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il length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반능동가변형 주퇴복좌기의 설계 및 제어

  • 김동환;최문철;이규섭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7
    • /
    • 1997
  • The semi-active recoil system provides automatic hydraulic pressure and recoil length by an exteral impuls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ecoil system. We developed the proto type of recoil system and validated the performance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 The main issue of the system is how to adjust pressure and length simultaneously. The system consists of external pressure control valve and flow control valve outside of cylinder. The pressure control valve control the cylinder pressure and recoil length. The controlled system enhances the control performance.

연식주퇴 시스템 축소 모델에 대한 ADAMS 해석 (ADAMS Simulation on the Scale Model of the FOOB System)

  • 김종혁;배재성;황재혁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4
    • /
    • 2011
  • Due to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chnology, the future tank system will have the multi-function for more powerful firing. and the tank, mounted this multi-function, must be lighter to maintain the mobility. Therefore, new brecoil technology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the recoil force for lighter platform. The present study covers a FOOB(Fire-Out0-Of-Battery) system that can reduce the recoil force dramatically. The firing sequence of the FOOB system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system. The gun is latched in out-of-battery position prior to firing. As soon as firing is occurred, the gun is unlatched and accelerated. The forward momentum is imparted to the recoiling parts. This momentum is opposed by the ballistic force imparted by firing and the recoil force and recoil length will be reduced. In this study, the ADAMS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with the scale model of the FIB(Fire-In-Battery) system and the FOOB system. The ADAM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FOOB system could reduce the operating time and recoil length and the recoil force.

A Development of Recoil & Counter Recoil Mo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LVDT

  • Park, Ju-Ho;Hong, Sung-Soo;Joon Lyou
    • Transactions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3호
    • /
    • pp.214-219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recoil and counter recoil mo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 (LVDT). The output of the LVDT is obtained from the differential voltage of the secondary transformers. Since a transducer core is attached to the motion body, the outpu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movement length of the core.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are measured from the LVDT. With a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reference value obtained by the highly accurate Vernier calipers, it is proved that the measurement system with the LVDT is applicable to the test of the moving part of the mechanism with better accuracy.

  • PDF

연식주퇴 시스템 포신고정 장치의 동적 해석 (A Dynamic Analysis on the Latch of Soft Recoil System)

  • 우대현;이영신;김흥태;전상배;이규섭;강국정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9-365
    • /
    • 2012
  • In the soft recoil system, the recoiling parts are initially accelerated to the forward direction. These parts are returned to original position by the firing with intial acceleration speed. The latch of the soft recoil system keeps the high impact load when the recoil parts were recuperated to the forward direction. In this study, the latch of soft recoil system using the ADAMS program was analyzed. The optimal operation parameters were found that max. angle and expansion length of latch was $50^{\circ}$, 180 mm respectively. Dynamic structural analyses of model cases were performed using finite element model. The max. stress and deflection of latch was 230 MPa and 0.45 mm respectively.

선형변이 차동변압기를 이용한 왕복운동 계측기법 (An Alternating Motion Technique Us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

  • 최주호;김윤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3-1077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recoil and counter recoil(R&CR) mo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LVDT). The output of a LVDT is obtained from the differential voltage of the 2nd transformers. As a sensor core is attached at the motion body, the outpu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re motion.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are measure from the core length. With a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known value which is obtained by the precision steel tape, the accuracy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is validated.

