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able Rang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인식 거리 개선을 위한 차량용 태그 안테나의 지향성 설계 (Directivity Pattern Design of a Vehicle Tag Antenna for Improvement of the Readable Range)

  • 박대환;민경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872-879
    • /
    • 2010
  • 본 논문은 차량 번호판용 RFID 태그 안테나의 인식 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 지향성 설계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제안된 수동형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은 미앤더 선로의 위치와 태그 안테나가 부착되는 범퍼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계산된 지향성 패턴과 인식 거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태그 안테나를 제작하고 전파 암실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능동형과 수동형 안테나의 측정된 방사 패턴의 최대 지향성 이득은 각각 2.32 dBi와 3.1 dBi로 관측되었다. 수동형 태그 안테나의 최대 인식 거리는 차량 진행 방향(방위각 $0^{\circ}$)을 기준으로 ${\pm}45^{\circ}$의 빔 방향에서 약 8.5 m로 측정되었다.

차량 범퍼에 부착된 번호판용 태그 안테나의 설계 (Design for a Tag Antenna Using License Plate Attached Vehicle Bumper)

  • 박대환;민경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35-543
    • /
    • 2009
  • 본 논문은 차량 범퍼에 부착된 번호판을 이용한 900 MHz 대역 RFID 태그 안테나의 설계를 기술하고 있다. 차량 번호판의 위쪽 중앙 지점에 위치한 제안된 태그 안테나의 크기는 162.5${\times}$40${\times}$1 $mm^3$이다. 설계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와 - 10 dB 이하의 반사 손실을 가지는 대역폭은 각각 900 MHz와 약 720 MHz(640${\sim}$1,360 MHz)이다. 설계에 고려된 상용 칩의 임피던스는 16-j131${\Omega}$이었고, 칩의 복소 공액 임피던스가 태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로써 사용되었다. 측정된 반사 손실과 방사 패턴은 계산된 결과들과 잘 일치하였다. 단지 차량 번호판 위에 설계된 태그 안테나의 측정된 인식 거리는 11.5 m였다. 또한, 번호판과 차량 범퍼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진 제작된 태그 안테나의 인식 거리는 10.4 m로 관측되었다. 이 측정된 인식 거리는 상용 태그 안테나의 평균 인식 거리보다 약 5 m 이상 먼 거리였다.

광대역 특성을 갖는 다중 미앤더 형태의 RFID 태그 안테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 of Multiple Meander-Line RFID Tag Antennas)

  • 정학주;이상운;추호성;박익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38-144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UHF 대역에서 동작하는 다중 미앤더 형태의 RFID 태그 안테나의 크기와 접은 횟수에 따른 대역폭, 효율, 인식 거리 등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테나의 크기는 각각 $20.0{\times}19.7$, $25.0{\times}24.8$, $30.0{\times}29.7\;mm^2$이며, 비교한 각각의 안테나 대역폭은 반전력 대역폭(VSWR<5.8)을 기준으로 857~963 MHz, 844~965 MHz, 844~968 MHz이며, 전 세계 RFID UHF 대역폭인 860~960 MHz를 모두 만족하는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또한 안테나의 크기와 미앤더 형태로 접은 횟수에 따른 효율 및 이득 특성 변화가 안테나의 인식 거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이드 미러용 고감도 RFID 태그 안테나의 설계 (A Design of RFID Tag Antenna with High Sensitivity for Car Side Mirror)

  • 한승목;김민성;민경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93-798
    • /
    • 2008
  • 이 논문은 차량 사이드 미러용 고감도 RFID 태그 안테나의 설계에 대해 나타내었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154\;mm{\times}66\;mm{\times}1;mm$)는 900 MHz에서 공진하며 690 MHz($490\;MHz{\sim}1180\;MHz$)의 넓은 대역폭을 가진다. 태그 안테나의 측정된 이득과 인식거리는 각각 5.8 dBd와 10 m 이다. 차체를 포함한 사이드미러 내부에 위치한 제안된 태그 안테나의 방사패턴과 인식거리가 전파암실에서 측정되었다. $90^{\circ}$근방에서의 인식거리는 차체가 없는 제안된 안테나의 인식거리와의 비교로부터 약 1.5 m 확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태그안테나의 우수한 성능이 상용 태그안테나의 측정된 결과들과의 비교에 의해 관측되고 입증되었다.

Overview of Bitstream Syntax and Parser Description Languages for Media Codecs

  • Kim, Hyungyu;Jang, Euee S.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2권3호
    • /
    • pp.103-116
    • /
    • 2013
  • This paper reviews various bitstream syntax and parser description (BSPD) languages used in MPEG multimedia standards. Traditionally, the bitstream syntax and semantics have been described in human-readable form. Several languages have been developed to describe the bitstream syntax using a computer-readable language and allow the automatic generation of bitstream parsing function from the description. The languages were designed for different objectives and applications but have a range of commonalities in functiona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BSPD languages. The background and target application of the BSPD languages are reviewed. In addition, the technical features of each languages, including the linguistic basis (e.g., XML-based) and parser generation method, are discussed and evaluated.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based on each language are introduc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objectives. Finally, the relevant technical issues that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searches are reported.

