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b3

검색결과 934건 처리시간 0.037초

Two Anhydrous Zeolite X Crystal Structures, $Ca_{31}Rb_{30}Si_{100}Al_{92}O_{384}$ and $Ca_{28}Rb_{36}Si_{100}Al_{92}O_{384}$

  • 장세복;김미숙;한영욱;김양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7호
    • /
    • pp.631-637
    • /
    • 1996
  • The structures of fully dehydrated Ca2+- and Rb+-exchanged zeolite X, Ca31Rb30Si100Al92O384(Ca31Rb30-X; a=25.009(1) Å) and Ca28Rb36Si100Al92O384(Ca28Rb36-X; a=24.977(1) Å), have been determined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methods in the cubic space group Fd&bar{3} at 21(1) ℃. Their structures were refined to the final error indices R1=0.048 and R2=0.041 with 236 reflections for Ca31Rb30-X, and R1=0.052 and R2=0.043 with 313 reflections for Ca28Rb36-X; I>3σ(I). In both structures, Ca2+ and Rb+ ions are located at six different crystallographic sites. In dehydrated Ca31Rb30-X, sixteen Ca2+ ions fill site I, at the centers of the double 6-rings (Ca-O=2.43(1) Å and O-Ca-O=93.3(3)°). Another fifteen Ca2+ ions occupy site II (Ca-O=2.29(1) Å, O-Ca-O=119.5(5)°) and fifteen Rb+ ions occupy site II opposite single six-rings in the supercage; each is 1.60 Å from the plane of three oxygens (Rb-O=2.77(1) Å and O-Rb-O=91.1(4)°). About two Rb+ ions are found at site II', 1.99 Å into sodalite cavity from their three-oxygen plane (Rb-O=2.99(1) Å and O-Rb-O=82.8(4)°). The remaining thirteen Rb+ ions are statistically distributed over site III, a 48-fold equipoint in the supercages on twofold axes (Rb-O=3.05(1) Å and Rb-O=3.38(1) Å). In dehydrated Ca28Rb36-X, sixteen Ca2+ ions fill site I (Ca-O=2.41(1) Å and O-Ca-O=93.6(3)°) and twelve Ca2+ ions occupy site II (Ca-O=2.31(1) Å, O-Ca-O=119.7(4)°). Sixteen Rb+ ions occupy site II; each is 1.60 Å from the plane of three oxygens (Rb-O=2.81(1) Å and O-Rb-O=90.6(3)°) and four Rb+ ions occupy site II'; each is 1.88 Å into sodalite cavity from their three-oxygen plane (Rb-O=2.99(1) Å and O-Rb-O=83.8(2)°). The remaining sixteen Rb+ ions are found at III site in the supercage (Rb-O=2.97(1) Å and Rb-O=3.39(1) Å). It appears that Ca2+ ions prefer sites I and II in that order, and that Rb+ ions occupy the remaining sites. Rb+ ions are too large to be stable at site I, when they are competing with other smaller cations like Ca2+ ions.

Crystal Structure of Dehydrated $Rb^{+}$-Exchanged Zeolite X, $Rb_{71}Na_{21}Si_{100}Al_{92}O_{384}$

