때 순목횟수는 착용직후와 비교하여 렌즈재질에 관계없이 약 20~30%정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렌즈착용 직후보다 착용 마지막 날에서 수직방향의 렌즈중심안정위치는 동공중심에 가까워졌으나 수평방향은 그 분포가 넓게 나타났으며, 특히 etafilcon A 재질 렌즈의 경우는 중심잡기가 불안정하였다. 또한 새 렌즈와 비교했을 때 초과착용한 후 렌즈의 가시광선투과율은 세 종류 렌즈 모두에서 평균적으로 15%가량 감소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건성안에서 일회용 써클렌즈의 초과착용은 건조감과 뻑뻑함을 증가시켜 과도한 이물감을 느끼게 되며, 이는 가시광선투과율의 감소와 더불어 순목횟수의 유의한 증가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렌즈중심안정위치의 이탈을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 및 렌즈재질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건성안은 정상안보다 고함수, 이온성렌즈의 초과착용에 자, 타각적으로 예민하게 반응함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건성안의 써클렌즈 착용으로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 및 부작용의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

난방환경에서 온(溫)맵시 착용에 따른 생리적 반응 및 주관적 감각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of Human Body Wearing OnMapsi in Heating Environment)

  • 나영주;이지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11
  • This study tests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ed winter dress OnMapsi for an office worker through the analysis of skin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heating environment. We test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with/without undergarments for 4 male subjects in an artificial-climate chamber with two air temperatures of $19^{\circ}C$ and $22^{\circ}C$, $50{\pm}10%$ R.H. During the 60 minute experiment that simulated office work, the subjective feelings (that included thermal, humidity and comfort sensation, and skin temperature) were measured at equal intervals.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ehead and chest skin temperatures were not affected by air temperature or clothing type, while the hand and foot skin temperatures were affected at $0.3-0.9^{\circ}C$ depending on clothing type and $1.9-2.2^{\circ}C$ depending on air temperature. The mean skin temperature was decreased by the experimental time pass more with regular formal wear than with OnMapsi. The second experiment located the ambient temperature in which subjects wearing OnMapsi show equal skin temperaturesto those without undergarments at $22^{\circ}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crease heating temperatures to $18-21^{\circ}C$ in the office for winter OnMapsi wear that produces a skin temperature and thermal sensation that is the same as those at $22^{\circ}C$.

요부 안정화를 위한 복대형 입는 로봇 개발 (Development of Brace-type Wearable Robot for Lumbar Stabilization)

  • 김주완;심재훈;김기원;정선근;박재흥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89-196
    • /
    • 2023
  • An abdominal brace is a recommended treatment for patients with lumbar spinal disorder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static brace, it uniformly compresses the lumbar region, which can weaken the lumbar muscles or create a psychological dependence that worsens the condition of the spine when worn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Due to these issues, doctors limit the wearing time when prescribing it to pati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vice that can dynamically provide abdominal pressure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lumbar motion. The proposed device is a wearable robot in the form of a brace, with actuators and a driving unit mounted on the brace. To enhance wearability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device, worm gears actuator and a multi-pulley mechanism were adopted. Based on the spinal motion of the wearer measured by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sensors, the drives wire by driving pulley, which provide tension to the multi-pulley mechanism on both sides, dynamicall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device. Finally, the device can dynamically provide abdominal pressure and support. We describe the hardware and system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nd demonstrate its potential through basic control experiments.

우리나라 농민의 Chlorpyrifos에 대한 피부 위해성 평가 (Human Dermal Risk Assessment on Chlorpyrifos of Korean Farmers)

