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io of moisture content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25초

서속병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쳐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eosokbyung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 백구슬;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5-268
    • /
    • 2001
  • This study aimed for exploring the best recipe of Seosokbyung with different ingredient ratios of glutinous millet flour, sugar, and water added to rice flour. The most desirable recipe was determined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test for measuring texture, moisture content and colorimetry. The best score for each sensory item was obtained in the following condition: Color-245g(70%) of glutinous millet flour, 50g of sugar with 10$m\ell$ of water in 105g of rice flour. Flavor-l75g(5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a 80$m\ell$of honey in 175g of rice flour. Graininess and Moistness-245g(7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70$m\ell$ of honey in 105g of rice flour. Chewiness-2I0g(60%) of glutinous millet flour, 60g of sugar with 20$m\ell$ of water in 140g of rice flour. Sweetness-l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7g of sugar with 25$m\ell$ of water in 175g of rice flour. As a result of mechanical examination, the best score for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dhesiveness was obtained in the recipe of 1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80$m\ell$ of sugar in 175g of rice flour, and that for hardness in the one of 245g (70%) of glutinous millet flour with 70$m\ell$ of honey in rice flour As the less amount of glutinous millet flour was added, the scores for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were increased, and the addition of honey gave higher scores than sugar or oligosaccharide(P<0.05) The best recipe of Seosokbyung was 140g of rice flour, 2 l0g of glutinous millet flour, 60g of sugar, 20$m\ell$ of water and 3.5g of salt. The moisture contents of rice flour and glutinous millet flour were 31.6% and 13.3%, respectively. The content of moisture in the best recipe of the Seosokbyung is approximately 36.101%. The moisture content higher than 36% gave better sensory scores in chewiness and moistness. As a result of colorimetry, the most bright ‘L’value(Lightness) was obtained from 175g of rice flour mixed with 1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70g of sugar and 25$m\ell$ of water. The highest ‘a’ value(Redness) was gained from 175g of rice flour mixed with 175g (50%) of glutinous millet flour and 80$m\ell$ of honey. The best ‘b’ value(Yellowness) was obtained from 140g of rice flour, 210g (60% of rice flour) of glutinous millet flour, 60g of sugar and 20$m\ell$ of water.

  • PDF

진피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Dried Tangerine Peel Powder)

  • 안기정;이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4-29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of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4 types of tangerine peel powder; 0% (TP-0 group), 1% (TP-1 group), 2% (TP-2 group), 3% (TP-3 group), and 4% (TP-4 group).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exture of Sulgidduk tangerine peel powder, it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increased, whereas adhesiveness, chewi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oisture content of Sulgidduk with tangerine peel powder ranged from 37% to 39%. The L-value of the color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angerine peel powder; however, the a-value and b-value of the color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angerine peel powder.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P3 had the highest values in color and moistness.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st desirable ratio is tangerine peel powder TP3. Thus, the importance of the overall scores for taste and CP3 deems the results of treatment, which were highly appreciated. CP3 treatment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chewy sweet in taste and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H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benefits of tangerine peel powder supplementation in Sulgidduk in the aspects of taste and functionality. The degree of a further increase in Sulgidduk with tangerine peel powder, without causing an adverse quality effect, remains for future study.

대잎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by Different Amount of Bamboo Leaf Flour)

  • 안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4-111
    • /
    • 2010
  • 대잎 분말 첨가 설기떡의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수분 함량과 색도를 측정하였다. 대잎분말의 첨가량은 0%인 대조군을 BP0으로 하였으며, 1% 첨가군을 BP1, 2% 첨가군을 BP2, 3% 첨가군을 BP3, 4% 첨가군을 BP4로 표기하였다. Textureanalyze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설기떡에 대잎 분말 첨가량을 증가하면 할수록 견고도가 증가하고, 부착성과 점착성, 씹힘성, 응집성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탄력성은 다른 처리구와 다르게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수분 함량은 대잎 첨가 설기떡의 경우 37~39%를 유지하였으며, 색도는 대잎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될수록 L값은 감소되며 a, b값은 증가 되는 경향이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색과 촉촉한 정도에서 BF3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BF3의 첨가구가 가장 바람직한 첨가 비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맛과 기능적인 면에 대한 것도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The effect of hydrated lime on the petrograph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Illite clay