  • 이석희;김양;김덕수;Karl Seff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호
    • /
    • pp.98-103
    • /
    • 1998
  • The crystal structure of dehydrated $Rb^+$-exchanged zeolite X, stoichiometry $Rb_{71}Na_{21}-X\; (Rb_{71}Na_{21}Si_{100}Al_{92}O_{384})$ per unit cell, has been determined from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date gathered by counter methods. The structure was solved and refined in the cubic space group Fd3, a=25.007(3) Å at 21(1) ℃. The crystal was prepared by ion exchange in a flowing stream using a 0.05 M aqueous RbOH solution (pH=12.7). The crystal was then dehydrated at 360 ℃ and $2{\times}10^{-6}$ torr for two days. The structure was refined to the final error indices, $R_1=0.047$ and $R_2=0.040$ with 239 reflections for which I> 3σ(I). In this structure, 71 $Rb^+$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at six different crystallographic sites and 21 $Na^+$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at two different crystallographic sites. Four and a half $Rb^+$ ions are located at site Ⅰ, the center of the hexagonal prism. Nine $Rb^+$ ions are found at site Ⅰ' in the sodalite cavity (Rb-O=2.910(15) Å and O-Rb-O=78.1(4)°). Eighteen $Rb^+$ ions are found at site Ⅱ in the supercage (Rb-O=2.789(9) Å and O-Rb-O=92.1(4)°). Two and a half $Rb^+$ ions, which lie at site Ⅱ', are recessed ca. 2.07 Å into the sodalite cavity from their three O(2) oxygen planes (Rb-O=3.105(37) Å and O-Rb-O=80.6(5)°). Thirty-two $Rb^+$ ions are found at site Ⅲ deep in the supercage (Rb-O=2.918(12) Å and O-Rb-O=71.9(4)°), and five $Rb^+$ ions are found at site Ⅲ'. Seven $Na^+$ ions also lie at site Ⅰ. Fourteen $Na^+$ ions are found at site Ⅱ in the supercage (Na-O=2.350(19) Å and O-Na-O=117.5(6)°).

Crystal Structures of Fully Dehydrated Zeolite $Cd_6-A$ and of $Rb_{13.5}-A$, the Product of its Reaction with Rubidium, Containing Cationic Clusters

  • Jang, Se-Bok;Kim, Yang;Seff, Kar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3호
    • /
    • pp.236-241
    • /
    • 1994
  • The crystal structures of $Cd_6-A$ evacuated at $2{\times}10^{-6}$ Torr and 750$^{\circ}$C (a=12.216(l) ${\AA}$), and of the product of its reaction with Rb vapor (a= 12.187(l) ${\AA}$), have been determined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techniques in the cubic space group Pm$\bar{3}$m at 21(l)$^{\circ}$C. Their structures were refined to the final error indices, $R_1$=0.055 and $R_2$=0.067 with 191 reflections, and $R_1$=0.066 and $R_2$=0.049 with 90 reflections, respectively, for which I>3${\sigma}$(I). In dehydrated $Cd_6-A$, six $Cd^{2+}$ ions are found at two different threefold-axis sites near six-oxygen ring centers. Four $Cd^{2+}$ ions are recessed 0.50 ${\AA}$ into the sodalite cavity from the (111) plane at O(3), and the other two extend 0.28 ${\AA}$ into the large cavity from this plane. Treatment at 250 $^{\circ}$C with 0.1 Torr of Rb vapor reduces all $Cd^{2+}$ ions to give $Rb_{13.5^-}$A. Rb species are found at three crystallographic sites: three $Rb^+$ ions lie at eight-oxygen-ring centers, filling that position, and ca. 10.5 $Rb^+$ ions lie on threefold axes, 8.0 in the large cavity and 2.5 in the sodalite cavity. In this structure, ca. 1.5 Rb species more than the 12 $Rb^+$ ions needed to balance the anionic charge of zeolite framework are found, indicating that sorption of $Rb^0$ has occurred. The occupancies observed can be most simply explained by two "unit cell" compositions, $Rb_{12^-}A{\cdot}Rb$ and $Rb_{12^-}A{\cdot}2Rb$, of approximately equal population. In sodalite cavities, $Rb_{12^-}A{\cdot}Rb$ would have a $(Rb_2)^+$ cluster and $Rb_{12^-}A{\cdot}2Rb$ would have a triangular $(Rb_3)^+$ cluster. Each of the atoms of these clusters must bind further through a six-oxygen ring to a large cavity $Rb^+$ to give $(Rb_4)^{3+}$ (linear) and $(Rb_6)^{4+}$ (trigonal). Other unit-cell compositions and other cationic cluster compositions such as $(Rb_8)^{n+}$ may exist.

