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k Metric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7초

Fuzzy Clustering with Genre Preference for Collaborative Filtering

  • Lee, Soo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99-106
    • /
    • 2020
  • 협력 필터링 기반의 추천 시스템에 내재된 확장성 문제는 지난 수십년간 관련 연구의 이슈가 되어 왔다. 클러스터링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명한 기술인데 낮은 성능으로 인하여 활발히 연구되어 오진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 필터링 시스템의 고질적인 단점인 확장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링 기법을 채택하였다. 또한 클러스터링을 적용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성능저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였는데, 첫째는 퍼지 클러스터링이며, 둘째는 영화 장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한 유사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제안 방법을 기존의 여러 관련 방법들과 비교 실험을 통해 다양한 주요 성능 척도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는데,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예측과 순위 정확도 측면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추천 정확도 측면에서는 실험 대상 중 최상의 방법과 대등한 성능을 나타냈다.

Analysis of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Natural Regeneration of Woody Species in Jebel El Gerrie Dry Land Forest East of Blue Nile State, Sudan

  • Abuelbashar, Ahmed Ibrahim;Ahmed, Dafa-Alla Mohamed Dafa-Alla;Siddig, Ahmed Ali Hassabelkreem;Yagoub, Yousif Elnour;Gibreel, Haithum Hashi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90-101
    • /
    • 2022
  • The study aims to assess composition, diversity and population indices of natural regeneration of woody species in Jebel El Gerrie forest reserve, Blue Nile State, Sudan. We conducted field work between December 2018 and January 2019. We used random sampling to collect vegetation data in the forest where we made a total of 90 circular sample plots (radius 17.84 m) and distributed them proportionally to the area of each of the four density-based vegetation classes of the forest i.e. high density (C1), medium density (C2), low density (C3) and crop land (C4). In each sample plot we identified all regenerating tree species and counted their regeneration frequencies. We calculated ecological metrics of regeneration frequency, density, abundance, richness, evenness, diversity and importance value index (IVI) and drew abundance rank curve. Results revealed that out of fifteen mature tree species present, natural regeneration of 8 species, which belong to 6 families, was observed. The relatively most frequently naturally regenerating and abundant species were Anogeissus leiocarpa and Combretum hartmannianum. Richness, evenness and diversity of regenerating species were 1.33, 0.82 and 1.7, respectively. One-way ANOVA (α=0.05) of mean regeneration densities disclos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3,86=16.77, p=0.000) between C2 & C3 (p=0.000) and C2 & C4 (p=0.000). While regeneration of seven tree species were absent, two, two and four species were of good, poor and fair regeneration status,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mean density of natural regeneration with that of parent trees reflects a poor regeneration status of the forest.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results on the regeneration status of species and signifies the need for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specie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aintenance of biodiversity and sustainable production.

농촌 여성의 근골격계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Living-Lab Program on the Musculoskeletal Health Problems of Rural Women)

  • 김미은;허명륜;이광민;김민정;정수연;권지은;유영재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3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ving lab program to solve the musculoskeletal health problems of rural women and analyze its effect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eight rural women and this study involved pretest and posttest designs for a single group. The program ran from July to August 2020 and consisted of one in-person training session and three weeks of manage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the change in the degree of pain experienced in the wrists, shoulders, and back, along with the general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The Wilcoxon Sign-Rank test was used in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program satisfaction was analyzed with five items based on the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Results: While the program seeme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all the participants did report reduced pain in their wrists, shoulders, and lower back. The 'sensitivity' and 'cue to action' metrics also increased wit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onclusion: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relieving some pain associated with the musculoskeletal problems in rural women. Therefore, such programs should be sustained and spread around community organizations

호수생태계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LEHA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생태건강성 평가 (The Applications of a Multi-metric LEHA Model for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f Lake Ecosystems and the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 한정호;안광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3호
    • /
    • pp.483-50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5 - 2006년 기간 동안 국내 인공호의 환경영향평가를 위해 LEHA 다변수 생태모형(Len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Model)을 청평호에 적용하였고, 생태 건강도 모델값을 산정하였다. LEHA 생태 평가모형은 생물학적 변수($B_p$), 물리적 변수($P_p$), 화학적 변수($C_p$)의 11개 주요 메트릭으로 구성되었고, 이를 통합하여 생태 건강도 등급을 평가하였다. 생물학적 변수($B_p$)는 수환경의 질적 저하에 따라서 감소하는 민감종 메트릭($M_2$, NSS) 및 충식종 메트릭($M_5$, % $I_n$)이 이용되었고, 두 메트릭 모델값은 각각 1.5%, 32.4%로서 낮게 나타났다. 반면, 내성종($M_3$, % $T_s$)과 잡식종 메트릭($M_4$, % $O_m$) 값은 43%, 62%로서 높게 나타나 호수생태계의 질적 저하가 확인되었다. 물리적 서식지 변수($P_p$)는 수변 식피율($M_9$, % $V_c$)로서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에 높게 나타났으며,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메트릭 모델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수역의 증가로 서식환경의 단순화와 인근 수체에서 실시되고 있는 잦은 골재 채취로 인한 서식지의 하상구조 변경이 악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편, 화학적 수질특성 변수($C_p$)는 수체의 이온(양이온/음이온) 특성을 나타내는 전기전도도($M_{10}$, $C_I$)와 부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Chl-a의 부영양화 지수($M_{11}$, $TSI_{CHL}$)로서 메트릭 모델값은 계절별 변이는 크게 나타났고, 지점 간의 공간변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양호상태"로 평가되었다. LEHA 다변수 모델에 의거한 청평호의 환경영향평가에 의하면, 생태 건강도 LEHA 모델값은 1차 조사에서 30.7로 "보통-악화상태", 2차 조사에서 28로 "악화상태"를 보여 계절 변이 특성을 보였다. 지점별 LEHA 모델값은 호수의 정수대(S5)에서 28로 최소치를 보였고, 그 외 지점들도 29 - 30으로 지점 간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청평호의 종합적인 환경영향평가에 의하면, 이 화학적인 수질기준 측면에서는 "양호상태"를 보인 반면, 생물학적 기준에서는 "악화상태"를 보였는데, 이는 빈번한 준설작업으로 인한 물리적 서식지 교란이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도권 지역 산림성 조류 서식지의 통로와 연결망 분석 (Corridor and Network Analyses of Forest Bird Habitats in a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 강완모;박찬열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1-201
    • /
    • 2015
  • 서식지 연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지도화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 계획과 설계 과정에 있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여 서울 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산림성 조류의 이동 통로들이 서식지들을 어떻게 연결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 피복율과 인간 간섭을 의미하는 거주지역, 도로 네트워크의 영향을 고려하여 양질의 산림 서식지를 추출하였다. ArcGIS 파이썬 패키지 FunConn을 활용하여 서식지 연결망을 구축하고, 서식지 간 최소비용거리($Q_1$)와 25번째 백분위수 비용거리($Q_{25}$)에서의 조각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10개 지역에서 조사된 산림성 조류 종의 풍부도와 $Q_1$$Q_{25}$ 비용거리에 따른 조각 중요도 값, 서식지 면적 간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하였다. 서식지 면적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 $Q_{25}$에서의 조각의 중요도 값이 종 풍부도와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1). 따라서 25번째 백분위수 비용거리를 통해 연결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각들과 통로의 위치, 연결망의 중추적 경로를 도출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연결망은 향후 도시 생물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위한 핵심 보전지역의 설정과 생태통로의 조성과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