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k-1/2추정량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위치모수 변화 모형에서 순위함수와 평균함수를 이용한 비모수적 변화점 추정 (Nonparametric Change-point Estimation with Rank and Mean Functions in a Location Parameter Change Model)

  • 김재희;이경원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1권2호
    • /
    • pp.279-293
    • /
    • 2000
  • 위치 모수에 대해 1개의 변화점이 있는 경우 Carlstein(1988)의 변화점 추정량을 순위함수와 평균함수를 이용하여 변형시킨 변화점 추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해 Carlstein(1988) 변화점 추정량과 제안하는 변화점 추정량의 평균, 평균제곱오차와 변화점 추정비율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 PDF

다중경로 환경에서 DOA를 추정하기 위한 Forward/Backward First Order Statistics Algorithm (Forward/Backward First Order Statistics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DOA in a Multipath environment)

  • 김한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221-224
    • /
    • 1998
  • 간섭신호가 원하는 신호에 coherent한 경우에는 원하는 신호와 간섭신호간의 cross correlation에 의해 공분산 행렬의 rank가 줄어들게 되어 coherent한 간섭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표된 기존의 방법중 대칭 어레이(Symmetric array)방법은 계산량이 많아지고 공간 스무딩(Spatial Smoothing)방법은 array aperture size에서 손해를 보게 되어 분해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1,2,3].

  • PDF

중부지방(中部地方) 주요활엽수(主要闊葉樹)의 직경성장(直徑成長)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the Diameter Increment of Major Hardwood in Middle Area of Korea)

  • 정성호;최문길;이근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4-29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에셔 자생(自生)하고 있는 활엽수(濶葉樹)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對象)으로 몇 개의 주요(主要)한 수종(樹種)을 선택(選澤)하여 그들에 대(對)한 직경(直徑) 성장량(成長量)을 추정(推定) 비교(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에 따른 연년직경(連年直徑) 생장량(生長量)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자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사시나무, 느릅나무 순(順)으로 나타났다. 2) 수령급(樹令級)에 따른 흉고직경(胸高直徑) 총성장량(總成長量)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자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사시나무, 느릅나무 순(順)으로 나타났다. 3) 타(他) 수종(樹種)에 비(比)하여 가래나무는 성장(成長)이 월등(越等)히 우수(優秀)하였으며, 특(特)히 느릅나무와 사시나무는 성장(成長)의 둔화현상(鈍化現象)이 빨리 나타났다.

  • PDF

융합기술환경에서 멱법칙과 과학기술정책체계분석 (A Study on the Theory of Power-law and Science Technology Policy System under Convergence Technology Environment)

  • 조상섭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8-46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기술변화환경에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대변되는 융합기술환경에서 바람직한 과학기술정책체계수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동태적 기술역량분포에 대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모수적 Hill추정치와 모수적 Rank-1/2추정치가 유사하게 멱법칙의 존재를 나타냈다. 둘째, 기술역량분포를 결정하는 멱법칙의 추정계수가 1990년부터 2008년 분석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파레토분포에 접근하고 있다. 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과학기술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최근 멱법칙 결정계수의 증가추이로 볼 때, 그 작동원리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으며, 연구대상 국가간에 기술역량이 수렴화 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역량의 국제적 수렴화경향은 국가간 기술격차역량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만일 기술역량분포의 구조결정에 지속적으로 멱법칙이 존재한다면, 국제적으로는 과학기술역량의 규모가 큰 국가의 기술개발변동이 전 세계의 과학기술변동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국내적으로는 과학기술역량이 몇 기업에 국한된 경우에 그 기업의 성과가 우리나라 과학기술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멱법칙의 존재는 융합기술환경에서 한 국가의 기술역량이 소수의 기술잠재역량있는 기술개발기업에 너무 의존적이 될 수 있다는 기술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중부지방(中部地方) 주요침엽수(主要針葉樹)의 직경성장(直徑成長)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Diameter Increment of Major Conifers in Middle Area of Korea)

