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Time Analysis

검색결과 6,883건 처리시간 0.039초

American ginseng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gression of high-fat-diet-enhanced colon carcinogenesis in ApcMin/+ mice

  • Yu, Chunhao;Wen, Xiao-Dong;Zhang, Zhiyu;Zhang, Chun-Feng;Wu, Xiaohui;He, Xin;Liao, Yang;Wu, Ningning;Wang, Chong-Zhi;Du, Wei;He, Tong-Chuan;Yuan, Chun-S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230-237
    • /
    • 2015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CRC) is a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Chronic gut inflammation is recognized as a risk factor for tumor development, including CRC. American ginseng is a very commonly used ginseng species in the West. Methods: A genetically engineered $Apc^{Min/+}$ mouse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aponin composition of American ginseng used in this project, and evaluated its effects on the progression of high-fat-diet-enhanced CRC carcinogenesis. Results: After oral ginseng administration (10-20 mg/kg/d for up to 32 wk),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untreated mice, ginseng very significantly reduced tumor initiation and progression in both the small intestine (including the proximal end, middle end, and distal end) and the colon (all p < 0.01). This tumor number reduction was more obvious in those mice treated with a low dose of ginseng. The tumor multiplicity data were supported by body weight changes and gut tissue histology examinations. In addition,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untreated group, ginseng very significantly reduced the gen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1{\alpha}$ (IL-$1{\alpha}$), IL-$1{\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n both the small intestine and the colon (all p < 0.01).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link our observed effects to the actions of the gut microbiome in converting the parent ginsenosides to bioactive ginseng metabolites. Our data suggest that American ginseng may have potential value in CRC chemoprevention.

Comparison of Allergic Parameters between Whey Protein Concentrate and Its Hydrolysate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 Kim, Hana;Ahn, Sung-Il;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80-79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nti-allergic effects of a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and WPC hydrolysate. WPC hydrolysate was prepared using enzymatic digestion for 8 h with trypsin and ${\alpha}$-chymotrypsin, after which it was freeze-dried. The allergic parameters assessed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were degranulation and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release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IL-1{\beta}$, IL-4, and IL-10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uring preparation of the WPC hydrolysate, hydrolysis increased rapidly from 0 to 10 min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slowly from 1 h onwards, achieving a final degree of hydrolysis of 78.50%. The SDS-PAGE analysis revealed a reduction in the intensity of several protein bands in the WPC hydrolysate compared to the WPC. IgE-induc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from RBL-2H3 cells was decreased to a higher degree following treatment with the hydrolysate compared to WPC treatment. W500 ($500{\mu}g/mL$ WPC) showed the least inhibition of ${\beta}$-hexosaminidase rel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500 and W1000 ($1,000{\mu}g/mL$) (p<0.05). H1000 ($1,000{\mu}g/mL$ WPC hydrolysate) inhibit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by 39%.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with H1000 decreased $TNF-{\alpha}$ secretion to 11.87 pg/mL.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IL-1${\beta}$, IL-4, and IL-13 were all significantly decreased in hydrolysate (p<0.05). In the case of $IL-1{\beta}$ and IL-4, the expression levels in W1000 treated cells were decreased by 73.67% and 65%, respectively, and that of IL-13 was decreased by 66.43% compared to the control.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기본도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National Base Map in Response to the Changing Times)

  • 김기홍;이용욱;이상호;박홍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79-586
    • /
    • 2019
  • 우리나라 국가기본도는 공간정보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그 활용성이 커지고 있으며, 과거 종이지도 시대의 단순 활용 차원을 넘어서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 혁명을 통한 스마티 시티와 디지털 트윈 시대의 핵심공간정보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속화, 다축척, 객체화, 맞춤형 생산, 실시간 갱신의 개념들이 등장하였으며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는 유통과정의 혁신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가기본도의 위상에 걸맞는 개념의 정립과 법률상에서의 정의가 뒷받침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1980년 측량법으로 도입된 종이지도 형태의 개념과 정의가 존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용어의 정의는 현재의 기술발달 및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할 수 없고 대다수 국민의 인식은 물론 국가기본도를 관리하고 있는 정부조직의 실무적인 능력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상황에 맞는 기본도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법률상에서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도의 발전과정 및 시대적 변화 상황과 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국가기본도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였다.

C-ITS환경의 자전거 및 이륜차 안전서비스 연구 (Study on the B2X(Bicycle and Motorcycle-to-Everything) Safety Service in C-ITS)

  • 김진태;김주영;김준용;배현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8-38
    • /
    • 2016
  • 최근 차량, 도로간 실시간 연결로 교통상황별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C-ITS)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C-ITS 기술 개발 및 도입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C-ITS기술은 자동차를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 및 경제적 운행을 위한 기술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자동차 이외에 도로 주행이 가능한 자전거를 위한 기술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주행 시 위험요인과 사고요인 분석을 통해 C-ITS 환경에서 구현가능한 자전거 안전서비스를 도출한다. 자전거 및 이륜차 안전서비스 도출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과거 2011~2013년 발생한 우리나라 과거 자전거 및 이륜차 교통사고 이력자료를 분석하여 관련 교통사고 특성 및 원인을 진단하였다. 자전거 및 이륜차 교통사고 이력자료 분석으로 파악된 주요 교통사고 특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서비스 도출을 위해 별도의 전문가 회의를 4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자전거 및 이륜차 통합 안전 서비스 모델 8개를 도출하였다.

