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io of employment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4초

장애 중증도 수준에 따른 장애 유형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중심으로 (Effect of Disability Types by Disability Severity Levels on Employment: Based on the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 최준혁;이지수;정선우;오성수;조훈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63-76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중증도 수준뿐만 아니라 장애 유형 또한 함께 고려하여 장애인의 고용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장애 중증도 수준에 기반한 의학적 손상을 기준으로 하여 직업적 능력을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 장애인고용공단(2019)에서 조사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장애인의 장애 중증도와 장애 유형, 종속변수는 고용여부로 하여 장애 중증도에 따른 장애 유형의 고용가능성 오즈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산출하였다. 결과 : 장애정도가 심한 군은 고용가능성은 관련 변수들을 보정했을 때, 신체외부장애 유형에 비해 신체내부장애의 고용가능성이 0.413(95% CI: 0.271-0.629)배로 유의하게 낮았고(p<.001),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군에서는 신체외부장애에 비해 신체내부장애가 0.475(95% CI: 0.327-0.690)배로 고용가능성이 낮았다(p<.001). 결론 : 장애 중증도 수준이 같다 하더라도 장애 유형에 따라 고용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애 유형과 중증도를 모두 고려하여 고용가능성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판정 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geing and the Employment of Aged Workers of Seoul)

  • 박삼옥;진종헌;구양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7-357
    • /
    • 2008
  • 본 논문은 서울의 인구고령화 현상을 살펴보고 이들 고령자 취업의 지역적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서울시 구별 자료를 토대로 노령화지수와 장수도를 산출하여 시 공간적 변화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의 자료를 통해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서울의 인구고령화는 다른 지역에 비해 최근 들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서울 내에서 각 구별로 지역적 차별화를 보였다. 고령자의 취업현황을 살펴보면 단순노무직 비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고용의 지역적 차별화로 인해,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기회가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간에는 지리적 부조응(geographical mismatch)이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구직자가 자신의 주거지 주위에서 적절한 일자리를 얻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령자의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정규근로와 비정규근로의 임금격차 (Wage Differentials by Types of Employment Arrangements)

  • 안주엽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67-96
    • /
    • 2001
  • 최근 3년에 걸친 경제위기 과정에서 노동시장에 나타난 가장 뚜렷한 현상은 노동시장의 비정규화이다. 저임금, 저조한 부가급부 혜택, 미비한 고용안정성 등 부정적인 특성을 갖는 비정규근로의 확산에 따라 이에 대한 보호논의가 전개되고 있으나 정의와 실태자료가 미비한 상태에서 엄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고는 "한국노동패널" 자료에 포함된 임금근로자를 표본으로 전환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고용형태의 선택식과 시간당 임금 결정식을 추정하고, 임금격차를 생산성 특성의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와 임금차별의 두 요인으로 분해한다. 여성, 청년층, 고연령층, 저학력, 건강상 문제의 근로취약요인과 최근 경채위기 중 입직한 경우가 비정규근로률 선택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비정규근로와 정규근로의 시간당 임금의 격차는 35%에 이르며 다른 임금절정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는 19%에 이른다. Oaxaca에 따라 임금격차를 분해한 결과는 임금격차의 4분의 1 내지 3분의 1이 동일한 생산성 특성에 대하여 고용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상이한 가격을 지불하는 가격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using panel tobit model)

  •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4호
    • /
    • pp.853-86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고용현황 조사, 국회의 공공기관 고용현황 조사, 알리오 (www.alio.go.kr) 및 클린아이 (www.cleaneye.go.kr) 등 4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기관별 청년채용 비율은 청년채용 여부와 청년채용비율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종속변수 가 일정한 영역에서만 관찰되는 중도자료를 갖는 형태로서 통상적 최소제곱추정은 편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합동 토빗모형과 패널 토빗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동 토빗모형에 비해서 패널 토빗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고, 2011년에 비해서 2014년과 2015년의 청년채용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공공기관에 비해서 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 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입직원의 평균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정원대비 정규직비율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가상추출법을 이용한 조선업의 지역·산업간 고용연관효과 (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s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 변장섭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3-137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고용구조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선업이 집중된 전남과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조선업의 지역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에서 조선업을 추출하였고,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제외 전 후의 고용연관효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조선업의 산업간 고용연관효과는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기타 제조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금속제품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들은 취업계수가 높거나, 생산활동 측면에서 조선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산업들이다. 둘째, 지역의 조선업에 의한 전국에 파급되는 산출액 당 고용연관효과는 전남이 가장 높지만, 부산과 울산, 경남에서 전남으로 파급되는 고용연관효과는 매우 낮게 추정되었다. 즉 이 지역들과 전남과는 고용연관관계가 매우 낮고, 이에 따라 조선업의 고용구조에서 전남이 고립되어 있는 상황이 나타났다. 따라서, 조선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지역의 고용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반영한 지역산업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창업비용이 창업 후 재취업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학적 접근 (Entrepreneurial Costs as Determinants of the Decision on Getting Back From Self-Employment to Salary-Employment: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 이주일;김상준
    • 중소기업연구
    • /
    • 제40권4호
    • /
    • pp.75-94
    • /
    • 2018
  • 본 연구는 개인이 창업 후에 다시 취업하는 상황을 제시하고, 이러한 상황이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한다. 창업 후 재취업은 자영업자에서 임금 근로자로의 경력이동을 의미하는데, 이런 경력이동을 경험한 창업자는 '실패자' 혹은 '무능력자'라는 사회적 낙인을 받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창업자에게 경력이동은 쉽지 않은 결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창업자가 재취업을 고려하는 경우, 창업비용을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심리학적 관점에서 인식할 개연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비용이 창업자의 재취업(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베이스에서 창업자의 재취업 사건사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재구성하고, 창업비용이 창업 후 재취업을 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을 콕스의 비례위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업비용이 창업자들의 재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남성 창업자들에 비해 여성 창업자들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비용에 따른 창업 후 재취업 의사결정이 경제적 관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낙인과 같은 사회심리적인 요소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수도권의 직주균형과 통근통행의 변화: 2005-2010년 (The Changes of Job-Housing Balance and Commuting Trip in Seoul Metropolitan Area: 2005-2010)