  • PDF

부착면 표면물질에 의한 성능 왜곡을 최소화한 이중 선로의 비대칭 다이폴 형태 태그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Tag Antenna with a Low Performance Distortion from an Attached Surface Material Using the Asymmetric Dual-Arm Dipole Structure)

  • 김도균;추호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부착될 물질이 가지는 전기적 특성에 의한 성능 변화가 적은 이중 선로의 비대칭 다이폴 형태 RFID 용도 태그 안테나(Asymmetric Dual-arm Dipole Antenna: ADDA)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는 상용 의료 폐기물 수거용 플라스틱 밀폐 용기(${\varepsilon}_r=1.7,\;tan\;{\delta}=0.002$)에 부착하여도 안테나의 동작 특성 변화가 적도록 설계되었다. 안테나의 세부적인 설계변수는 자유공간과 인식 대상 물체에 부착시 우수한 인식거리 성능을 나타내도록 Pareto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최적화 태그 안테나는 $100\;mm{\times}50\;mm$의 크기를 가지며, 3.7 %의 반사 손실 대역폭($S_{11}$< -10 dB)을 가지고 80 %의 복사효율을 나타내었다. 인식 거리 측정 결과, 자유공간에서 정면 방향(broadside) 5.3 m, 의료 폐기물 수거용 플라스틱 밀폐 용기에 부착시 최대 5.5 m의 인식거리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RFID 태그용 루프형 다이폴 안테나의 지향성 설계 (A Directivity Design of Loop Type Dipole Antenna for RFID Tag)

  • 김민성;민경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05-811
    • /
    • 2008
  • 이 논문은 차량용 사이드 미러에 적합한 광대역 RFID 태그안테나를 설계하고, 차체에 의한 지향성의 특성을 제시한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는 인식거리와 광대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칭 구조로 설계되었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30\;mm{\times}24\;mm{\times}1\;mm$)는 910 MHz에서 공진하며 대역폭은 780 MHz($540\;MHz{\sim}1320\;MHz$)를 가진다. 칩 임피던스는 16 - $j131\;{\Omega}$이고, 상용 칩의 복소 공액 임피던스가 태그 안테나의 설계에 사용되었다. 제안된 태그 안테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내부에 위치한다. 사이드 미러의 유전율뿐만 아니라 차체(도체)에 대한 태그 안테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지향패턴 측정과 인식거리가 계산되고 측정되었다. 차량용 RFID 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위치가 사이드 미러 내부에서 관측되었으며, 계산된 결과들은 측정된 결과들과 잘 일치하였다.

인식 음영 구역을 제거한 RFID 태그 안테나 설계 (Design of Tag Antenna without Shadow Zone in Readable Pattern)

  • 조치현;추호성;박익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206-12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전기 전류와 자기 전류를 동시에 생성하여 인식 음영 구역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RFID 태그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변형된 이중 T 매칭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용 태그 칩을 안테나에 공액 정합을 시켜, 848${\~}$926 MHz의 넓은 대역폭($S_{11}< -10 dB$)과 $90\%$ 이상의 높은 복사 효율을 얻었다. 제안한 안테나는 동작 주파수 부근에서 최대 이득과 최소 이득의 차이가 약 4 dB로 유사 등방성 복사 패턴을 가지며, 상용 태그칩을 장착하여 인식 거리를 측정한 결과 태그의 방향과 무관하게 1.7${\~}$2.4 m의 고른 인식 능력을 보였다.

Nanoplasmonics: An Enabling Platform for Integrated Photonics and Biosensing

  • Lee, Jihye;Yeo, Jong-Souk
    •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7-14
    • /
    • 2016
  • Nanoplasmonics is a developing field that offers attractive optical,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for a wide range of potential applications. Based on the compelling characteristics of this field, researchers have shed light on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ed photonics and biosensing platforms using nanoplasmonic principles. Single and unique nanostructures with plasmons can act as individual transducers that convert desired information into measurable and readable signals. In this review, we will discuss nanoplasmonic sensors, especially those in relation to photodetectors for future optical interconnects, and bioinformation sensing platforms based on nanoplasmonics, thus providing a viable approach by which to create sensors corresponding to target applications. In addition, we also discuss scalable fabrication processes for the creation of unconventional nanoplasmonic devices, which will enable next-generation plasmonic devices for wearable, flexible, and biocompatible systems.

모바일 로봇을 위한 RFID 센서공간에서 효율적인 위치인식 알고리즘 (An Efficient Localization Algorithm for Mobile Robots in RFID Sensor Space)

  • 임형수;최승욱;이장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949-955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localization algorithm in the RFID sensor space for the precise localization of a mobile robot. The RFID sensor space consists of embedded sensors and a mobile robot. The embedded sensors, that is tags are holding the absolute position data and provide them to the robot which carries a reader and requests the absolute position fur localization. The reader, it is called as antenna usually, gets several tag data at the same time within its readable range. It takes time to read all the tags and to process the data to estimate the position, which is a major factor to deteriorate the localization accuracy. In this paper, an efficient algorithm to estimate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as quickly as possible has been proposed. Along with the algorithm, a new allocation of the tags in the RFID sensor space is also proposed to improve the localization accuracy. The proposed algorithms are demonstrated and verified through the real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