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cima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상업용 천연 항산화제의 사용에 다른 어유의 산화 안정성 연구 (Oxidation Stability of Fish Oil Containing Commercially Available Antioxidants)

  • 장지선;이윤희;홍장환;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0
    • /
    • 2006
  • 어유에 catechin, 로즈마리 추출물 (Antox1, Antox2, Antox3), carotene, 녹차 추출물 (Gtox) 등을 첨가하여 각각의 항산화력을 rancima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synergist외의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항산화제 6종 중에서 catechin 500ppm을 첨가한 시료의 induction periods time이 4.35 hr로 control의 0.65 hr보다 3.7 hr의 차이를 보이면서 크게 나타났다. Catechin과 Antox3에 synergist인 gallic acid, EDTA, citric acid, vitamin C, ascorbic acid, propyl gallate를 사용하여 항산화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Catechin을 주 항산화제로 사용한 경우 vitamin C와 ascorbic acid의 synergist를 첨가하지 않은 control에 비해 약 1시간 이상 증가하였으며 Antox3의 경우 vitamin C와 ascorbic acid의 synergist를 첨가하였을 때 colure떼 비해 약 2시간 가량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전자코를 이용한 향구분 조사에 따르면, 이들 천연 항산화제를 사용하였을 때 본래의 어유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 비교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 최웅;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2-148
    • /
    • 1992
  • 95종의 식용 혹은 약용식물로부터 에탄올과 물을 용매로 하여 얻은 126종의 추출물을 괌유, 돈지 및 대두유에 첨가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면서 추출 수율이 높은 민들레, 질경이, 붉나무, 택란엽, 황기, 포공영 등 6종을 1차 선발하여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실험한 결과 붉나무 추출물이 팜유 및 돈지의 유도기간을 연장시키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붉나무 추출물을 팜유에 600ppm 첨가시 AI(Antioxidant index, 각 항산화제 첨가구의 유도기간을 무첨가구의 유도기간으로 나눈 값)는 1.35였고, 돈지에서는 AI가 3.03으로 돈지에 효과가 우수하였다.

  • PDF

바이오디젤용 산화방지제인 아민안정제들의 효과 (Effect of Amine-Based Antioxidants as Stabilizers for Biodiesel)

  • 박수열;김헌수;김승회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6호
    • /
    • pp.258-263
    • /
    • 2015
  • Biodiesel is an environmentally-friendly fuel with low smoke emission because it contains about 10% oxygen. Biodiesel fuel prepared by transesterification of vegetable oil or animal fats is susceptible to auto-oxidation. The rate of auto-oxidation depends on the number of methylene double bonds contained within the fatty acid methyl or ethyl ester groups. Biodiesel may be easily oxidized under several conditions, i.e., upon exposure to sunlight, temperature, oxygen environment. Maintenance of the fuel quality of biodiesel requir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biodiesel to oxidation. Treatment with antioxidants is a promising approach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r storage time of biodiesel. The 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amine-based antioxidants were evaluated after synthesis of the antioxidants by condensation of phenylenediamine with alkylamines at room temperature. In general, the oxidative stability can be assessed based on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parameters may include temperature, pressure, and the flow rate of air through the samples. The Rancimat method (EN14112) was selected because it is a rapid technique that requires very little sample and provides good precision for oxidative degradation analysis. Specifically, the EN 14112 technique provides enhanced efficiency for oxidative stability evaluation when a larger ester head group is utilized. Therefore, this technique was employed for evaluation of the oxidation stability of biodiesel by the Rancimat method (EN14112).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thanol Extract.)

  • 이유미;이재준;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7-473
    • /
    • 2008
  • 참나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효능을 검토하였다. 참나물 에탄올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12.01%이었으며, 이를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이 1.90%로 가장 높았으며, n-hexane, n-butanol, chloroform, ethylacetate 순이었다. In vitro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41\;{\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도 n-hexane 분획이 1.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항산화제인 BHT가 1.97로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는 n-hexane 분획이 88.40%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도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지질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분획 중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te, chloroform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참나물은 식품으로의 이용가치뿐만 아니라 참나물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력의 우수함을 통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해 본다.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별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9-116
    • /
    • 1996
  •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물별 항산화력과 이화학적 성질을 대비하여 그 유효 분획물의 항산화특성을 고찰하였다. 동결건조 커피를 극성도의 크기에 따라 9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각 분획물을 식용유지에 첨가하여 Rancimat과 oven test로 항산화 효과를 시험하였다. 용매별 추출 수율은 분획물의 극성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acetone>ethanol>ethyl acetate>methanol>50% methanol>water 분획물의 순이였으며, 대두유보다 돈지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갈색도와 환원력의 강도 및 유기산 함량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총phenol, 산도 및 caffeine을 포함한 총질소함량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또한, 각 분획물의 UV-visible spectra는 $200{\sim}220\;nm$, $260{\sim}280\;nm$$320{\sim}340\;nm$ 범위의 봉우리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320{\sim}340\;nm$ 부근이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의 크기와 일치하였다.

