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corean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정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icular Cycle of Korean Brown Frog (Rana coreana))

  • 신정민;고선근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53-158
    • /
    • 2014
  •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의 정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수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 (GSI)와 정소 내 생식세포의 변화를 연중 조사하였다. 정소의 세정관내 정자형성은 8월부터 시작되어져 9월의 정소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 시기에 GSI의 값이 가장 컸고 세정관의 단면적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2월의 정소에서는 정자배출 후 단계의 세정관들이 출현하였으며 이후 3월~7월까지 일정기간동안 정자형성이 정지되었고 GSI와 세정관의 단면적도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들로 보아 한국산개구리 수컷의 GSI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유의하게 변화했고 정자형성과정이 불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정소주기를 나타내며 번식기는 2월로 확인되었다.

Monitoring Local Populations and Breeding Migration Patterns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 Sung, Ha-Cheol;Cha, Sang-Min;Cheong, Seok-Wan;Park, Dae-Sik;Park, Shi-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21-126
    • /
    • 2007
  • We monitored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s near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Chungbuk, Korea, from 19 May to 8 August, 2006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s in local areas and to investigate patterns of migration of adult gold-spotted pond frogs from terrestrial hibernation sites to breeding sites, We captured individuals from the largest population using a drift fence with 22 pitfall traps surrounding the breeding site. A total of 22 individuals (19 males and 3 females) were captured between 23 May and 15 June. No peak in breeding migration was detected, but the onset of the breeding migration may correspond with increased humidity. Male body wei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mpling dates. Seven of 22 individuals were captured at the 4th pitfall trap, which was placed between two culverts. The capture rate per pitfall trap was higher in traps close to the rice field banks (1.44, traps $1{\sim}9$) than in traps facing hilly land (0.33, traps $13{\sim}18$). Comparative data from the Korean frog (Rana coreana), a sympatric species in the study area, were also collec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금개구리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 Cells in Rana nigromaculata coreana Okada)

  • 김한화;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1-240
    • /
    • 1984
  • 금개구리 (Rana nigromaculata coreana Okada) 배부피부의 색소보유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3종류의 진피 색소보유세포는 서로 평행으로 위치하였으며, 그들 세포들사이의 intercellular space에 의하여 인접되었다. 각 색소보유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대황세포 : 대황세포들은 서로 밀접하게 접하여 있었다. 그들 세포는 pterinosomes과 carotenoid vesicles로 채워져 있었으며, 그중 pterinosomes은 5가지 형태로 구분되었고 (제1형, 제2형, 제3형, 제4형 및 제5형 pterinosomes), 특히 전형적인 제2형과 제3형 pterinosomes이 발달되었다. 2. Iridophore:들은 위에 위치한 대황세포와 인접하였고, 그들은 iridophore reflective platelets로 채워져 있었으며, 이 reflective platelets는 대개 평행하게 배열되었으나, 일부분은 이 평행면과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였다. 3. 멜라닌보유세포:멜라닌보유세포는 멜라닌과립으로 채워져 있었으며, 이 과립들은 같은 전자밀도를 나타내었다. 멜라닌보유세포의 돌기는 iridophore 양 측면으로 뻗어 있었고, 이 돌기속의 멜라닌과립은 드문드문 분산되어 관찰되었다.

  • PDF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난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varian Cycle of Korean Brown Frog (Rana coreana))

  • 신정민;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7-292
    • /
    • 2014
  •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의 난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암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GSI)와 난소 내 여포난자의 크기와 난황축적 정도를 기준으로 발달과정을 연중 조사하였다. 난소무게와 GSI는 3월부터 5월까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여포난자들은 난황축적 전단계의 상태로 존재하여 난황형성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난소무게와 GSI가 증가하기 시작한 6월의 난소에서는 난황축적 전기단계의 여포난자가 출현하였고 8월에는 난황축적 중기단계와 난황축적 전단계의 여포난자가 존재하여 난소무게와 GSI도 증가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시기에 난황축적 현상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난소무게와 GSI가 높게 나타난 9월에서 11월까지는 난황축적 중기단계의 여포난자들과 난황축적이 거의 완성된 난황축적 후기단계의 여포난자들이 존재하였다. 동면중인 12월부터 난황축적을 마치고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들이 출현하였으며 2월의 난소에서는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가 전체적으로 존재하여 여포난자의 성장기에는 난소내의 모든 여포난자들이 동시적(synchronized)으로 진행되지 않고 각각의 여포난자에 따라 진행되다가 배란시기에 성장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는 난소주기를 나타내었다.

무미류 수종의 자연집단에 있어서의 성비 조사(한국산 양서류의 성비에 관한 연구 1) (The Sex Ratio of Anura in Natural Population (The Studied on the Sex Ratio of Amphibia in Korea 1))

