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tio of employment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내 외국인투자기업 투자지분율형태와 CEO국적에 따른 고용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mployment Effect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in Korea by Investor Ratio Type and CEO Nationality)

  • 김경애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7-16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인투자기업의 투자지분율차이와 CEO국적별차이가 고용에 어떠한 차이를 미치는지 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을 하기위해, 투자비중, CEO국적, 설립시기, 기업규모등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고용증가율(EMPG)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회귀분석하였다. INVRATIO는 투자비중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1-0%<투자비중<50%, 2-투자비중=50%, 3-50%<투자비중${\leq}100%$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CEO국적은 1-한국, 2-공동, 3-외국인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실증분석 결과 투자비중=50%, 50%<투자비중${\leq}100%$에서 0%<투자비중<50%보다 고용을 더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EO국적에 따른 고용행태를 실증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투자지분율형태와 CEO국적별에 따른 고용분석을 이론적 검토와 통계적 분석을 함으로써 대한(對韓) 외국인직접투자에서 고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고용에 있어서 향후 투자지분율을 현재보다 더욱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이라는 점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 PDF

기업특성이 여성고용비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rm Characteristics on the Female Employment Ratio)

  • 권희경;안미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77-186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 고용이 양성평등을 측정하고 실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제조업의 기업특성이 여성고용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용 형태별로 살펴보았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된 제조업 중 재무 자료 이용이 가능한 5,729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규모, 상장 기간, 외국인 지분율과 정규직, 무기 계약직, 기간제, 전체 직원 수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전체 여성고용비율 중 기간제 여성비율의 관계에 대해 세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고용 형태에서 가설이 채택되었다. 기업규모와 외국인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정규직과 무기계약직, 기간제, 전체 직원 수에서의 여성고용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무기계약직, 기간제, 전체 직원 수에서 여성고용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객관적 재무자료를 토대로 여성고용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 양성 평등한 고용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해운계 고교 승선과 졸업생의 해상직취업 진로분석 (An Analysis on Employment to On-board Departments Graduates of Maritime and Fisheries High Schools)

  • 김두탁;박병수;강일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393-404
    • /
    • 2013
  •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in maritime and fisheries high schools, we investigated the employment situations of the those graduates for the last 8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atio of graduates in maritime and fisheries high schools to total graduates of on-board departments are 69.1% and 30.9% respectively. The on-board employment rate of maritime high schools and fisheries high schools graduates are 63.2% and 26.7% respectively. Nearly all of the maritime high schools students were employed to merchant ship and fisheries high schools students were employed to merchant ship 77.2% and only 22.8% of them got a job on fisheries ship. The ratio of getting a job in maritime high schools to ocean-going ship was 76.7%, that was the highest ratio and the ratio of fisheries high schools got a job to ocean-going ship was 55.1%. The on-board career of maritime high schools graduates was 1~5 years, which took 86.4% of all careers and that of fisheries high schools was less than 1 year, which took 60.0% of all careers. We should make the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getting job to fisheries ship in the fisheries high school graduates.

수·해운계 대학 승선학과 졸업생의 해상직 취업 진로분석 (An Analysis on Employment to On-board Departments Graduates of Maritime and Fisheries Universities)

  • 박병수;강일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779-785
    • /
    • 2011
  •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in maritime and fisheries universities, we investigated the employment situations of the those graduates for the last 7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atio of graduates in maritime and fisheries universities to total graduates of on-board departments are 69.1% and 30.9% respectively. The on-board employment rate of maritime universities and fisheries universities graduates are 63.2% and 26.7% respectively. Nearly all of the maritime universities students were employed to merchant ship and fisheries universities students were employed to merchant ship 77.2% and only 22.8% of them got a job on fisheries ship. The ratio of getting a job in maritime universities to ocean-going ship was 76.7%, that was the highest ratio and the ratio of fisheries universities got a job to ocean-going ship was 55.1%. The on-board career of maritime universities graduates was 1~5 years, which took 86.4% of all careers and that of fisheries universities was less than 1 year, which took 60.0% of all careers. We should make the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getting job to fisheries ship in the fisheries university gradustes.

서비스산업에서의 지역별 고용률의 변화에 대한 분석 연구 (A Analytical Study on the Change of Regional Employment Rate in the Service Industry)

  • 박종태;김동철
    • 서비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23-33
    • /
    • 2012
  • 서비스업에서의 고용률 및 전체 고용률에 대한 상대비율이 최근 수년 동안 매우 많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적으로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 지역과 수도권 이외 지역과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서 서비스업에서의 평균 고용률은 수도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의 시기별 변화는, 수도권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인 반면에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의 상대비율은 수도권과 강원권이 다른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기별 변화도 이 두 권역이 다른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업에서의 평균 고용률이나 상대비율을 시도별로 비교해 보면 광역시가 도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시기별 변화를 비교해 보면 각 권역마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조업종의 지역별 산업성장 및 고용효과 분석 (Analysis of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Effec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by Regions)