Heat Shock Protein Augment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Root Hot Water Extract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Murine 3T3-L1 Preadipocytes

  • Lumbera, Wenchie Marie L.;Cruz, Joseph dela;Yang, Seung-Hak;Hwang, Seong 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419-427
    • /
    • 2016
  • There is a high association of heat shock on the alteration of energy and lipid metabolism. The alterations associated with thermal stress are composed of gene expression changes and adaptation through biochemical responses. Previous study showed that Angelica gigas Nakai (AGN) root extract promot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murine 3T3-L1 preadipocytes under the normal temperature condition. However, its effect in heat shocked 3T3-L1 cell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GN root hot water extract i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urine 3T3-L1 preadipocytes following heat shock an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Thermal stress procedure was executed within the same stage of preadipocyte confluence (G0) through incubation at $42^{\circ}C$ for one hour and then allowed to recover at normal incubation temperature of $37^{\circ}C$ for another hour before AGN treatment for both cell viability assay and Oil Red O. Cell viability assay showed that AGN was able to dose dependently (0 to $400{\mu}g/mL$) increase cell proliferation under normal incubation temperature and also was able to prevent cytotoxicity due to heat shock accompanied by cell proliferation. Confluent preadipocytes were subjected into heat shock procedure, recovery and then AGN treatment prior to stimulation with the differentiation solution. Heat shocked preadipocytes exhibited reduced differentiation as supported by decreased amount of lipid accumulation in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measurement. However, those heat shocked preadipocytes that then were given AGN extract showed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lipid accumulation as shown by both evaluation procedures. In line with these results,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AGN increas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by upregulating heat shock protection related genes and proteins together with the adipogenic markers. These findings imply the potential of AGN in heat shock amelioration among 3T3-L1 preadipocytes through heat shock factor and proteins augmentation and enhanced adipogenic marker expression.

보행과 한발·두발 수직점프 수행 시 내측비복근 근-건 복합체와 근섬유다발의 길이 변화 패턴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Length Change Pattern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Tendon Complex and Fascicle during Gait and One-legged and Two-legged Vertical Jumping)

  • 이해동;한보람;김진선;오정훈;조한엽;윤소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2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 in fascicle behavior of the medial gastrocnemius during the locomotion with varying intensities, such as gait and one-legged and two-legged vertical jumping. Methods : Six subjects (3 males and 3 females; age: $27.2{\pm}1.6yrs.$, body mass: $62.8{\pm}9.8kg$, height: $169.6{\pm}8.5cm$) performed normal gait (G) at preferred speed and maximum vertical jumping with one (OJ) and two (TJ) legs. While subjects were performing the given tasks, the hip, knee and ankle joint motion and ground reaction force was monitored using a 8-infrared camera motion analysis system with two forceplates. Simultaneously, electromyography of the triceps surae muscles, and the fascicle length of the medial gastrocnemius were recorded using a real-time ultrasound imaging machine. Results : Comparing to gait, the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of TJ and OJ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long with those parameters, change in the medial gastrocnemius (MG) muscle-tendon complex (MTC) length ($50.57{\pm}6.20mm$ for TJ and $44.14{\pm}5.39mm$ for OJ) and changes in the fascicle length of the MG ($18.97{\pm}3.58mm$ for TJ and $20.31{\pm}4.59mm$ for OJ) were observed. Although the total excursion of the MTC and the MG fascicle length during the two types of jum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pattern of length chang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TJ, the fascicle length maintained isometric longer during the propulsive phase than OJ. Conclusion : One-legged and two-legged vertical jumping use different muscle-tendon interaction strategies.

ASM No. 2 간략화 모델에 기초한 인산염의 제어 및 인섭취 제한현상에 대한 고찰 (Control of Wastewater Treatment Removing Phosphate Based on ASM No. 2 Simplified Model and Investigation of Luxury Uptake Limitation)

  • 김신걸;최인수;구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1-189
    • /
    • 2008
  • 인은 자연계에서 부영양화 현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인자로서 하수중의 인은 주로 인축적 미생물의 과잉섭취에 의해 제거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을 처리하는 하수처리공정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의 제어방법을 응용하였으며 이 방법은 최적제어(Optimal control)와 적응제어(Adaptive control)이다. 우선 최적제어는 유입수중의 인농도를 측정한 이후에 간략화된 ASM No. 2 모델을 이용하여 유출수중의 인농도가 1.0 mg/L가 되는 포기시간을 산정하고 이 산정된 포기시간에 따라 반응조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실제 반응조를 최적제어로 한 경우에도 실제 유출수중의 인농도는 1.0 mg/L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에는 적응제어로서 목표로 한 1.0 mg/L를 벗어난 만큼 목표농도를 변화시켜 주며 제어를 실시하였다. 약 한달간의 제어결과 유출수중의 인농도는 0.2$\sim$3.2 mg/L이었으며 평균은 1.0 mg/L로서 만족스러웠다. 연구수행중 하수처리공정에서 두 번에 걸쳐 인섭취가 제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한 결과 원인은 암모니아의 부족과 과다한 포기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주요 호텔의 위생실태 조사와 ATP 결과의 상관 분석 연구 (A Correlation Study of Surveillance Data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Verification of Hygienic Status in Major Hotels in Seoul)