  • Rastegarnia, Ahmad;Alizadeh, Seyed Mehdi Seyed;Esfahani, Mohammad Khaleghi;Amini, Omid;Utyuzh, Anatolij Sergeevich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2권2호
    • /
    • pp.143-152
    • /
    • 2020
  • In this research, soil samples of the Kerman sedimentary basin, Iran, were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tests such as petrograph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and X-Ray Diffraction (XRD)),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tests. The soil in this area is dominantly CL. The petrography results showed that the dominant clay mineral is Illite. This soil has made some problems in the earth dams due to the low shear strength. In this study, a set of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lime. Next, the petrography and strength tests at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SEM analysis showed substantial changes in the soil structure after the addition of lime. The primary structure was porous and granular that was changed to a uniform and solid after the lime was added. According to XRD results, dominant mineral in none stabilized soil and stabilized soil are Illite and calcite, respectively. The pozzolanic reaction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clay minerals in the stabilized samples and calcite was known as the soil hardener material that led to an increase in soil strength. An increase in the hydrated lime leads to a decrease in their maximum dry unit weight and an increase in their optimum moisture content. Furthermore, increasing the hydrated lime content enhance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and soil's optimum moisture. An increase in the strength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uring time and hydrated lime contents, as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is achieved at 7% hydrated lime. Moreover, the maximum increase in the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achieved in clay soils mixed with 8% hydrated lime.

국산 유용 수종재의 인공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Kiln Drying Characteristics of Several Commercial Woods of Korea)

  • 정병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8-12
    • /
    • 1974
  • 한국의 목재 인공 건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필자의 전직 대학인 전북대학교 전 김두헌 총장님, 동농대전 백남혁학장 및 동농대교수 제위의 각별한 협조를 얻어 1956년 고액을 지불하고 미국 More Dry Kiln Co.에서 최신의 목재 인공 건조 장치를 도입하여 전북 농대 임학과에 설치하게된 것이다. 그러나 이 건조 시설을 활용하는데는 많은 지장이 있었으므로 1959년 전기 More Dry Kiln의 온, 습도 조절장치만을 이용한 소형 Dry kiln을 제작하여 본 시험을 실시한 것이다. 공시수종은 소나무, 낙엽송, 은행나무, 전나무, 밤나무 및 감나무등이며, 공시목의 크기는 것이 60cm, 넓이 10cm 및 두께 15-35mm이다. 실험한 건조 조건은 건조 온도를 일정히 ($170^{\circ}F$)하고, 관계습도를 각종으로 변화할때 얻어지는 건조 속도를 측정하는 동시에 각 건조조건에 의하여 유발되는 건조결함을 조사하여 공시목의 초기 함수율과 건조 최경함수율 특히 shell의 함수율과의 비가 이들의 결함 형성 특히 표면경화(casehardening)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으며 또한 casehardening 계산식을 유도하였다. 1. 목재내부에 형성된 응력 즉 prong이 개주할 때의 응력은 prong이 서로 접합할 때의 응력을 100으로 하는 백분율에 의하여 다음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 응력 측정에 사용한 prong은 그림 1과 같이 작성하여야 한다. $CH=\frac{(A-B') (4W+A) (4W-A)}{2A[(2W+(A-B')][2W-(A-B')]}{\times}100%$ 상식은 다음과 같은 간이식을 사용할 수 있다. $CH=\frac{A-B'}{A}{\times}200%$ 2. 일정 한 건조 조건하에 건조하여 항중에 달하고, 또한 normal casehardening을 형성하는 경우에 는, 그 sample board의 shell 의 함수율은 특히 얇은 sample board에 있어서 US Dep. Agr., Forest Products Laboratory에서 발표한 EMC 보다 낮다. 3. 본 실험에서 측정한 1시간당 목재 건조 표면적 $1cm^2$ 당 증발하는 증발량 즉 건조속도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순위로 되었으며, 비교 검토한 5수 종중 최대치를 유하는 은행나무 MC 20% 에 있어서 최저치를 표시한 밤나무의 3.8배가 된다. (표 1 참조) (1) 은행나무 (2) 감나무 (3) 소나무 (4) 낙엽송 (5) 밤나무 특히 함수율 26% 이하에 있어서 각 함수율에 대한 증발속도치는 다음과 같은 일차식으로 표시 할 수 있으며, 그 회귀계수 유의성 검정에 있어서의 T치는 다음과 같이 각각 고율의 유의성을 표시하였다. (표2 참조) 상기중 Y는 증발속도($g/cm^2hr$.), X는 함수율을 각각표시한다. 이들 회귀직선을 도시하면 그림 2와 같다. 4. 초기함수율과 건조 최종기에 있어서의 목재의 표층 함수율 즉 shell의 함수율과의 비(SR)가 casehar dening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어떤 SR 값에 관하여 그 SR 값 이하를 유하는 총개제수(N) 중 CH 제4급이 출현하는 수(D)의 확율 즉 N에 대한 D의 출현확율 P%는 표 3과 같다. (D의 출현확율 P%를 위험확율이라고 가칭한다.) 표 4에 있어서 종란의 1,2,3의 숫자는 각각 다음과 같은 사항을 표시한다. (1) CH 값 제 4급이 출현하지 아니 하는 안전한 최소 SF 값 (2) 위험을 30%를 허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SF 값의 한계 (3) CH 값 제 4급 이하가 발생하지 아니하는 위험율 100%의 값의 범위 상기한 실측 결과에 의하여 밤나무, 낙엽송등은 내부응력 형성이 용이한데 비하여 감나무, 소나무등은 내부응력 형성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특히 전나무, 은행나무등은 타수종과 동일한 건조조건에 있어서 reverse casehardening을 초래함에 비추워 타수종에 비하여 현저히 내부응력 특히 normal casehardening이 잘 형성되지 아니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casehardening을 제외한 각종의 drying defects는 long time loading에 있어서 그 내부응력이 ultimate stress를 초과할 때 나타나는 것인데 건조조건 온도 $170^{\circ}F$에 대하여 습도를 낮게하여도 그렇게 심하지 아니하나, 온도 $200^{\circ}CF$의 저습에 있어서 end coating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발생한다. 특히 밤나무는 실험한 타수종에 비하여 casehardening 및 활열성 defects가 강한 것을 지적할 수 있다.

