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eptors: NMDA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7초

NgR1 Expressed in P19 Embryonal Carcinoma Cells Differentiated by Retinoic Acid Can Activate STAT3

  • Lee, Su In;Yun, Jieun;Baek, Ji-Young;Jeong, Yun-Ji;Kim, Jin-Ah;Kang, Jong Soon;Park, Sun Hong;Kim, Sang Kyum;Park, Song-Ky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2호
    • /
    • pp.105-109
    • /
    • 2015
  • NgR1, a Nogo receptor, is involved in inhibition of neurite outgrowth and axonal regeneration and regulation of synaptic plasticity. P19 embryonal carcinoma cells were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neuron-like cells using all trans-retinoic acid and the presence and/or function of cellular molecules, such as NgR1, NMDA receptors and STAT3, were examined. Neuronally differentiated P19 cells expressed the mRNA and protein of NgR1, which could stimulate the phosphorylation of STAT3 when activated by Nogo-P4 peptide, an active segment of Nogo-66. During the whole period of differentiation, mRNAs of all of the NMDA receptor subtypes tested (NR1, NR2A-2D) were consistently expressed, which meant that neuronally differentiated P19 cells maintained some characteristics of neurons, especially central nervous system neurons. Our results suggests that neuronally differentiated P19 cells expressing NgR1 may be an efficient and convenient in vitro model for study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cellular events that involve NgR1 and its binding partners, and for screening compounds that activate or inhibit NgR1.

고빈도 120 Hz 전침이 Carrageenan으로 유발된 흰쥐의 Prostaglandin E2와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0Hz Electroacupuncture on the Prostaglandin E2 and Spinal N-Methyl-D-Aspartate Receptor Expression in the Carrageenan-Injected Rat)

  • 손인석;최병태;장경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5-23
    • /
    • 2003
  • Objective : The role of high frequency 120 Hz electroacupuncture(EA) in carrageenan-induced pain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alnalgesic effects, and prostaglandin $E_2(PGE_2)$ levels measurement and spinal N-methyl-D-aspartate(NMDA) receptor expression. Inflammation was induced by an intraplantar injection of 1% carrageenan into the right hind paw. Method : Bilateral EA stimulation with 120 Hz were delivered at those acupoints corresponding to Zusanli and Sanyinjiao in man via the needles for a total of 30 min duration in carrageenan-injected rats. Results : EA stimulation showed significant analgesic effects as measured by analgesy-meter at all time points tested compared with controls. Three hours after carrageenan injection, PGE2 levels were measured by commercial kit. EA significantly inhibited PGE2 production in the right paw. The number of NR1 and NR2A, NMDA receptor, immunoreactive neur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uperficial dorsal horn(laminae I-II) and nucleus proprius(laminae III-IV) of ipsilateral spinal cord at L4-5. But the number of carrageenan-induced NR1 and NR2A immunoreactive neuron, especially NR1 immunoreaction in the superficial dorsal horn, was reduced by 120 Hz EA stimula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MDA receptors may mediate transmiss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originating in tissue inflammation of hind paw and high frequency 120 Hz EA stimulation have an alleviating action against local inflammatory pain.

  • PDF

NMDA 수용체 아단위 2B의 Tyrosine 인산화 위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 Potential 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on the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 Il Soo Moon;Yong Wook Jung;Bok Hyun Ko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54-659
    • /
    • 1998
  • NR2B는 연접후 치밀질의 주요 tyrosine 인산화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mass spectrometry 방법을 적용하여 NR2B의 tyrosine 인산화 위치를 동정하였다. NR2B를 N-octyl glucoside (NOG)에 용해되지 않는 PSD 분획으로부터 SDS-PAGE와 electroelution방법으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을 NR2B와 phos-photyrosine에 특이한 항체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phosphotyrosine을 유지하고 있는 NR2B임이 확인되었다. 이 단백질을 trypsin 혹은 endolys-C 처리하고,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Tyr-1304이 인산화됨을 확인하였다.