  • 강영선;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8
    • /
    • 1960
  • For the study on the sex ratio in natural populations of the different localities, the amphibian species were collected as the materials at the seven localities in Korea, and wer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sex ratios of each amphibian species suggest that each has it's own specific sex rations the following list. Rana nigromaculata H. : 109-39, Rana rugosa SCH. : 67.44, Rana temporaria coreana O. : 158.45, Hyla arborea japonica G. : 137.70. In Rana nigromaculata H. the average sex ratio was 109.39 as the above list, and its was reach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ccording to the different localiies. The sex ratio was generally higher in the eastern area than that in the western area in this country. The sex ratio of the adult frogs of Rana nigromaculata H. was 135.18 , and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y each locality but the sex ratio of the younger frogs of the same species was 100.97 which was a little lower than that in the adult, and it was not laid at a significant level according to the localiti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difference of sex ratios according to the localities was mainly due to the different ratios of the adult frogs which were effected on the constitution of sex by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locality.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 개구리목 뇌조직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박상윤;조동현;고정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0
    • /
    • 1972
  • cellulose acetate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의 동물 6종에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개구리목의 MDH 와 L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었으며 포유류나 조류와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참개구리와 금개구리에서는 LDH 나 MDH 모두 두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두 isozyme의 pattern 역시 거의 같다고 볼 수 있었다. 산개구리 전뇌의 LDH isozyme 역시 두개의 isozyme만을 보였으나 그 pattern은 참개구리나 금개구리와 근본적으로 달랐다. 두꺼비와 무당개구리는 다섯개의 LDH isozyme을 가지고 있으나 그 pattern은 전혀 달랐다. 한편 옴개구리에서는 세개의 LDH isozyme을 볼 수 있었다. 모든 시험동물에서 두개의 MDH isozyme을 발견 할 수 있었는데 참개구리의 후엽과 소뇌 및 연수혼합 물에서는 단 하나의 MDH isozyme만이 검출되었다.

  • PDF

동면전, 중, 후 및 활동기에서의 Rana amurensis의 Enterochromaffin Cell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erochromaffin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Mucosae of Rana amurensis during Pre-hibernating, Hibernating, Post-hibernating and Active Period)

  • 김창환;정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8
    • /
    • 1973
  • 동면전, 중, 후 및 활동기 동안 조선산개구리(Rana amurensis coreana Okada)의 위장관 점막내에 출현하는 enterochromaffin cell의 내분비성 분비과립의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활동기 및 동면전, 중, 후기의 위장관 점막상피 내 enterochromaffin cell의 출현비율은 1: 1.5 :0.36 : 0.9로서 본 세포의 수는 활동기군에 비하여 동면전기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동면 중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활동기 및 동면전기군의 EC cell은 대체로 그 세포질내에 분비과립이 차있는 다과립성 및 중자등과립성 세포가 대다수였으나 동면중기 및 후기군에서는 희과립세포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3. EC cell의 형태학적 변화는 다른 신진대사 특히 내분비적 활성의 약화로 야기되는 생체의 적응현상에서 온 결과라고 추측된다.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V. 한국산 개구리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고정식;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1973
  • Cellulose acetate strip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 동물 6종에서 각 장기별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LDH isozyme은 포유류와 조류의 그것과는 달리 뇌와 골격근의 isozyme형이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과에 따른 LDH isozyme의 특징은, 무당개구리는 5개의 isozyme이 모두 나타났으며 두꺼비과의 물두꺼비는 5개의 isozyme이 나타났으나 무당개구리에 비하여 이동속도가 빠르고, isozyme사이의 간격이 조밀하다. 개구리과의 개구리, 금개구리, 옴개구리 및 산개구리에서는 2개 내지 4개의 isozyme만이 나타났다. 개구리목의 LDH 와 M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과 사이의 특징도 아울러 살필 수 있다.

  • PDF

한국산 양서류피부의 생물학적활성물질에 관한 검색 (Active Polypeptides in Korean Amphibian Skin Extracts)

  • 조태순;이우주;홍사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18
    • /
    • 1975
  • The effect of skin extracts of Korean amphibian, poisonous snake and fresh-water fish were determined for their caerulein-like action on rabbit gall bladder strips. The isolated gall bladder strip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technique described by Amer and Becvar(1969). The strips were placed in a bath containing 100ml of Locke-Ringer solution maintained at $38^{\circ}C$. Oxygen was continuously bubbled through the solution. The tension of the muscle strip was initially adjusted to 0.7g.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measured isometrically by a force-displacement transducer connected to a polygraph. In this rabbit gall bladder strip caerulein produced contraction of CCK-PZ type. The skin extract of Korean amphibian also elicited similar contraction as caerulein, which extracted from Australian amphibian, Hyla caerulea, by Erspamer et al. The calculated amount was approximately $2{\mu}g$ caerulein per gram of skin tissue in Korean amphibian and the potency was about 1/200 of that seen in Australian amphibian. The contraction of gall bladder strip by our amphibians occurs in decreasing order; Rana Nigromaculata coreana Okada, Rana nigromaculata Hallowell, Hyla arborea japonica Gunther and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The skin extracts of poisonous snake and fresh-water fish produced no caerulein-like activity.

  • PDF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ndocrine Cells in the Alimentary Tracts of Six Frog Species

  • Byung-Tae Choi;Dae-Yeon Moon;Jun-Hyuk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2호
    • /
    • pp.193-197
    • /
    • 1999
  • A peroxidase-antiperoxidase method was used to detect the cells showing immunoreactivities to six hormone antibodies in the alimentary tracts of six frog species, Rana nigromaculata, R. rugosa, R. amurensis coreana, R. catesbeiana, Bombina orientalis, and Hyla arborea japonica, inhabiting Korea. The cells immunoreactive to gastrin and cholecystokinin-8 were observed in the pylorus of the stomachs and in the small intestines of all frog species examined. In contrast, these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esophagus and the whole gastrointestinal tracts, but were absent from the large intestines in R. rugosa, R. catesbeiana, B. orientalis and H. arborea japonica. The pancreatic polypeptide (PP)-immunoreactive cells represented their distribution limited to the small intestines of R. amurensis coreana and H. arborea japonica, and they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in the pylorus of the stomachs in the other four species. Serotonin- and glucagon- Immunoreactive cells revealed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s in which the former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whole alimentary tracts in all frog species investigated, whereas the latter were not found in these regions at all. Endocrine cells were relatively abundant in the pyloric portion of the stomach compared to other orga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all endocrine cells except for PP had a similar distribution in the alimentary tracts of all frog species u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