  • 정경미;이효민;이은희;이선희;김진화;심영용;홍진태;이용욱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7-198
    • /
    • 2002
  • Chlorpyrifos is 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and widely used insecticide. However, a little known about the dermal risk of chlorpyrifos on human be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rmal risk assessment after exposure to chlorpyrifos in Korean farmers. First, skin irritation by chlorpyrifos (10 mg/$\textrm{cm}^2$, 50 mg/$\textrm{cm}^2$, 100 mg/$\textrm{cm}^2$, 250 mg/$\textrm{cm}^2$ in acetone) was determined in rabbits for 5 days considering the usage of chlorpyrifos short term highly exposure. The index of skin irritation by chlorpyrifos was increased in each dose and length of exposure dependent manners. Next, using benchmark dose (BMD$_{5}$) approach,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assessed to calculate the reference dose (RfD). The value of RfD was 2.84 $\mu\textrm{g}$/kg/day from 142.16 $\mu\textrm{g}$/kg/day BMD5 value divided uncertainty factor 50. Finally, we assessed human dermal risk of chlorpyrifos with exposure level and RfD. Skin absorbed levels were assumed with several exposure scenarios encounting the circumstances of exposure that application method, protection equipment and cloth, exposure time and exposure frequency during chlorpyrifos spraying. By the comparison of skin absorbed dose with the reference dose, it was identified that risk values (risk index) to skin chlorpyrifos exposure were 0.958 from the point of above results an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occurrence of hazard effect (skin irritation toxicity) of chlorpyrifos would not be expected. Risk index was smaller than 1 in the case of spraying vehicle mounted application, 1hour exposure time and wearing protective cloth exposure. Whereas, risk index was above 1 in the case of hand-held application, 2hour exposure time and wearing common cloth. Comparing two kinds of application method, total risk index of the hand held application (1.67) was higher than vehicle mounted (0.27). Therefore, chlorpyrifos skin exposure was mainly affected by application equipment and applied form. The results of risk assessment on the human dermal toxicity of chlorpyrifos should be required to control in keeping safety rules, skin surface area available for contact, spraying time ,and spraying frequency.y.

  • PDF

수면 라이프로그 순응도에 대한 연구 (Study on Compliance in Sleep Life Log: Observational Cohort Study)

  • 서수민;백영화;이시우;장현철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9-98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collected sleep information by wearable device in the Korean medicine Daejeon citizen cohort (KDCC). It was measured based on the sleep record information measured by wearing a Fitbit, and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was examined for compliance with objective sleep collection. Based on compliance,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was examined. Methods : After surveying personal information and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Fitbit for 14 days. Compliance was measured based on sleep record information by Fitbit. Compliance was analyzed by sex, age, BMI(Body Mass Index), and sleep group(deep/poor). Results :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730, and the compliance was 94.3%, and the compliance group was 675(92.5%). The age of the participants varied from 30 to 60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was 46±6.7 years. There were 218 males and 512 females. Young people have high compliance. Males are more compliance than females. As the BMI score decreased in the 30s, the compliance was higher. The underweight group in all age groups had 100 compliance. The underweight group was all female. The low compliance groups were that 30 years males (obesity level2), 50 years females (overweight group), and 50 years females (obesity level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between deep sleep group and poor sleep group. In deep sleep group, females showed higher compliance. In poor sleep group, males showed higher compliance. The average duration of Fitbit usage among participants was 20.1 days. The compliant group wore the device for an average of 21.3 days, while the non-compliant group wore it for only 5.2 days. Of the compliant group, 86.9% (73.8% of all participants) continued to wear the Fitbit after the recommended 14-day period, and 50.8% wore it for more than 20 day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for wearing a Fitbit for collecting objective sleep information. It is judged that the compliance is high because it was worn for more than 13.2 days out of the 14 days required. It is considered meaningful because the compliance was measured based on the sleep information by Fitbit, not the questionnaire. As the data on objective sleep time is collected automatically, we believe that the burden on participants after the study period is not significant for a certain period. Compliance may be even higher for cohorts related to illnesses and with doctor's orders, rather than for the general population.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파노라마 검사의 피폭선량 측정 (Measurement dose of Dental Panoramagraphy using a Radiophotoluminescent Glass Rod Detector)

  • 김창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24-2628
    • /
    • 2011
  • 치과 진료시 파로라마 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유리선량계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수정체의 피폭선량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안경의 재질에 따라 수정체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치아위치별 피폭선량 측정결과 $82.4-2,340\;{\mu}Sv$ 선량분포로 나타나 최대 300% 이상의 피폭선량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과 피폭선량 관리를 위해서는 장치제조 시 예열시간 단축 과 차폐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하지 않았을 때 비하여 수정체의 피폭선량이 안경의 재질에 따라서 1회 검사 시 $20-75\;{\mu}Sv$ 증가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므로 피폭선량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 치과 파노라마 검사 시 안경을 벗고 검사할 것을 권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