  • 정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52-59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인 금강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에 대(對)하여 직경성장량(直經成長量)을 추정비교(推定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에 따른 연년직경성장량(連年直徑成長量)은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금강소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2) 직경성장(直徑成長)은 흉고직경(胸高直徑)이 금강소나무 95cm, 잣나무 80cm, 일본잎갈나무 80cm, 젓나무 140cm, 구상나무 85cm에 도달(到達)하면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3) 수령급(樹齡級)에 따른 흉고직경(胸高直徑) 총성장량(總成長量)은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금강소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4) 직경성장(直徑成長)은 수령(樹齡)이 금강소나무 200년(年), 잣나무 120년(年), 일본잎갈나무 120년(年), 젓나무 260년(年), 구상나무 300년(年)에 도달(到達)하면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구상나무는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하여 직경성장(直徑成長)이 현저(顯著)히 저조(低調)하였으며 특(特)히 젓나무와 구상나무는 성장(成長)의 둔화현상(鈍化現象)이 늦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종 및 석탄공급방식 변화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IGCC Plants with Variation in Coal Rank and Coal Feeding System)

  • 이승종;이진욱;윤용승
    • 에너지공학
    • /
    • 제6권2호
    • /
    • pp.176-187
    • /
    • 1997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석탄시료의 탄종과 공급방식을 변경하면서 정적 시스템모사방법을 사용하여 생성 석탄가스의 발열량과 발전효율을 비교하였다. 석탄의 탄종은 유연탄 3종과 아역청탄 3종을 비교하였고 공급방식은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사용되는 건식과 습식 두 가지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시스템 모사방법의 검증을 위해서는 모사결과를 Shell사와 Texaco사에서 발표된 같은 석탄시료에 대한 실증자료와 비교하여 사용된 모사방법이 적절함을 입증한 후 다른 시료에 대하여 모사방법을 적용하였다. 탄종에 따른 결과를 보면, 석탄내 탄소분이 많을수록 가스화에 의한 생성가스의 발열량과 발전효율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습식공급방식이 건식방식에 비해 탄종변화에 민감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습식공급 방식으로 아역청탄을 사용하는 경우는 생성가스의 발열량과 발전효율의 측면에서 유연탄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어 이용에 제한적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발전효율 측면에서는 건식 석탄주입방식이 아역청탄의 경우 최대 3%, 유연탄의 경우 1% 정도의 효율이 습식방식에 비해 높게 모사 되었다.

  • PDF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NRCS-CN 모형의 초기손실량 산정방법 개선 (Improving Initial Abstraction Method of NRCS-CN for Estimating Effective Rainfall)

  • 박동혁;무하마드 아즈말;안재현;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6호
    • /
    • pp.491-500
    • /
    • 2015
  • 본 연구는 NRCS-CN 방법이 산정하는 유출량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우량과 최대잠재보유수량을 초기손실량 계산과정의 주요 기여인자로 고려하였으며, 우리나라 15개 유역에서 관측된 658개의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초기손실량의 수정모형을 제안하였다.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NRCS-CN 방법(M1), NRCS-CN 방법에서 초기손실량계수를 감소시킨 방법(M2), 관측 강우-유출 관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M3)을 적용하였다. 또한 USDA에서 제시하는 CN값($CN_T$), 관측자료로 부터 계산된 CN값($CN_C$) 그리고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한 CN값($CN_{LSF}$)을 각각의 방법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는 RRMSE, NSE 그리고 PBIAS 등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그 결과 $CN_T$를 M1, M2, M3에 적용한 경우 각 유역에서 평균적으로 [RMSE (23.60, 18.12, 16.04), NSE (0.54, 0.73, 0.79), PBIAS (36.54, 20.25, 12.00)]로 나타났다. 이와 비슷하게 $CN_C$를 M1과 M2에 적용하고, $CN_{LSF}$를 M3에 적용하였을 경우 각 유역에서 평균적으로 [RMSE (17.17, 15.88, 13.82), NSE (0.76, 0.80, 0.85), PBIAS (3.06, 4.47, 0.1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M3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한 유효우량이 관측된 직접유출량과 통계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값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홀스타인 젖소의 비유지속성 평가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Lactation Persistency Evaluation in Korean Holstein Dairy Cattle)

