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indice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Natural Regeneration of Woody Species in Jebel El Gerrie Dry Land Forest East of Blue Nile State, Sudan

  • Abuelbashar, Ahmed Ibrahim;Ahmed, Dafa-Alla Mohamed Dafa-Alla;Siddig, Ahmed Ali Hassabelkreem;Yagoub, Yousif Elnour;Gibreel, Haithum Hashi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90-101
    • /
    • 2022
  • The study aims to assess composition, diversity and population indices of natural regeneration of woody species in Jebel El Gerrie forest reserve, Blue Nile State, Sudan. We conducted field work between December 2018 and January 2019. We used random sampling to collect vegetation data in the forest where we made a total of 90 circular sample plots (radius 17.84 m) and distributed them proportionally to the area of each of the four density-based vegetation classes of the forest i.e. high density (C1), medium density (C2), low density (C3) and crop land (C4). In each sample plot we identified all regenerating tree species and counted their regeneration frequencies. We calculated ecological metrics of regeneration frequency, density, abundance, richness, evenness, diversity and importance value index (IVI) and drew abundance rank curve. Results revealed that out of fifteen mature tree species present, natural regeneration of 8 species, which belong to 6 families, was observed. The relatively most frequently naturally regenerating and abundant species were Anogeissus leiocarpa and Combretum hartmannianum. Richness, evenness and diversity of regenerating species were 1.33, 0.82 and 1.7, respectively. One-way ANOVA (α=0.05) of mean regeneration densities disclos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3,86=16.77, p=0.000) between C2 & C3 (p=0.000) and C2 & C4 (p=0.000). While regeneration of seven tree species were absent, two, two and four species were of good, poor and fair regeneration status,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mean density of natural regeneration with that of parent trees reflects a poor regeneration status of the forest.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results on the regeneration status of species and signifies the need for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specie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aintenance of biodiversity and sustainable production.

The Difference of Invariance, Reliability of The Student Engagement Scale (ESE) In Distance-Learning During Covid-19 Pandemic in Light of Some Students' Characteristics

  • Almaleki, Deyab A.;Alzahrani, Abdulrahman J.;Alkhairi, Mohammed A.;Albalawi, Farhan A.;Albogami, Hosin A.;Alhajory, Easa S.;Readi, Wadea A.;Idrees, Mohammed A.;Alshamrani, Saleh M.;Alwusaidi, Osama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7-14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measur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distance education.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all teachers in public education and faculty members in higher education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by applying it to a sample of bachelor's and 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t umm al-Qura University. The (ESE) was applied to a random sample representing the study population consisting of (216)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cale consists of three main factors, with showed a high degree of construct validity through fit indice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have shown a gradual consistency of the measure's invariance that reaches the high level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the gender and study groups variables.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Diagnosis of Cerebral Venous Thrombosis : A Meta-Analysis

  • Lv, Bin;Jing, Feng;Tian, Cheng-lin;Liu, Jian-chao;Wang, Jun;Cao, Xiang-yu;Liu, Xin-feng;Yu, Sheng-yu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3호
    • /
    • pp.418-426
    • /
    • 2021
  • Objective : A role of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in the diagnosis of cerebral venous thrombosis (CVT) is not well-understood.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DWI in the diagnosis of CVT. Methods :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electronic database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udies which reported the outcomes of patients subjected to DWI for CVT diagnosis. Random-effects meta-analyses were performed to achieve overall estimates of important diagnostic efficiency indices including hyperintense signal r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WI in diagnosing CVT, and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of DWI signal areas and surrounding tissue. Results : Nineteen studies (443 patients with 856 CVTs; age 40 years [95% confidence interval (CI), 33 to 43]; 28% males [95% CI, 18 to 38]; symptom onset to DWI time 4.6 days [95% CI, 2.3 to 6.9]) were included. Hyperintense signals on DWI were detected in 40% (95% CI, 26 to 55) of the cases. The sensitivity of DWI for detecting CVT was 22% (95% CI, 11 to 34) but specificity was 98% (95% CI, 95 to 100). ADC values were quite heterogenous in DWI signal areas. However, generally the ADC values were lower in DWI signal areas than in surrounding normal areas (mean difference-0.33×10-3 ㎟/s [95% CI, -0.44 to -0.23]; p<0.00001). Conclusion : DWI has a low sensitivity in detecting CVT and thus has a high risk of missing many CVT cases. However, because of its high specificity, it may have supporting and exploratory roles in CVT diagnosis.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으로 설계된 강합성 거더의 휨에 대한 신뢰도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Composite Girder Designed by LRFD Method for Positive Flexure)

  • 신동구;김천용;백인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A호
    • /
    • pp.539-546
    • /
    • 2006
  • 국내 LRFD 도로교설계규정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경간 플레이트 거더 및 박스 거더 합성단면을 하중저항계수설계법으로 설계하고 설계된 단면의 휨에 대한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신뢰도해석에서 휨저항강도는 최근 국내에서 생산된 16,000여 구조용 강재 표본의 항복강도 통계적 특성이 반영된 강합성단면의 휨저항강도 통계를 이용하였다. 활하중에 의한 작용모멘트 통계는 고정된 값을 사용하지 않고 편심계수 0.95-1.05를, 변동계수는 0.15-0.25로 가정하였다. 강거더 자중, 콘크리트 바닥판 자중, 포장면 자중 등에 의한 고정하중 모멘트 통계 값은 AASHTO 보정자료를 사용하였다. Rackwitz-Fiessler 법으로 신뢰도해석을 수행하고 지간별, 강거더 형식별, 활하중 모멘트의 불확실성 정도별로 신뢰도지수 계산 결과를 제시하였다.