지구성 운동과 Ginsenoside Rb1가 쥐 골격근의 AMP-Activated Protein Kinase(APMK),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I3K) 발현 및 Glucose Uptak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and Ginsenoside Rb1 on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Expression and Glucose Uptake in the Skeletal Muscle of Rats)

  • 정현령;신영호;강호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197-1203
    • /
    • 2013
  • 본 연구는 2주간의 지구성 운동과 ginsenoside $Rb_1$이 쥐골격근의 AMPK insulin signaling($tAMPK{\alpha}$, $pAMPK{\alpha}$ $Thr^{172}$)과 PI3K insulin signaling pathway(pIRS-1 $Tyr^{612}$, PI3K $p^{85}$, pAkt $Ser^{473}$) 발현 및 glucose uptak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골격근내 glucose uptake에서는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운동집단(59.4%), $Rb_1$집단(70.5%) $Rb_1/Ex$집단(58.6%)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주간의 지구성 운동과 ginsenoside $Rb_1$이 AMPK insulin signaling pathway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AMPK{\alpha}$(Ex, 28.6%; $Rb_1$, 28.5%; $Rb_1/Ex$, 29.8%), $pAMPK{\alpha}$ $Thr^{172}$(Ex, 35.1%; $Rb_1$, 35.3%; $Rb_1/Ex$, 30.9%)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주간의 지구성 운동과 ginsenoside $Rb_1$이 PI3K insulin signaling pathway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IRS-1, PI3K $p^{8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Akt $Ser^{473}$$Rb_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ginsenoside $Rb_1$은 운동과 더불어 근육 세포내 AMPK의 활성화와 근육 내 glucose uptake를 증가시켜 제2형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로 PI3K insulin signaling pathway의 항당뇨 효과는 설명하기는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ginsenoside $Rb_1$의 농도, 처치시간, 처치방법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insenoside Rb3 ameliorates podocyte injury under hyperlipidemic conditions via PPARδ- or SIRT6-mediated suppression of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 Heeseung Oh;Wonjun Cho;Seung Yeon Park;A.M. Abd El-Aty;Ji Hoon Jeong;Tae Woo J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400-407
    • /
    • 2023
  • Background: Rb3 is a ginsenoside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many cell types and has been reported to attenuate inflammation-related metabolic diseases such as insulin resistanc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the effect of Rb3 on podocyte apoptosis under hyperlipidemic conditions,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obesity-mediated renal disease, remains unclear. In the curr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b3 on podocyte apoptosis in the presence of palmitate and explore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Methods: Human podocytes (CIHP-1 cells) were exposed to Rb3 in the presence of palmitate as a model of hyperlipidemia.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MTT assay. The effects of Rb3 on the expression of various proteins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Apoptosis levels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caspase 3 activity assay, and cleaved caspase 3 expression. Results: We found that Rb3 treatment alleviated the impairment of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caspase 3 activity as well as inflammatory markers in palmitate-treated podocytes. Treatment with Rb3 dosedependently increased PPARδ and SIRT6 expression. Knockdown of PPARδ or SIRT6 reduced the effects of Rb3 on apoptosis as well as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cultured podocytes.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Rb3 alleviates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via PPARδ-or SIRT6-mediated signaling, thereby attenuating apoptosis in podocytes in the presence of palmitate. The present study provides Rb3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treating obesity-mediated renal injury.

쌀겨시용량 및 시용시기가 벼 생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ed Amount and Time of Rice Bran on the Rice Growth Condition)