  • 조광현;윤호백;조충일;민홍립;이준호;공홍식;이학교;박경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173-178
    • /
    • 2013
  • 본 연구는 홀스타인 젖소, 436,690두의 검정일 유량기록 총 4,366,900개를 이용하여 비유지속성에 대한 특성과 새로운 평가형질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1산차, 2산차와 3산차 이상의 평균 비유지속성은 각각 97.5%, 95.1%와 94.6%였으며, 최고 유량 도달 이후 비유지속성이 일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분만 후 최고유량에 도달하는 평균 비유일수는 약 50일로 조사 되었으나 실제로 2차 검정(36~66일)시에 최고 유량에 도달하는 개체의 기록은 전체 자료의 33.2%에 불과하였다. 또한 1차 검정시에 최고 유량에 도달한 개체들의 비유일수에 따른 유생산량 변화는 2~4차 검정에서 최고유량을 나타내는 개체들의 변화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평균 비유지속성에 대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각각 0.16과 0.35로 추정되었으며, 10차 검정시 평균 비유지속성에 대한 검정차별 유전상관을 보면 7차 검정시 이상일 때 0.91이상이었으며, 검정차수가 줄어들수록 유전상관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Data I에 대한 Data II와 III의 육종가 상관은 각각 0.80과 0.72, 순위 상관은 각각 0.78과 0.71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료가 추가될수록 육종가 및 순위 상관은 낮게 나타났다.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자의 대중교통 통행종점 추정 (Inferring the Transit Trip Destination Zone of Smart Card User Using Trip Chain Structure)

  • 신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7-448
    • /
    • 2016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행기점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불완전한 대중교통카드 자료로부터 대중교통 통행의 종점을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의 국내 자료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모형 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에서 2014년 10월 주중에 수집된 선불 교통카드 승 하차 태그 원시자료 1,846,252건을 대상으로 하루 동안 한 대중교통 이용자가 발생시킨 일련의 통행들을 시 공간적으로 연계시켜 통행사슬을 형성하고, 대중교통 이용자의 결측 종점을 연속된 다음 통행의 승차지점 또는 최초 승차지점이 속한 교통존으로 추정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대중교통 통행종점이 관측된 자료에 모형을 적용한 결과 실제 통행종점과 추정 통행종점의 일치도는 82.4%로 나타났으며 이 때 통행종점으로 추정된 정류장과 실제 하차 정류장간 거리의 오차는 최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 제안모형의 유용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통행종점 추정 모형을 종점결측 통행에 적용했을 때 종점결측 통행의 비율은 적용 전 71.40%(718,915통행)에서 21.74%(218,907통행)로 감소하였으며 종점추정이 불가한 218,907통행의 대부분은 모형 적용이 불가한 일일 통행횟수 '1회'인 통행(169,359통행, 77.37%)인 것으로 나타났고, 일일 통행횟수가 '2회 이상'인 통행의 종점결측 비율은 69.56%에서 모형 적용 후 6.27%로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통행종점 추정 모형 적용에 따른 존간 통행 및 존내 통행분포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순위상관계수 및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통행종점 추정 모형 적용에 따라 각 중존별 통행량의 순위는 변화하지 않으나 통행량 분포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자의 통행종점 추정 모형 적용은 통행종점이 결측된 불완전 대중교통카드 자료가 수집되고 있는 도시의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게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사과원 생태계에서 CO2의 연간 순생태 교환량 추정 (The Estimation of Annual Net Ecosystem Exchange of CO2 in an Apple Orchard Ecosystem of South Korea)

  • 심교문;민성현;김용석;정명표;최인태;강기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8-35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사과원 생태계에 대한 $CO_2$ 및 에너지(현열, 잠열) 플럭스를 에디공분산 기법으로 정량화하고 이들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6년 국내 사과원 생태계의 누적 NEE는 $-396.9g\;C\;m^{-2}$으로, 유사한 환경 조건에서 수행된 이탈리아의 사과원 생태계의 NEE ($-380.0g\;C\;m^{-2}$)와 아주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양국의 사과원 생태계에서 일 최대 NEE는 6월 하순에 관측되었다. 다만, 국내 장마기간에 해당되는 7월의 NEE는 양국의 과수원 생태계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과수원 생태계와 같은 집약적으로 관리되는 생태시스템에서도 NEE의 변화가 관개 등 영농활동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지만, 기온, 강수량 등 환경조건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사과원 생태계의 탄소 흡수능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3년 이상의 장기적인 플럭스 자료를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상호 검증과 탄소수지 평가를 위해서는 챔버방식의 생태학적 접근도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