  • PDF

Peripheral Cellular Mechanisms of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n Rats

  • Kim, Hye-Jin;Yang, Kui-Ye;Lee, Min-Kyung;Park, Min-Kyoung;Son, Jo-Young;Ju, Jin-Sook;Ahn, Dong-Kuk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2권1호
    • /
    • pp.1-8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peripheral ionotropic receptors in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n the orofacial area.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230 to 280 g were used in the study. Under anesthesia, a polyethylene tube was implanted in the subcutaneous area of the vibrissa pad, which enabled drug-injection.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artemin, changes in air-puff thresholds and head withdrawal latency time were evaluated. Subcutaneous injection of artemin (0.5 or $1{\mu}g$) produced significant thermal hyperalgesia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subcutaneous injection of artemin showed no effect on air-puff thresholds. IRTX ($4{\mu}g$), a TRPV1 receptor antagonist, D-AP5 (40 or $80{\mu}g$), an NMDA receptor antagonist, or NBQX (20 or $40{\mu}g$), an AMPA receptor antagonist, was injected subcutaneously 10 min prior to the artemin injection. Pretreatment with IRTX and D-AP5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n contrast, pretreatment with both doses of NBQX showed no effect on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Moreover, pretreatment with H-89, a PKA inhibitor, and chelerythrine, a PKC inhibitor, decreased the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rtemin-induced thermal hyperalgesia is mediated by the sensitized peripheral TRPV1 and NMDA receptor via activation of protein kinases.

Oxygen/Glucose Deprivation and Reperfusion Cause Modifications of Postsynaptic Morphology and Activity in the CA3 Area of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 Jung, Yeon Joo;Suh, Eun Cheng;Lee, Kyung E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6호
    • /
    • pp.423-429
    • /
    • 2012
  • Brain ischemia leads to overstimulation of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s, referred as excitotoxicity, which mediates neuronal cell death.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changes in synaptic activity and morphology that could have an important impact on cell function and survival following ischemic insul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perfusion after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 not only upon neuronal cell death, but also on ultrastructur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stsynaptic density (PSD) protein, in the stratum lucidum of the CA3 area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After OGD/reperfusion, neurons were found to be damaged; the organelles such as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dendrites, and synaptic terminals were swollen; and the PSD became thicker and irregular. Ethanolic phosphotungstic acid staining showed that the density of PS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PS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GD/reperfus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The levels of PSD proteins, including PSD-95, NMDA receptor 1, NMDA receptor 2B, and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OGD/reperf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GD/reperfusion induces significant modifications to PSDs in the CA3 area of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both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and this may contribute to neuronal cell death and synaptic dysfunction after OGD/reperfusion.

인지능 개선 효과 증진을 위한 백삼 추출물 조제 연구 (Study on White Ginseng Extract Preparation for Cognition Improvement)

  • 이승은;김금숙;이대영;김형돈;이재원;이영섭;박춘근;안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75-385
    • /
    • 2016
  • Backgrou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xtraction conditions under which white ginseng has cognition-improving efficacy. Methods and Results: Extracts from white ginseng under different solvent and temperature conditions were analyzed for ginsenoside content and inhibitory effect on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d acetylcholinesterase.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s and amounts of ginsenoside Rb1 plus ginsenoside Rg1 from the 1st extracts (prepared with EtOH/$H_2O$ as solvent)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2nd extracts (extracted with $H_2O$ after the 1st EtOH/$H_2O$ extraction). The contents in the 1st and 2nd extracts produced at $80^{\circ}C$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btained at $50^{\circ}C$. Samples from the 1st extraction at $80^{\circ}C$ indicated higher inhibitory activities on NMDA receptors-whose excessive activation is thought to mediate the calcium-dependent neurotoxicity associated with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eases-than those from the 2nd extraction. Among the samples prepared at varying temperatures, the extract prepared at $50^{\circ}C$ showed the highest suppression activity on NMDA receptors. Note, however, that the extracts from the 2nd extraction at $50^{\circ}C$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whose inhibition could be a therapeutic strateg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with cognitive deficits and memory malfunction-more effectively than those from the 1st extraction. Conclusions: To enhance the cognition-improving activity of white ginseng extract, it is suggested that the extracts be utilized after being combined the 1st extracts (made with EtOH/$H_2O$ solvent) and the 2nd extracts (prepared with $H_2O$) at low temperature.