  • PDF

전립분 첨가시 빵생지의 물성 및 이스트의 가스발생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ole wheat flour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gassing power of yeast)

  • 노삼현;이명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79-191
    • /
    • 2001
  • 밀가루전립분 혼입이 빵생지의 물성 및 yeast(S.cerevisiae)의 가스발생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실험은 밀전립분의 혼입비율 0, 25, 50, 75, 100%의 5군으로 구성 해 그 제빵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1) 패리노그래프에 의해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밀전립분은 빵용 밀가루에 비해 1.3배의 흡수율을 나타냈다. 2) Texture meter에 의한 dough 정도는 수분일정 생지의 경우는 혼입비율의 증가와 함께 딱딱하게 되고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흡수율에 의해 산출한 최적수분량은 조정한 경우의 dough의 점도 및 응집성은 제빵용 밀가루와 거의 같았다. 3) 밀전립분은 S.cerevisiae의 가스발생력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고 수분일정생지의 경우 전체 가스 발생량 및 내포잔류 가스량과 혼입비율에서도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수분조정반죽의 경우는 밀전립분 혼입비율의 증가와 함께 전체 가스발생량 및 내포한 잔류 가스량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4) 빵의 품질평가의 결과 밀전립분을 25-50%혼입하여 수분 조정한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국내산 두류 품종에 대한 품질 분석 (Qualities Analysis of Domestic Soybean Cultivars)

  • 유광원;배윤정;배유정;주가영;김채영;윤지혜;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66-671
    • /
    • 2020
  •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Glycine max), the approximate analysis, physical properties, mineral and free sugar content of domestic soybean cultivars were analyzed. The moisture content was about 9.15~11.84%. The fat content of Cheonga, Taekwang, and Jinpung cultivars were 17.93~18.3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Protein content of Cheonga and Seonyu were 36.15~36.70%,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As for the weight and shape of soybeans, the Daewon was the largest allele, and the seed cover ratio was the highest in the Seonyu. In terms of water absorption rate, the Seonyu showed the highest absorption rate at 246.19%, and the Daewon showed the lowest absorption rate. Soaked soybeans had a hardness of 2.80~4.73 kg/㎠, which did not show low hardness in the sample with high moisture absorption. The grinded soybeans showed higher lightness and yellowness values than the raw soybeans, and the redness was decreased. Soybean minerals contained high K, P, Mg, and Ca content. Overall, The Taekwang contained more minerals than others. Stachyose,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were detected as free sugars in soybeans.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of Taekwang was the lowest at 3.47%, and the Cheonga (6.80%) was the highest.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 은순덕;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30
    • /
    • 2008
  • Sulgidduk samples made with additions of 2, 4, 6, 8, and 10%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and a control were examin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olor, gelatinization properties,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in the formulation. The moisture contents among the samples ranged from 41.98% to 44.97%, and increased as the conten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increased. The water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the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samples also increased, but lightness decreased. For the gelatinization properties, the addition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caused decreases in peak viscosity (P) and holding strength viscosity (H). Furthermore, final viscosity (F), setback, and time to peak visco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content; however, breakdown and temperature to peak viscos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Hardness and gumm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content, and adhesive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resilience also tended to decrease; however, spring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In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as the conten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increased, the scores of all evaluated characteristics decreased; while the characteristic intensity ratings showed the reverse effect, and the 2 and 4%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samples obtained fairly good scores.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ng $2{\sim}4%$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to Sulgidduk is optimal, providing good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reasonably high overall consumer acceptability.

