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ipient fil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A Statistical Matching Method with k-NN and Regression

  • Chung, Sung-S.;Kim, Soon-Y.;Lee, Seung-S.;Lee, Ki-H.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879-890
    • /
    • 2007
  • Statistical matching is a method of data integration for data sources that do not share the same units. It could produce rapidly lots of new information at low cost and decrease the response burden affecting the quality of data. This paper proposes a statistical matching technique combining k-NN (k-nearest neighborhood) and regression methods. We select k records in a donor file that have similarity in value with a specific observation of the common variable in a recipient file and estimate an imputation value for the recipient file, using regression modeling in the donor file. An empirical comparison study is conducted to show the properties of the proposed method.

  • PDF

A Robust Approach of Regression-Based Statistical Matching for Continuous Data

  • Sohn, Soon-Cheol;Jhun, Myoung-Shic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2호
    • /
    • pp.331-339
    • /
    • 2012
  • Statistical matching is a methodology used to merge microdata from two (or more) files into a single matched file, the variants of which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mong existing studies, we focused on Moriarity and Scheuren's (2001) method,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statistical matching for continuous data. We examined this method and proposed a revision to it by using a robust approach in the regression step of the procedure. We evaluated the efficiency of our revised method through simulation studies using both simulated and real data, which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distinct advantages over existing alternatives.

의사결정 규칙을 이용한 데이터 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Fusion Method using Decision Rule for Data Enrichment)

  • 김순영;정성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2호
    • /
    • pp.291-303
    • /
    • 2006
  • 대용량의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지식을 찾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질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충실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경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인 의사결정 규칙을 이용한 데이터 통합 기법을 제안하고,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이 데이터 통합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 보강을 위한 데이터 통합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Fusion for Data Enrichment)

  • 정성석;김순영;김현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3호
    • /
    • pp.605-617
    • /
    • 2004
  • 데이터마이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마이닝에 사용될 데이터의 질이다. 질 높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이닝이 수행될 때, 데이터마이닝의 잠재적 가치는 증대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발견 과정 중 데이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단계인 데이터 보강을 위해 데이터 통합 기법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이 데이터 통합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Reversible Data Hiding in JPEG Images Using Ordered Embedding

  • Qian, Zhenxing;Dai, Shu;Chen, Bo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945-958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 of reversible data hiding in JPEG images. After analyzing the JPEG features, we provide a new algorithm of selecting appropriate blocks and coefficients to carry secret messages. Instead of embedding data into the histogram of all coefficients, we propose a strategy of ordered embedding to hide data by histogram shifts in several rounds. On the recipient end, secret messages can be exactly extracted, and the original JPEG image can be losslessly recover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high embedding rate can be achieved with limited distortions. Most importantly, the marked JPEG file generated by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less storage size than state-of-the-art works.

안전한 FTP 서비스를 위한 부인방지 모듈 설계 (Design of Non-repudiation Module for Secure FTP Service)

  • 이원호;오명관;한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50-15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자의 이익을 위해 메시지의 전송 사실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신처 부인방지와 수신처 부인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신망에서 오류에 의한 전송 실패와 수신자의 파일 수신 사실의 부인을 방지해 는 전송 부인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FTP 모델을 설계한다. 설계된 FTP 모델은 GSS-API를 사용하여 소스 수준에서 호환성을 갖도록 안전성 서비스에 대해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응용 클라이언트와 응용 서버간의 안전한 문맥을 확립하기 위해 세션 키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키 사용으로 공개키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