척수신경손상에 대한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 길항제의 효과에 대한연구 (Studies About the Effect of Excitatory Amino Acid Receptor Antagonist on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 김종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1995
  • 외상성 척추신경손상후에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며, 손상부위가 안정화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서 2차 손상과정이 최초의 기계적 손상을 악화시킴이 오래전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2차 손상과정의 개입은 척추신경손상을 약리학적으로 조절하는 시도에 대한 논리적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 흥분성 아미노산은 척수의 정상기능뿐아니라 허혈성 및 외상성 손상에 의한 세포사망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어 외상성 척수손상의 2차 손상과정에 이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가 관여할 것임이 시사되고 있다. Dextrorphan은 화학적으로 우선성 morphinan계통의 약물로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의 하나인 NMDA 수용체의 선택적 길항제이고 임상적으로 사용가능성이 조사되고 있는 약물이다. 본 연구는 dextrorphan의 처리가 쥐의 척수신경손상후에 나타나는 후지운동기능의 회복과정 및 조직학적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여 척수손상 후 일어나는 2차 손상과정에 NMDA 수용체의 개입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후지운동기능 회복은 open field test(21 point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학적 손상의 크기는 손상 8주후에 정량적 조직병리학 방법을 사용하였다. 성숙 자성 Long-Evans 쥐 (무게 $250{\sim}300gm$)를 pentobarbital sodium 마취 (복강내, 40 mg/kg)하에서 9번째 및 10번째 흉추부위의 추궁절재술을 시행하여 10g 무게의 막대를 25mm의 높이에서 노출된 경막에 떨어뜨려 척추손상을 유발하였다. 대조군 (n=15)은 생리식염수를 약물투여군 (각 n=10)은 dextrophan 15 mg/kg, 30mg/kg을 척수손상유발 15분전에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Dextrorphan 처리는 척수손상에 의한 동맥압 변동 및 동맥혈액 가스치 (pH, $Pco_2,\;Po_2$)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척수손상 2일부터 open field test를 시작하여 일주일에 두번씩 술후 8주간 시행하였다. 첫 $2{\sim}3$일 후에는 후지운동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며 그후 2주일까지 약간 빠른 회복을 보여 후지관절의 운동을 보이고 몸무게를 지탱하였으며 $4{\sim}5$주에는 일부 동물에서는 비정상적인 걸음을 보였다. 그 이후에는 더 이상의 후지운동기능의 회복은 볼 수 없었다. Dextrorphan 투여는 이러한 후지운동회복기능 뿐 아니라 조직손상의 크기에도 전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NMDA 수용체는 외상성 척추손상 후 일어나는 2차 손상과정에 관여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신생 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투여에 따른 Nitric Oxide Synthase 이성체와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아단위의 발현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and N-methyl-D-aspartate receptor subunits according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administration after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in neonatal rats)

  • 고혜영;서억수;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5호
    • /
    • pp.594-602
    • /
    • 2009
  • 목 적 : $TGF-{\beta}1$는 흥분독성을 억제시키고 질소 산화물 생성 억제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주산기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그 기전은 아직도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신생 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산화질소로 인한 신경독성 및 글루탐산염에 의한 흥분독성과 $TGF-{\beta}1$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체외 실험으로 재태 기간 19일된 태아 백서의 대뇌피질 세포를 배양하여 1% O2 배양기에서 저산소 상태로 뇌세포손상을 유도하여 저산소군(Hypoxia), 저산소 손상 30분 전 $TGF-{\beta}1$ (1, 5, 10 ng/mL) 투여군(H+$TGF-{\beta}1$)으로 나누어 정상 산소군 (Control)과 비교하였다. 생체 내 실험은 생후 7일된 백서의 좌측 총 경동맥을 결찰한 후 저산소 (7.5% O2) 상태로 2시간 노출시켜서, 저산소 허혈 뇌손상을 유발하였다.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Control), 경동맥 노출 후 봉합 시술만 시행한 정상 Sham 수술군(Sham-OP), 손상 30분 전 생리식염수를 주입 후 경동맥 결찰과 저산소 노출을 시행한 저산소 허혈 대조군(HI+ Vehicle), 손상 30분 전 $TGF-{\beta}1$을 대뇌로 투여하고 경동맥 결찰과 저산소 노출을 시행한 저산소 허혈 $TGF-{\beta}1$ 투여군(HI+$TGF-{\beta}1$)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흥분독성과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하여 NMDA 수용체 아단위를 이용하였고, 질소산화물과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해 iNOS, eNOS 및 nNOS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하였다. 결 과 : 생체 외 실험에서 iNOS의 발현은 정상 산소군과 저산소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TGF-{\beta}1$ 투여군에서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농도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eNOS, nNOS의 발현은 1 ng/mL의 $TGF-{\beta}1$ 투여군에서 저산소군보다 감소하였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iNOS와 iNOS mRNA의 발현은 $TGF-{\beta}1$ 투여한 후 저산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eNOS와 nNOS 발현은 정상 대조군 보다 저산소 대조군에서 감소하였고, eNOS의 발현은 $TGF-{\beta}1$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지만 nNOS의 발현은 증가하지 않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eNOS mRNA와 nNOS mRNA의 발현은 iNOS와 반대로 $TGF-{\beta}1$ 투여군에서 저산소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NMDA 수용체 아단위 mRNA의 발현은 정상 대조군과 Sham 수술군에 비해 저산소 대조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TGF-{\beta}1$ 투여군에서 NR2C를 제외한 나머지 아단위의 발현은 저산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결 론 : 신생백서의 저산소 허혈 뇌손상에서 $TGF-{\beta}1$ 치료군에서 저산소로 인하여 감소된 NMDA 수용체 아단위의 발현을 증가시켜 흥분독성 기전과 관련성을 보이며, 증가된 iNOS 발현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eNOS 발현을 증가시키는 질소 산화물 중재를 통한 뇌 보호 작용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니코틴의 마우스 소뇌과립세포내 칼슘의 항상성 조절기전 (Cellular Mechanism of Nicotine-mediated In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in Primary Culture of Mouse Cerebellar Granule Cells)

