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Promotion Program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8초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grams)

  • 황금숙;서우석;백원근;이연옥;김은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9-314
    • /
    • 2016
  • 2006년 "독서문화진흥법"제정에 따라 제1차, 제2차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2014~2018)이 수립되는 등 국민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성과를 점검하는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심층적이며 체계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진흥사업 평가를 위한 평가체계를 개발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를 토대로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국민의 독서문화 저변 확대를 위한 독서문화진흥 시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 하은혜;장윤금;권나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1-200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고취하기 위하여 전국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0까지 이루어진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경험이 풍부한 학교도서관 사서들과의 표적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첫째, 사업성과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기획과정,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 중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가 성과만족도를 예측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성을 위해 전문인력 충원 및 연구와 조직 확대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및 매뉴얼 개발과 보급 등이 제언되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와 스마트 시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 and Develpment Direction of Smart Era at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 강지혜;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221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시대로의 진입에 따른 교육환경 변화와 독서문화 진흥의 직접적 수혜자인 어린이청소년의 독서문화프로그램 요구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추진했던 어린이청소년 대상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시대의 요구에 맞는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국내외 독서문화진흥사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그 경향을 파악하고, 사업참여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전문가를 초빙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PDCA 방법(Plan, Do, Check, Act)에 의거 각 독서문화프로그램 사업에 대한 개별 사업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례조사와 전문가 평가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지향해야 할 독서문화진흥사업의 발전방안 및 새로운 사업의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인터랙티브 전자책 만들기 플랫폼 제작/보급 사업', '게임형 독서 프로그램 제작/보급사업', '거꾸로 학습법을 활용한 하브루타 독서문화 보급 사업', '청소년 코딩 브랜딩 "Teen-Start-Up"' 등을 새로운 서비스로 제안하였다.

도서관을 통한 장애인 독서문화 확산 및 활성화 방안 (Improving Strategy of Reading Culture for Printed Disabled People in the Library)

  • 안인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187-212
    • /
    • 2012
  • 장애인 독서문화 활동의 진흥은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해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도서관 핵심 사명을 수행하는 주요한 업무이다. 활성화 방안을 도출을 위해 독서문화 진흥정책과제에서 사용하는 4개 과제 영역을 틀로 사용하였으며,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는 장애인 독서환경조성, 균등한 독서 기회 제공 서비스가 대부분이고, 장애인 독서생활화 및 독서운동 활성화과제는 매우 부족하였다. 독서 생활화를 위한 독서교육, 독서체험, 이용자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장애인 독서운동 확산을 위하여 도서관 홍보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실증적 평가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 차성종;강지혜;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3-303
    • /
    • 2019
  •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시행한 어린이·청소년 대상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종합적으로 평가·분석하고, 향후 추진하는 독서문화진흥사업의 개선방안과 새로운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등의 연구방법 및 분석기법을 통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수행한 9개 주요사업에 대한 실증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총 9개 사업 중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사업 4개, 일부 개선 및 방향 전환이 필요한 사업 3개, 사업의 지속 여부를 재검토해야 할 사업 2개 등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평가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수행해나갈 독서문화진흥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 이경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3
  •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 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시대에 '책읽는 학교' 만들기의 방안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at the Public School in the 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1-310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 대처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교실에 컴퓨터를 들이고 인터넷을 연결하는 교육정보화사업보다 책읽는 학교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책읽기를 기본으로 하지 않는 TV시청과 인터넷 사용은 창의성 개발과 건전한 인격형성에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인재는 책과 책읽기에 의해 육성될 수 있으므로 책읽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확보하고, 장서를 확충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성화하는 것이 우선임을 실례를 들어 증명하였다. 다음으로 학교에서는 책 읽어주기 운동, 아침10분 독서운동, 책의 바다에 빠뜨리기 운동 등 책읽기 장려운동을 전개하여 학생들이 책읽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며, 책의 종류와 책읽는 목적에 알맞은 책읽기 지도를 병행할 것을 제시하였다.

  • PDF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사례연구: Seattle Reads (A Case Study of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s: Seattle Read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61-184
    • /
    • 2023
  • 이 연구는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원형인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의 'Seattle Reads'의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1998년 출범한 'Seattle Reads'의 지난 25년간 목표, 선정 책들의 특성 및 주요 행사와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현황 및 지향점을 보다 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Seattle Reads'는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을 독려함으로써 성인 대중을 위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원형을 제시하였다. 'Seattle Reads'는 매년 꾸준히 다양한 문화적 및 민족적 배경을 가진 작가들의 책을 읽고 이야기함으로써, 다양성의 이해 및 지역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지속성, 일관성, 자율성 및 독립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독서문화진흥 정책에 기반한 공공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rogram Improvement Plan of a Public Library Based on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 조미아;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1-21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프로그램의 국내외 우수 사례조사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미래형 도서관의 역할 변화에 부합하는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 기반한 분석으로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도서관 프로그램의 군집화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관종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군집화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프로그램의 군집화 기준 및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의 4대 전략 하의 13대 중점과제에 근거하여 특정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이용자의 수요를 고려하여 참여형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대면 도서관 서비스를 넘어 비대면, 비접촉 도서관 서비스의 제공도 함께 고려하여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적용의 시도는 궁극적으로는 단위 도서관을 넘어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에 밀착한 도서관 프로그램으로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9-159
    • /
    • 2008
  • 독서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독립적인 기능 중심의 교육보다는 독서전략을 중심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독서전략은 독자가 능숙하게 독서를 하는데 동원하거나 지도교사가 효과적인 독자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이나 의도적인 계획을 말한다. 그동안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독서촉진 혹은 행사에 치중해 왔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은 독서촉진이나 행사보다는 독서전략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종류, 텍스트의 구조, 독서의 과정, 인지전략 등 4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독서교육에 필요한 독서전략을 범주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