  • 구훈영;민대기
    • 경영과학
    • /
    • 제34권1호
    • /
    • pp.15-25
    • /
    • 2017
  • We evaluated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effects of every possible pairs of 22 manufacturing sectors and 16 regions (i.e, 352 region-sectors). We used annual data of manufacturing sectors from 2008 to 2014 for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comprises of two steps; We first find several region-sectors that outperform other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which are measured by location quotient analysis, shift share method, employment to GDP ratio and employment elasticity. In addition, cross-efficiency analysis follows to classify region-sector pairs into two sub-categories : efficient region-sectors that deserve to hold the current level of investments and inefficient region-sectors where we should consider efficiency improvements. To examine the efficiency, R&D investment, employment size, and capital investment were used as input factors and production volume, added value, changes in employment size, changes in annual salary per capita were used as output factors. For region-sector pairs that have outstanding growth and employment effects but are inefficient, we employed a CCR DEA model and analyzed how much to adjust the values of input and output factors to improve the efficiency scor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efficiency is mainly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R&D investment, changes in employment size and changes in annual salary per capita.

무역자유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 - 산업수준에서의 고용조정 속도와 고용의 임금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Labor Market)

  • 배진한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4호
    • /
    • pp.25-57
    • /
    • 2014
  • 산업별 자료에 기초하여 무역거래 자유화 확대가 고용조정의 속도와 고용의 임금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용조정 속도는 취업자 기준보다 피고용자 기준의 경우가 좀 더 빠르게 나타나며, 수입 비율이 높은 산업들에서 수출 비율이 높은 산업들에 비해서 좀 더 빠르게 나타난다. 또한 경제개방의 확대는 피고용자 기준으로 볼 때 고용조정 속도를 조금씩 느리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주로 수출 비율 상승에 의해 주도된다. 고용의 임금탄력성은 경제개방률이나 수출 비율이 높을수록 상승하여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의 환경이 강화되고 있다.

  • PDF

Employment Status Change and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in Permanent Waged Workers

  • Kim, Hyung Doo;Park, Shin-G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1호
    • /
    • pp.108-113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and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through a one-year follow-up of permanent waged workers. Methods: We analyzed the open-sourc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Using the 2017 data, we selected 2,314 permanent waged workers aged 19 to 59 years without depressive symptoms as a base group. The final analysis targeted 2,073 workers who were followed up in 2018. In 2018, there were five categories of employment status for workers who were followed up: permanent, precarious, unemployed, self-employed, and economically inactiv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change and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Results: Adjus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male workers, workers who went from permanent status to being unemployed (odds ratio: 4.50, 95% confidence interval: 1.19 to 17.06) and from permanent status to being precarious workers (odds ratio: 3.15, 95% confidence interval: 1.30 to 7.65) ha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with those who retained their permanent employment statu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s in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of male workers who went from permanent status to being self-employed or economically inactive.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female worker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the change of employment status to precarious workers or unemployment can cause new-onset depressive symptoms in male permanent waged workers.

Different Types of Liberalization and Jobs in South Korean Firms

  • Kim, Hyuk-Hwang;Lee, Hongshik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9권1호
    • /
    • pp.71-97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indicating economic openness-imported intermediate goods, total imports, IFDI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foreign ownership-on regular, irregular jobs and the ratio of irregular employment to regular employment. Findings revealed that imported intermediate inputs and IFDI affected neither regular nor irregular job figures. However, an increase in total imports l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irregular jobs without affecting regular full time jobs,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ratio of irregular jobs to regular jobs. On the other hand, changes in foreign ownership structure had a contrary effect, that i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egular jobs and an increase in irregular ones, and, thus, an increase in the ratio of irregular jobs to regular job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a rise in imports results in depressed overall employment, irregular employment in particular, while more IFDI results in more irregular jobs replacing regular ones, effectively exacerbating job insecurity. The implication of this analysis is that greater economic opennes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overall.

국내 청년층의 지역별 고용률에 대한 통계정보 서비스 분석 (The Analysis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or Regional Employment-Population Rate of Young Man in Korea)

  • 박종태
    • 서비스연구
    • /
    • 제3권1호
    • /
    • pp.75-8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청년층의 고용통계 내용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은 각 지역별 비교분석을 위주로 실시한 결과는 중앙정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 조직에서 차별화된 정책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서 매우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큰 틀에서의 정책은 물론 각 단위 조직의 세부적인 정책에서의 적용 효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16개 시 도 지역을 기준으로 수도권을 비롯하여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5개 지역을 분류하고, 이들 지역에 대한 전체 연령층 및 청년층의 고용률을 도출한 다음, 전체 연령층에 대한 청년층 고용률의 상대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세부적으로 각 지역별로 비교분석한 것이다. 비교분석한 결과, 전체 연령층의 고용률은 모든 지역이 시간적인 추이에 변화가 없는 반면에, 청년층 고용률은 모든 지역에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과 충청권은 최근에 다소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층 고용률의 상대비율에 대해서도 청년 고용률 통계와 마찬가지로 거의 유사한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