  • 김원기;배영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1
    • /
    • 1996
  • 세포내 칼슘농도는 신경세포의 다양한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배양한 마우스 소뇌과립세포에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 발생단계에 발현되고 세포내 칼슘의 농도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니코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는 $^{45}Ca^{2+}$나 fura-2를 사용하여 형광법으로 측정하였다. 니코틴은 마우스 소뇌과립세포내 칼슘의 농도를 최대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일차배양한 Glia 세포들에서는 $^{45}Ca^{2+}$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세포내 칼슘농도에 미치는 니코틴의 효과는 NMDA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또한 Glutamate pyruvate transminase (GPT)를 사용하여 배양액의 글루타민산을 제거하면 니코틴효과가 소실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가 세포에서 유리된 글루타민산에 의한 간접적인 효과임을 암시한다. Fura-2를 사용한 형광법으로 실험한 결과 니코틴은 two phase로 세포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NMDA 수용체 길항제와 GPT는 단지 후기 plateau상만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니코틴이 직접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세포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고 글루타민산을 유리하여 NMDA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칼슘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한 발생과정에 발현되어 세포내 칼슘농도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신경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state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H]DPCPX$를 이용한 competitive binding assay에서 0.1 mM GTP는 효현제인 PIA의 apparent affinity를 감소시켰으며, DPCPX의 apparent affinity는 증가시키고, CGS-15943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상기의 $[^{35}S]GTP_{\gamma}S$ binding의 결과를 뒤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생각된다.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X>$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K^+$ 통로를 개방시킴으로 세포내 $Ca^{2+}$을 감소시켜 뇌 기저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함량을 조정하므로, 흉선세포의 apoptosis에 억제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액에 의하여는 회복됨을 볼 수 있었으며 $Mg^{++}$ 증가 영양액에서는 억제, TTX 동시 투여시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NE 유리 감소는 TEA 및 4AP에 예민한 $K^+$-통로가 관여하고 여기에는 세포외액의 Ca^{++}의 농도가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상의 질을 크게 향상 시켜 줌으로 비가역 3구획모델에서의 PGA방법을 대체할 새로운 파라메터 영상구성방법으로 적합할 것이다.관계되며, YH439는 중금속으로 유도된 조직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지지한다.총 아미노산의 순은

  • PDF

Neuro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on Glutamate Excitotoxicity in PC12 Cells and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 Kim, Soo-Man;Shim, Eun-Sheb;Kim, Bum-Hoi;Sohn, Young-Joo;Kim, Sung-Hoon;Jung, Hyuk-Sang;Sohn, Nak-W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9-40
    • /
    • 2008
  • Objectives : It has been reported that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SSR)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on cerebral ischemia in animals.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SSR on glutamate excitotoxicity. Glutamate excitotoxicity was induced by using NMDA, AMPA, and KA in PC12 cells and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Methods :Methanolic extract of SSR was added at 0.5, 5, and 50 ${\mu}$g/ml to culture media for 24 hours. The effects of SSR were evaluated by measuring of cell viability, PI-stained neuronal cell death, TUNEL-positive cells, and MAP-2 immunoreactivity. Results : SSR increased PC12 cell viabilities significantly against AMPA-induced excitotoxicity, but not against NMDA-induced or KA-induced excitotoxicity.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NMD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significantly in the CA1, CA3, and DG hippocampal regions and reduced TUNEL-positive cells significantly in CA1 and DG regions.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AMP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and reduced TUNEL-positive cell numbers significantly in the CA1 and DG regions.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K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significantly in CA3, but did not reduce TUNEL-positive cell numbers in CA1, CA3 or DG.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NMD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pyramidal neuron neurite retraction and degeneration in CA1.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SR are related to antagonistic effects on the NMDA and AMPA receptors of neuronal cells damaged by excitotoxicity and ischem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