  • 손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90-404
    • /
    • 2014
  •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종사자수와 취업자수를 지표로 직장과 주거지의 일치현상을 고찰하고 직주비와 통근통행간의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2005~2010년 사이에 도시의 중심지기능을 수행해 온 도심지역에서 종사자수가 감소하고 인구증가 현상이 둔화되었고,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고용과 인구의 교외화현상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서는 종사자수에 비해 취업자수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취업자수 초과현상이 심화되었고, 이는 직주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경기도에서의 직주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사무직, 판매직, 전문직 등에서는 직주불균형이 개선된 지역이 많았지만,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에서는 직주불균형이 심화된 지역이 많았다. 직종별로는 업무중심지일수록 더 많은 수의 직종에서 직주불균형이 개선되었다. 직주비가 높은 지역일수록 통근통행의 자족도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는 역외유입통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종사자수가 취업자수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던 주요 고용중심지에서는 직주비와 역외유입통행률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Win-Win Growth in Wholesale Market

  • WON, Jong-Moon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4호
    • /
    • pp.31-38
    • /
    • 2020
  • Purpose: At a time when the distribution industry is dominated by capital and technology, win-win growth among businesses groups (BGs) in wholesale market is becoming a social issue. Therefore, through analysis of market growth, market concentration (MC) and market power (MP), we want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wholesale market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BGs in terms of market share (MS), sales-profit ratio (SPR), and labor productivity (LP)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in-win growth. Market situation: Wholesale and Retail sales ratio (W/S) continues to increase, which also means inefficiency in distribution channels or opportunities in wholesale markets. Wholesale sales have grown 8.3 percent annually over the past 15 years, while the number of companies and workers has declined since 2017, which is why some restructuring is believed to begin in the wholesale industry. In terms of MC and MP, the growth potential of SBG can be found in FCB, ARM, FBT and CME BTs. Methodology and data: Through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2015 Economic Census Data of KOSTAT was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ANOVA show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SBG has a larger MS than LBG. The SPR was not different among BGs. LP is higher for LBG than for other BGs.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employment weight (EW) and the company size (SC)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S, but the company weight (CW) and employment size (SE) have negative effects. In the case of SPR, the CW is positive and the EW is negative. In addition, LP appears to be more positive as SC in the BGs is larger. Conclusions: Although there is sufficient potential for SBG in the wholesale market,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increase LP. Therefore, the SBG needs to restructure in terms of number of companies and SC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mployment. In terms of MC and MP, the SBG looks for possibilities in FCB, ARM, FBT and CME BTs. In addition, SBG that seeks higher returns with human services rather than simple sales is found to be competitive in the HHG, MES and CME BTs.

ECONOMICS OF MINI DAIRY FARMS IN SELECTED AREAS OF BANGLADESH

  • Alam, J.;Yasmin, F.;Sayeed, M.A.;Rahman, S.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17-22
    • /
    • 1995
  •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the economics of dairy farming in selected areas of Bangladesh. Data from 20 randomly selected farms were collected by survey method. Results show that cross-bred cows were more in number (2.55) in those farms than that of local cows (0.65). The number of cross-bred cows increased as the farm sizes increased. The production of milk per cross-bred cow was higher (5.66 litres) than the local ones (2.23 litres). Highest (5.74 litres) milk yield per cross-bred cow was recorded in large farms. The average lactation period for crossbred cows was higher (304 days) than the local cows (210 days). In production cost of farms, concentrates took the highest share (35.19%) followed by labour charges (23.64%). The production cost and gross returns for mini dairy farms were higher in large farms (TK. 183,005 and TK. 187,544, respectively), compared to medium and small farms. The benefit-cost ratio of all farms was 1 : 1.03, indicating that mini dairy farming is economically profitable. In addition, each farm created an annual employment opportunity of 649.70 man-days which was met by both male and female labourers. The small farms employed more female family labourers while the large farms depended more on hired labourers. The expansion of dairy farming with cross-bred cows is suggested for accelerating income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n rural Bangladesh.

건설업 보건관리자 선임 관련 비용편익분석 (Analysis of Cost Benefit Related to Appointing a Health Care Manag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정혜선;이지선;신인재;최은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0-140
    • /
    • 2016
  • Purpose: The construction worker has diverse harmful factors such as noise, dust, and dealing with chemical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necessity of appointing a health manag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examining the cost-benefit analysis when the construction industry appoints a health manager. Methods: In order to calculate the healthcare staff employment cost and the benefits from their activities in 1,425 construction companies with the staff of 300 or more people during 2011,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data and existing research data, as well as national data. Results: Total annual costs were 99,920,070,900 won and total annual benefits were 324,807,182,625 won. Benefits were found to be 224,887,111,725 won exceeding costs. Benefit/cost ratio resulting from appointing a health manag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rkplaces was 3.25 tim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the base data to make rational decision to positively encourage the employment of healthcare staff in construction companies pursuant to relevant l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