  • PDF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스텐트 최적형상 설계 (A Study on Optimal Shape of Stent by Finite Element Analysis)

  • 이태현;양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6
    • /
    • 2017
  • 스텐트는 인체의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삽입되어 혈류의 흐름을 정상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금속망 형태의 임플란트로 관상 동맥 질환을 치료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 해석과 다꾸지 방법을 이용하여 설정한 스텐트 설계 인자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반응을 고찰하였다. 스텐트 모델은 팔마즈 스텐트를 사용하였고 스텐트의 재료 모델로서는 탄소성 모델, 풍선은 초탄성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의주요 관심은 스텐트의 탄성 회복량 조절을 통한 혈관의 재 협착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설계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스텐트 두께, 슬롯의 가로 길이, 슬롯의 세로 길이의 각도를 설계인자로 선택하여 직교배열표를 구성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혈관 내 스텐트의 반경 방향 탄성회복율과 길이 방향 탄성회복율을 계산하였고 다구찌 기법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하여 재 협착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텐트의 최적 형상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최적형상은 기본 모델에 비하여 탄성회복율은 반경방향으로 약 1%, 길이방향으로 약 0.1% 감소함을 보였다.

선형변이 차동변압기를 이용한 왕복운동 계측기법 (An alternating motion technique us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

  • 최주호;김윤겸;유준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380-1383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recoil and counter recoil(R&CR) mo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LVDT). The output of a LVDT is obtained from the differential voltage of the 2nd transformers. As a sensor core is attached at the motion body, the outpu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re motion.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are measure from the core length. With a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known value which is obtained by the precision steel tape, the accuracy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is validated.

  • PDF

선형변이 차동변압기를 이용한 왕복운동 계측기법 (An Aalternating Motion Measurement Technique Using Linear Variables Differential Transformers)

  • 최주호;유준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455-460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 recoil and counter recoil mo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LVDT). The output of a LVDT is obtained from the differential voltage of the 2nd transformers. As the sensor core is attached to the motion body, the outpu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re motion.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are measured from the core length. A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known value, which is obtained by the precision steel tape, shows that the accuracy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is validated.

  • PDF

산란-되튐 동시 측정 방법에 의한 박막 중 수소 정량법 (Quantitative analysis of hydrogen in thin film by scattering-recoil co-measurement technique)

  • 이화련;음철헌;최한우;김준곤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400-406
    • /
    • 2006
  • 탄성되튐검출(Elastic Recoil Detection)법에 의한 박막시료의 수소 정량은 빔전류 측정의 신뢰성을 전제로 유기물 필름을 정량 비교체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탄성되튐검출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향각(tilt angle)인 $75^{\circ}$에서는 시편에 조사되는 일차 이온빔의 조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시편의 편향각을 바꿔가며 탄성산란 신호를 비교하면 편향각이 커질수록 단위 조사량 당 산란신호는 감소하며 또한 시편의 표면 물질에 따라 이온빔전류 적산의 효율이 달라진다. 이러한 빔전류 적산과정의 오류를 제거하여 정량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방법으로 되튐스펙트럼과 동시에 측정한 산란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빔 조사량을 결정하였다. 산란스펙트럼에 의한 조사량 결정법은 수 10%에 이르는 전류적산과정의 오차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되튐반응에 의한 수소정량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수소정량의 비교체로 사용해 왔던 폴리이미드 필름과 수소이온주입 시료, 그리고 카본웨이퍼를 대상으로 시험분석하고 기존의 전류적산에 의한 직접정량법과 비교하였다.

나노 구조가 형성된 열전달 표면에서의 임계 열유속 증진 메커니즘 (Critical Heat Flux Enhancement Mechanism on a Surface with Nano-Structures)

  • 김동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7호
    • /
    • pp.619-624
    • /
    • 2014
  • 나노 구조가 형성된 열전달 표면에서 유체의 비등 시 임계 열유속 값이 나노 구조가 없는 표면보다 현저히 증가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다수의 물리적 메커니즘들이 이러한 나노 구조에서의 임계 열유속 증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정성적인 결과를 제시해 왔으며, 이러한 현상을 일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구조가 형성된 표면에서의 임계 열유속 증진에 관한 정량적인 메커니즘을 증기 반동력 및 표면 접착력에 기초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임계 열유속 증진 현상을 표면에 형성된 나노 구조로 인한 액체, 증기, 고체의 삼중선 길이의 증가 및 나노 구조와 액체 사이의 접착력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