  • 김종구;이상복;이경보;이덕배;김재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19
    • /
    • 2001
  • 쌀겨시용량 및 시용시기가 벼 생육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포장시험은 미사질양토(전북통)에서 쌀겨 무시용, 쌀겨 1.8 Mg/ha(1.8RB). 쌀겨 3.5 Mg/ha (3.5RB)등 3처리구와 질소수비구를 두어 벼 이앙후 5일에 쌀겨를 표면처리 하였다. 포트 시험은 쌀겨 처리시기를 이앙후 5일, 10일, 15일, 20일 처리 등 4처리를 두어 벼 수량, 잡초 발생량, 토양특성 및 수질 등을 검토하였다. 쌀겨 시용 시 논물 중 EC, $NO_3\;^-$의 농도는 시용후 25일까지 높게 유지되었고, 그후에는 감소되었다. 지하침투수중 양분 용출량은 $NO_3\;^-$, $K^+$가 많았고, 쌀겨 시용량이 많을수록 약간 증가되었다. 또한 토양 중 질소함량은 3.5RB시용에서 $NH_4-N$는 화학비료 시용보다 적은 반면, $NO_3-N$는 약간 많았으며, 1.8RB에서는 $NH_4-N$는 화학비료 시용보다 50%정도 적었으나 $NO_3-N$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쌀겨 시용시 잡초 발생양상은 쌀겨 시용량이 많을수록 잡초발생수가 적이 3.5RB 시용은 화학비료대비 68%까지 감소되었다. 쌀겨처리시기별 잡초발생은 이앙후 5일 처리에서 잡초발생량이 제일 적었으며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잡초 발생량이 많았다. 쌀겨 시용량별 벼 수량은 1.8 RB 단용처리에서 4.41 Mg/ha, 3.5 RB에서는 4.87 Mg/ha정도였으나, 1.8 RB 및 3.5 RB에 질소수비 처리구는 쌀겨단용처리보다 $14{\sim}15%$ 증수되었다. 쌀겨 시용 시기별수량은 이앙후 5일처리에서 제일 높았고, 쌀겨처리 시기가 늦을수록 벼 수량이 점점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 PDF

한우에서 rbST 처리가 Progesterone 농도와 황체의 크기 및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rbST) Treatment on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Volume of Luteal Tissue and Pregnancy Rate in Hanwoo)

  • 정세환;공일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9-274
    • /
    • 2003
  • 본 연구는 과배란처리에 의한 수정란이식 시 우수한 수정란을 다량 확보하고 이식 후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수란우에 rbST처리가 수태율 및 progesterone 농도와 황체의 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F$_2$$\alpha$를 이용하여 과배란처리를 유도하여 12시간 간격으로 2 straw씩 3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공란우와 수란우는 대조구와 rbST 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rbST (500 mg)처리는 발정발현 후 미근부에 근육 주사하였다. 과배란처리된 공란우의 수정란채란은 수정 후 7∼8일째에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정란이식 후 수태율은 rbST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64.0 vs. 47.1%; p<0.05). 채취한 혈액의 progesterone 농도 분석과 황체의 단면적를 조사한 결과 progesterone 농도는 대조구와 rbST 처리구에서 6일 동안 차이가 없었지만, 6일 이후부터 차이가 나타났으며 황체크기 역시 rbST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rbST처리는 이식 후 수태율의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루비듐 증기와 반응한 $Ag^+$ 이온과 $Ca^{2+}$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의 결정학적 연구 (Crystallographic Studies of $Ag^+$-and $Ca^{2+}$- Exchanged Zeolite A Reacting with Rubidium Vapor)

  • 한영욱;송승환;김양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2-31
    • /
    • 1991
  • 세 개의 탈수한 $Ag^+$이온과 $Ca^{2+}$ 이온으로 치환한 제올라이트 $A(Ag_4Ca_4-A,\;Ag_^Ca_3-A,\;Ag_8Ca_2-A)$를 0.1 Torr의 Rb 증기로 처리한 결정구조를 공간군 Pm3m을 써서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결정하였다. (단위세포상수 a는 각각 $12.271(1){\AA},\;12.255(1){\AA}$$12.339(1){\AA}$이다). 이들 구조의 최종 오차인수 R(무게)는 $I>3{\rho}(I)$가 되는 130 회절반사로 0.072, 110 회절반사로 0.050 및 86 회절반사로 0.082이었다. 각각의 구조에서 Rb 종은 세개의 다른 결정학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단위세포당 3개의 $Rb^+$이온은 8-링 중심에 위치하고 약 2.5개 내지 3.0개의 $Rb^+$이온은 소다라이트 동공내 3회 회전축상에 위치한다. 또 Ag 종이 두 개의 다른 결정학적 위치에 위치하고 약 0.7∼2.1개의 $Ag^+$이온은 4-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약 2.2∼4.8개의 Ag 원자는 큰 동공 중심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들 구조에서 단위 세포당 Ag 원자이 수는 각각 2.2, 2.4 및 4.8개이었고 이들은 큰 동공 중심에 헥사실버 클라스터를 만든다. $Rb^+$이온은 8-링을 막고 있어서 Ag가 골조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있고 각각의 헥사실버 클라스터는 13개의 $Rb^+$ 이온과 배위하여 안정화된다. 단위 세포당 약 0.8개의 Rb원자가 과잉으로 존재하여 삼각 대칭형의 $(Rb_3)^{2+}$클라스터가 소다라이트 동공내의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큰 동공의 6-링 $Rb^+$ 이온은 소다라이트 동공의 $(Rb_3)^{2+}$클라스터에 접근하므로 이들 클라스터는 $(Rb)_4^{3+}$, $(Rb)_5^{4+}$ 혹은 $(Rb)_6^{5+}$가 형성될 수도 있다.