  • 김보연;송하영;박인숙;김용수;이유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7-284
    • /
    • 2009
  • 외식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호텔을 비롯한 일반음식점에서의 식중독의심사건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5개 호텔을 대상으로 개인위생 (작업자의 손), 조리기구 (칼, 도마, 행주, 캔오프너, 식품보관용기, 슬라이스머신칼날), 시설 설비 (냉장고손잡이, 작업대, 싱크대)에 대한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검증법인 ATP 조사법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5개 호텔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결과, 50점 만점 중 개인위생 46.6점, 조리기구 위생관리 40.2점, 시설 설비 위생관리 40.3점으로 개인위생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었으며, 조리기구와 시설 설비의 위생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ATP검사 결과, 작업자의 손은 $40.8{\pm}6.77\;RLU/cm^2$로 조리기구와 시설 설비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나, 모두 1,000 RLU/$cm^2$의 기준 이하로 위생관리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실태조사 결과 점수와 ATP 값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호텔별 작업자 손, 조리기구, 시설 설비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ATP검사법은 신속, 간편, 일관성을 바탕으로 호텔을 비롯한 외식업체에서 감시원이 수행하는 주관적인 위생실태조사를 대체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위생관리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난포자극호르몬이 인간의 자궁 기질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 of Gene Expressions in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by Exogeneous FSH Treatments)

  • 최혜원;전진현;이형송;홍인선;강경선;궁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17-223
    • /
    • 2004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combinant FSH (rFSH) and urinary FSH (uFSH) on the gene expressions of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in vitro. Methods: Endometrial tissue was obtained from a pre-menopausal women undergoing hysterectomy. Primary endometrial stromal cells were isolated and in vitro cultured with FBS-free DMEM/F-12 containing 0, 10, 100, and 1, 000 mIU/ml of rFSH and uFSH for 48 hours, respectively.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cultured cells and subjected to real time RT-PCR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rogesterone receptor (PR), estrogen receptor $\alpha/\beta$ (ER-$\alpha/\beta$), cyclooxygenase 2 (Cox-2),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homeobox A10-1 and -2 (HoxA10-1/-2). Results: Both hormone treatments slightly increased (< 3 folds) the expressions of PR, ER-$\beta$ and HoxA10-1/-2 gene. However, ER-$\alpha$ expression was increased up to five folds by treatments of both FSH for 48 hours. The LIF expression by the 10 mIU/ml of uFSH for 12 hou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FSH (p<0.01). After 24 hours treatment of two kinds of hormones, the expression patterns of LIF were similar. The 100 and 1, 000 mIU/ml of rFSH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Cox-2 expression than those of uFSH,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This study represents no adversely effect of exogeneous gonadotropins, rFSH and uFSH, on the expression of implantation related genes. We suggest that rFSH is applicable for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ithout any concern on the endometrial receptivity.

지진동 Source 제공을 위한 심부 시추공발파 기술사례 (A Case Study on the Boring-Hole Blasting for Offering of the Ground Vibration Source)

  • 조영곤;김희도;조준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3호
    • /
    • pp.187-195
    • /
    • 2003
  • 본 기술사례는 한반도 지각속도 구조연구 과제 중 서산지역과 포항지역을 연결하는 200 kg 측선에서 2차원 지각구조를 밝히기 위한 지각규모 굴절파탐사의 지진동 source 제공을 위해 수행한 대구경 시추공발파에 관한 내용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거의 실행해 본 경우가 없는 지발당 장약량이 각각 500 kg, 1,000 kg인 2회의 순발 대발파를 수행하였으며, 이 때 천공된 시추공의 직경과 깊이는 각각 300 mm와 100 m이다. 또한 1 km 간격으로 총 200 km 거리에 분포시킨 200개의 계측지점에 지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속을 가진 폭약과 외부의 충격에 대해 안전하고 기폭력이 우수하며, 시차가 정확한 비전기뇌관을 특수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시추공내로 유출되는 물에 의한 사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폭약은 철관용기를 제작하여 벌크 형태로 장약 하였다. 발파전 용기 밀폐 시험 및 용기제작 후 기폭실험을 통해 제작한 철제용기와 뇌관의 100 m 깊이 시추공 발파에 대한 적용성을 사전에 확인하였다. 발파 결과 서산과 영동지역 모두 성공적인 발파를 이루었으며, 모든 지진관측기에서 진동이 관측되었다. 또한 실제 발파 중 진동속도 값을 측정한 결과 주변보안물건에 가해진 진동속도의 경우 미광무국식(USBM)을 이용하여 예측한 진동속도 값보다 평균 180 % 정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를 함에 있어 진동의 해석보다는 진동 source제공방법에 그 초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