Refractive-index Prediction for High-refractive-index Optical Glasses Based on the B2O3-La2O3-Ta2O5-SiO2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 Seok Jin Hong;Jung Hee Lee;Devarajulu Gelija;Woon Jin Chu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8권3호
    • /
    • pp.230-238
    • /
    • 2024
  • The refractive index is a key material-design parameter, especially for high-refractive-index glasses, which are used for precision optics and devices. Increased demand for high-precision optical lenses produced by the glass-mold-press (GMP) process has spurred extensive studies of proper glass materials. B2O3, SiO2, and multiple heavy-metal oxides such as Ta2O5, Nb2O5, La2O3, and Gd2O3 mostly compose the high-refractive-index glasses for GMP. However, due to many oxides including up to 10 components, it is hard to predict the refractivity solely from the composition of the glass. In this study, the refractive index of optical glasses based on the B2O3-La2O3-Ta2O5-SiO2 system is predicted using machine learning (ML) and compared to experimental data. A dataset comprising up to 271 glasses with 10 components is collected and used for training. Various ML algorithms (linear-regression, Bayesian-ridge-regression, nearest-neighbor, and random-forest models) are employed to train the data. Along with composition, the polarizability and density of the glasses are also considered independent parameters to predict the refractive index. After obtaining the best-fitting model by R2 value, the trained model is examined alongside the experimentally obtained refractive indices of B2O3-La2O3-Ta2O5-SiO2 quaternary glasses.

Gut microbiota derived from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enhances body weight of Mimas squabs

  • Jing Ren;Yumei Li;Hongyu Ni;Yan Zhang;Puze Zhao;Qingxing Xiao;Xiaoqing Hong;Ziyi Zhang;Yijing Yin;Xiaohui Li;Yonghong Zhang;Yuwei Y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8호
    • /
    • pp.1428-1439
    • /
    • 2024
  • Objective: Compared to Mimas pigeons, Shiqi pigeons exhibit greater tolerance to coarse feeding because of their abundant gut microbiota. Her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utilizing intestinal flora derived from Shiqi pigeons, the intestinal flora and body indices of Mimas squabs were evaluated after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from donors. Methods: A total of 90 one-day-old squab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CON), the low-concentration group (LC) and the high-concentration group (HC): gavaged with 200 μL of bacterial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0, 0.1, and 0.2 g/15 mL,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FMT improved the body weight of Mimas squabs in the HC and LC groups (p<0.01), and 0.1 g/15 mL was the optimal dose during FMT. After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 group, the abundance levels of microflora, especially Lactobacillus, Muribaculaceae, and Megasphaera (p<0.05), in the FMT-treated groups were markedly greater. Random fore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in functions of key microbes involve pathways associated with metabolism, further illustrating their important role in the host body. Conclusion: FMT has been determined to be a viable method for augmenting the weight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squabs, representing a unique avenue for enhanc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quab breeding.

다시기 Landsat TM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 분석 (Change Analysis of Aboveground Forest Carbon Stocks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이정희;임정호;김경민;허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1-99
    • /
    • 2015
  • 가속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 주변의 탄소순환에 대한 명확한 이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산림은 이산화탄소의 주요 흡수원으로 지상 탄소량의 대부분을 저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에서 측정되는 헥타르당 임목축적량을 활용하여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한다. 하지만 탄소저장량은 요약된 수치 형태로 발표하고 있어 탄소저장량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변화가 빠르고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배치가 부족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UNFCCC의 Approach 3와 Tier 3를 충족하는 격자 기반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토지피복변화 및 산림탄소저장량은 1991, 1992, 2010, 2011년에 취득된 Landsat 5 TM 영상과 고해상도 항공사진, 제 3차 및 제 5,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토지피복변화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변화된 토지피복과 변화되지 않은 토지피복 항목을 한 번에 분류하여 추정하였으며, 산림탄소저장량은 반사도, 밴드비율, 식생지수, 지형변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산림이 그대로 산림으로 유지되는 지역의 경우 33.23tonC/ha의 흡수를 하였으며 비산림이 산림으로 변한 지역의 경우 이보다 큰 36.83tonC/ha의 흡수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림이 비산림으로 바뀐 경우에는 -7.35tonC/ha로, 배출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율적인 산림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광학 위성 영상 기반의 도시 내 수목 피복률 추정 (Estimation of Fractional Urban Tree Canopy Cover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Optical Satellite Images)