  • PDF

$Ag^+$ 이온과 $Rb^+$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 ($Ag^{12-x}Rb_{x}-A$, x = 2 및 3) 를 탈수한 결정구조 (Two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Ag^+$ and $Rb^+$ Exchanged Zeolite A, $Ag^{12-x}Rb_{x}-A$, x = 2 and 3)

  • 김양;송승환;김덕수;한영욱;박동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24
    • /
    • 1989
  • X-선 단결정법으로 탈수한 $Ag_{9}Rb_{3}-A$ (a = 12.278(2)${\AA}$) 와 $Ag_{10}Rb_{2}-A$ (a = 12.286(2)${\AA}$)의 구조를 입방공간군 Pm3m을 써서 해석하였다. $Ag_{9}Rb_{3}-A$의 구조는 I >3${\sigma}$(I)인 회절반점 291개를 이용하여 $R_1$ = 0.064, $R_2$ = 0.060까지 정밀화 시켰으며 $Ag_{10}Rb_{2}-A$의 구조는 416개의 회절반점을 이용하여 $R_1$ = 0.063, $R_2$ = 0.080까지 정밀화 시켰다. 두 구조 모두 단위세포당 하나의 환원된 은 원자가 소다라이트 동공 내에 있으며 이 환원된 은 원자는 소다라이트 동공 1/6개 마다 $Ag_6$로 존재하든가 혹은 모든 소다라이트 동공마다 4mm 대칭성을 가지는 $(Ag_5)^{4+}$ 클러스터로 존재한다. 그 밖에 탈수한 $Ag_{9}Rb_{3}-A$에서는 8개의 $Ag^+$이온은 6-링 중심 3회 회전축 상에 있으며 3개의 $Rb^+$이온은 8-링 중심 $D_{4h}$ 대칭성을 가지고서 위치하고 있다. 또 탈수한 $Ag_{10}Rb_{2}-A$구조에서는 2개의 다른 6-링 $Ag^+$ 이온 즉 7개의 $Ag^+$ 이온은 6-링 평면상에 위치하고 1개의 $Ag^+$이온은 소다라이트 동공 내에 위치한다. 두 개의 서로 다른 8-링 양이온이 있으며 두 개의 $Rb^+$이온은 8-링 중심에 위치하였고 1개의 $Ag^+$이온은 8-링에서 0.1$\AA$ 만큼 큰 동공 쪽으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두 구조에서 보면 $Ag^+$이온은 6-링 위치에 $Rb^+$ 이온은 8-링 위치에 우선적으로 위치한다.

  • PDF

$^{87}Rb$ NMR Quadrupole Coupling Constants and Asymmetry Parameters in $RbMnCl_3$

  • Woo, Ae-Ja;Park, Young-Su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4-89
    • /
    • 1999
  • The 87Rb quadrupole coupling constants (e2qQ/h) and the asymmetry parameters (η) in RbMnCl3 were determined from a nonlinear least-squares fit to the 87Rb NMR powder spectra. The spectra were acquir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260K to 330K. An important feature in this work is the determination of the quadrupole coupling constants and the asymmetry parameters for two physically nonequivalent Rb sites, Rb(I) and Rb(II),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In addition, a structural phase transition at room temperature was conformed with the changes in the quadrupole coupling constant and the asymmetry parameter of Rb(II)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