  • PDF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67-1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발아시기별로 70% 에탄올, 80% 메탄올, 75% 아세톤, 물 등 용매종류에 따라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 공여능, TBARS, 산화안정도 측정, 과산화물가 등 항산화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째에서 에탄올추출물이 296.51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메탄올추출물이 219.39 mg/g으로 많았다. 발아 8일째에서는 에탄올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아세톤추출물은 각각 197.72 mg/g, 200.45 mg/g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발아 4일째에 물추출물이 86.6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아세톤추출물에서 77.23%로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발아 8일째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추출물이 89.1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추출물이 70.14%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 발아 12일째의 라디칼 소거능은 4일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TBARS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에서 발아 4일째 무순추출물의 TBARS값은 70% 에탄올추출물이 71.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가 되면서 TBARS값이 상승하여 메탄올추출물이 78.99%로 높은 값을 보였고, 아세톤 추출물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TBARS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발아 4일째와 유사한 경향의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산화안정도 측정에서 발아 4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메탄올추출물이 6.07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지표는 1.16의 수준을 보였다. 발아 8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발아 4일째 산화유도기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아세톤추출물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추출물의 산화유도기간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전반적인 산화유도기간이 5.25~5.91시간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발아 4일째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항산화지표 또한 1.00~1.13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산화물가 측정에서 무순추출물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 4일째 저장기간 0일에서 각 추출물들이 3.02~4.21 meq/kg oil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60일에서 물추출물이 43.83 meq/kg oil과 메탄올추출물에서 45.42 meq/kg oil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황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발아 8일째와 발아 12일째의 무순추출물에서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과산화물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무순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나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마의 무기성분 및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ner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

  • 김진구;차원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17-321
    • /
    • 1997
  • The mineral compon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tometry. The mineral component cont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Fe < Na < Mg < Ca < P < K.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on refined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the rancimat method,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Blum added to the refined perilla oil was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fashion in concentration of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Th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for their antioxidation stability were also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tioxidation stability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 PDF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Extracts from Three Compositae Plants

  • Chon, Sang-Uk;Park, Seong-Ky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07
    • /
    • 2003
  • Some Compositae plant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weeds species as well as antioxidant to foods.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of 3 plant species, Cirsium japonica, Kalimeris yomena, and Lactuca saliva, were bio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liva)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effects. The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in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Extracts of 20 g dry tissue $\textrm{L}^{-1}$ from Lactuca sativa showed the most inhibitory effect on alfalfa seedling growth and followed by Cirsium japonica and Kalimeris yomena. Oxidative stability by Rancimat method and antioxidant activity by TBA method for the ground samples were the greatest in Lactuca sativa although were less than that of a commonly used antioxidant, 1% ascorbic aci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n storing meat was stably kept for 28days and was excellent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ree Compositae plants have potent allelopathic and antioxidant effects, and that their activities differ, depending on plant species.

항산화제가 바이오디젤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Biodiesel Fuels)

  • 유경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81-86
    • /
    • 2007
  • Biodiesel fuel that consis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long-chain fatty acid alkyl esters is an alternative diesel fuel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However, air causes autoxidation of biodiesel fuel during storage, which can reduce fuel quality by adversely affecting its properties, such as the kinematic viscosity and acid value. One approach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of fatty derivatives to autoxidation is to mix them with antioxida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ive such antioxidants in mixtures with biodiesel fuels produced by three biodiesel manufacturers : tert-butylhydroquinone (TBHQ),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propyl gallate (PrG) and $\alpha$-tocopherol. Oxidation stability was determined using Rancimat equipment. The results show that TBHQ, BHA, and BHT were the most effective and $\alpha$-tocopherol was the least effective at increasing the oxidation stability of biodiesel. This study recommends that TBHQ and PrG be used for safeguarding biodiesel fuel from the effects of autoxidation during storage.

Assessment on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on Thistle (Cirsium pendulum Fisch.) Plant Parts

  • Chon, Sang-Uk;Boo, Hee-Ock;Lee, Sook-Young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2-86
    • /
    • 2006
  •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leaves, stems, roots and flowers of Cirsium pendulum Fisch.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e greatest antioxidant activities in leaves by Rancimat, TBA and DPPH methods. Extracts of common thistle plant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xtract from flowers and its hexan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HPLC analysis showed that BuOH fraction of the leaves had the highest amount of antioxidant chlorogenic and p-coumaric acids at 5.38 and 9.71 mg $100\;g^{-1}$, respectively. It implies that common thistle plants ha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ly exhibited depending on plant part and solvent f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