  • 배세정;손보경;성태준;이연수;임정호;강유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3호
    • /
    • pp.1009-1029
    • /
    • 2023
  • 도시 수목은 탄소를 저장하고 불투수면적을 감소시키는 도시 생태계의 중요 요소이며, 탄소 저장량 및 순환량 산정 시 주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항공 라이다 자료 및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수목 정보를 산출하고 있으나, 항공 라이다 영상은 제공하는 플랫폼이 제한되어 있으며 비용적인 면에서도 한계가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를 대상으로 자료 취득이 용이한 고해상도 위성 영상인 Sentinel-2를 활용하여 기계학습 기반의 도시 내 수목 피복률(fractional tree canopy cover, FTC)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Sentinel-2 시계열 영상으로부터 중앙값 합성을 수행하여 수원시 전역에 대한 단일 영상을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도시 내 토지 피복의 이질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30 m 격자내 10 m 해상도의 광학 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값과 환경부 세분류 토지 피복 지도 기반 항목별 피복률을 계산하여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 변수로 활용하였다. 총 4가지의 입력 변수 조합을 설정하여, 입력 변수 구성에 따른 FTC 추정 정확도를 비교 및 평가하였다. 광학 영상의 평균 정보만을 활용(Scheme 1)했을 때 보다 도시 내 이질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표준 편차 및 피복률 정보를 모두 함께 고려(Scheme 4, S4)했을 때 향상된 성능을 나타낼 수 있었다. 검증용 자료에 대해 S4의 Random Forest (RF) 모델이 0.8196의 R2, 0.0749의 mean absolute error (MAE), 및 0.1022의 root mean squared error (RMSE)로 전체 기계학습 모델 중에서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변수 기여도 분석 결과 광학 지수의 표준 편차 정보는 도시 내 복잡한 토지 피복 지역에 대해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훈련된 S4 구성의 RF 모델을 수원시 전역에 대해 확장 적용하였을 때, 참조 FTC 자료에 대해 0.8702의 R2, 0.0873의 MAE, 및 0.1335의 RMSE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FTC 추정 기법은 향후 다른 지역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며, 도시 생태계 탄소순환 파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나무재의 1차조직과 2차조직 세포벽 중의 셀룰로오스 구조 (Cellulose Structures of Primary and Secondary Tissues in Pinus densiflora S. et Z.)

  • 김남훈;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60-67
    • /
    • 2001
  • 소나무(Pinus densiflora)재의 1차조직과 2차조직의 조직구조, 미세구조 및 머서화(mercerization)에 의한 셀룰로오스의 결정구조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1차조직의 세포는 원형에 가깝고 내강이 크며 배열이 무질서한 데 비하여, 2차조직의 세포는 장방형이고 비교적 규칙적인 배열을 갖고 있다. 섬유장은 1차조직 $200{\sim}250{\mu}m$, 2차조직 $1,500{\sim}1,600{\mu}m$였으며, 내강경은 1차조직 $40{\sim}50{\mu}m$, 2차조직 $10{\sim}20{\mu}m$였다. 그리고 1차조직과 1차방사조직은 2차조직의 세포에 비해 미목화된 세포가 많았다. 1차조직과 2차조직에서 셀룰로오스 결정의 면간격과 미결정 폭의 차이는 없었으나 상대결정화도는 각각 23%와 35%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배향성에 있어서 1차조직의 미결정은 무배향을 나타냈으나 2차조직의 미결정은 섬유축에 $20{\sim}30^{\circ}$의 배향성을 나타냈다. 머서화 과정 동안에 1차조직 셀룰로오스 결정은 셀룰로오스 II로 변화되었지만 2차조직의 셀룰로오스 결정은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양 조직간의 결정변태의 차이는 목화 정도의 차이에 의한 리그닌의 영향으로 생각되었다.

  • PDF

기술지식 교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이 급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twork Closure and Structural Hole in Technological Knowledge Exchange on Radical Innovation)

  • 안재광;김진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95-105
    • /
    • 2018
  • 본 연구는 구미 클러스터내 기술지식 교류 네트워크에서 기술적 급진성에 대한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협회*기업(2-mode)네트워크 자료를 기업*기업(1-mode) 네트워크 자료로 변환하여 2,550개 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구미국가산업단지에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랜덤추출을 통해 101개 기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86개 기업을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지표인 네트워크 밀도와 효율성이 높은 수준의 다중공선성을 갖고 있어 능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구조적 공백은 기업의 급진적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밀도는 급진적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거의 개념적인 논의와 문헌연구에 기반 했던 네트워크 패쇄와 구조적 공백의 논쟁에 실증적 증거 제시하는데 공헌하고 나아가 급진적 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사회적 자본의 구축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기술 지식의 특성, 혁신 유형, 네트워크 폐쇄와 구조적 공백의 상호작용 등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