영가철에 의한 토양 Cr(VI) 환원에 미치는 유기물 및 수분함량 영향 (Effect of Organic Matter and Moisture Content on Reduction of Cr(VI) in Soils by Zerovalent Iron)

  • 양재의;이수재;김동국;오상은;윤성환;옥용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5
    • /
    • 2008
  •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중금속 오염의 복원기술들은 방법에 따라 상이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처리시 이차적인 오염이 발생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외부 투입 에너지에 크게 의존하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오염물질을 완전히 분해시키거나 더 이상 독성을 야기하지 않고 원래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상실한 다른 물질로 변환시킬 수 있는 처리 기술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VI)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간단한 산화-환원 반응의 원리를 이용한 영가철 복원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요인을 구명하여 향후 현장적용시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Cr(VI)으로 오염된 토양에 영가철 만을 처리한 결과 반응 30일 후 Cr(VI)의 환원 정도는 영가철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Cr(VI)의 환원정도는 증가하였으며 반응속도 또한 유기물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Cr(VI)농도가 반응5일 동안 9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유기물에 의한 Cr(VI)의 환원 반응은 초기 반응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수분함량의 경우 수분에 의한 직접적인 효과는 Cr(VI) 감소량 대비 4%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물 함량이 영가철의 Cr(VI) 환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Cr(VI) 농도는 50% 이상 감소하였으나 유기물 함량이 영가철의 이온화나 활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수분함량을 $15{\sim}30%$로 처리한 경우 영가철의 Cr(VI) 환원에 있어 반응 30일 후 초기 Cr(VI) 농도의 90% 정도가 제거되었다. 따라서 토양 수분 함량은 영가철의 이온화 및 활동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판단되었다. 특히 영가철, 유기물, 수분함량을 개별적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MCL 이하로 Cr(VI)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는 없었으나 이들을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에는 MCL 이하로 Cr(VI)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었다.

콤바인 예취날의 형상이 볏짚절단저항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shape of cutting blade on cutting resistance of rice stalk)

  • 최우영;김태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2권
    • /
    • pp.41-48
    • /
    • 2004
  • 본 연구는 예취시 벼 줄기의 절단 저항이 적은 콤바인 예취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위하여 예취날의 윗날 내부에 면적 $75mm^2$의 평면 홈을 가공한 개발날과 시중에 판매되는 예취날을 사용하여 절단속도비와 볏짚의 함수율을 인자로 미예취시 예취날의 구동 마찰저항과 예취저항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취날 속도 0.37m/s에서 0.55m/s범위 내에서 단날 구동시의 예취날 구동 마찰저항은 홈 가공을 한 개발 날이 평균 $0.12kg{\cdot}m$로 홈 가공을 하지 않은 기존 날의 평균 $0.16kg{\cdot}m$에 비해 2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양날 구동방식에서도 홈 가공을 한 개발말이 기존날에 비해 평균 26%정도 구동 마찰저항이 낮게 나타났다. 2. 절단속도비 10.에서 1.5범위 내에서 홈을 가공한 개발날의 볏짚 예취 저항은 기존 날에 비해 볏짚의 함수율 14.2%, 55.3%, 84.2%에 대해 각각 평균 12%, 15%, 20% 낮게 나타났다. 3. 예취날 구동 방식에 따른 볏짚 예취 저항은 양날구동방식이 $0.20kg{\cdot}m$로 단날 구동방식의 $0.24kg{\cdot}m$에 비해 평균 17%정도 낮게 나타났다. 4. 예취날의 최적 속도비는 볏짚의 함수율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함수율 14.2%, 84.2%에 대해 각각 1.2, 1.4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