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mmed aggregate pie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5초

쇄석다짐말뚝에 의한 연약지반의 액상화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Liquefaction Remediation by Rammed Aggregate Piers(RAP) on Soft Ground)

  • 안동석;배경태;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030-1035
    • /
    • 2008
  • Dynamic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liquefaction remediation of rammed aggregate piers(RAP) on soft ground under free strain conditions. The safe factors of the soft ground reinforced by RAP during seismic loading of magnitude 6.5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ed that factors of safety were affected various area replacement ratios, surcharge loads and depth of RAP systems.

  • PDF

진동대 시험을 이용한 쇄석다짐말뚝의 액상화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Liquefaction Mitigation of RAP (Rammed Aggregate Piers) using Shaking Table Test)

  • 김현정;배경태;김지환;조국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193-1198
    • /
    • 2008
  • Shaking table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liquefaction mitigation of rammed aggregate piers(RAP) on soft ground. The displacements of the soft ground reinforced by RAP under area replacement ratio 7, 14, 28% during seismic loading were measured. The result of tests showed that effects of liquefaction mitigation were affected various area replacement ratios and ground acceleration on RAP systems.

  • PDF

사질토지반에서 짧은 쇄석다짐말뚝의 배치형태에 따른 지지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earing Capacity for Rammed Aggregate Pier in Sand)

  • 천병식;김영훈;류우현;김종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95-198
    • /
    • 2009
  • Rammed Aggregate Pier method is intermediate foundation of deep and shallow foundation, it has been built on world wide. But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 domestic is not accomplished. In this paper, examined details of different spacing of piles, bearing capacities, respectively, conclude with recommendations on how RAP can be used in future needs. This documentation further provides comparisons of the laboratory test results which were obtained from differenciate the spacing of piles, namely installed rammed aggregate pier. Strain control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earing capacities of the piers; 20mm, 30mm and 40mm diameter drilling equipment to drill holes were installed in sand at initial relative densities of 40%. By comparing different spacing of piles, in this experiment, piles are spaced structually span, form a ring shape, narrowing the distance of each other, to the center. the result shows that as diameter of pier is bigger in diameter, bearing capacity also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raised stiffness. Also, the space between each piers narrowed, settlement rate of soil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test results, as the space between each piles were getting closer, allows greater chances to have resistance to deformation, shows improved stability of structures.

  • PDF

연악지반의 쇄석다짐말뚝에 대한 거동 분석 (I) (The Behavior of Rammed Aggregate Piers (RAP) in Soft Ground (I))

  • 배경태;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69-183
    • /
    • 2007
  • 쇄석다짐말뚝으로 보강된 연약지반 상 기초지반의 침하특성과 하중분담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말뚝과 지반의 경계면 조건, 치환율, 형상비 및 상재하중 등을 고려하여 말뚝의 입력물성치 산정을 위한 현장재하시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본 연구의 해석결과와 비교, 검증하기 위하여 현장원형(prototype)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아울러 기존의 SCP에 대한 탄성 하중전이 이론을 보정하여 수정식을 제안하였다. 해석결과 연성기초에 설치된 쇄석다짐말뚝의 경우 강성기초와는 다르게 경계면 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침하특성은 자유변형률(free strain)로 인하여 말뚝은 감소하고 주변지반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응력집중비는 말뚝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치환율과 형상비 증가에 따라 최대 응력집중비가 증가하나 어느 한계 이상에서는 수렴되었고 고치환율과 긴 말뚝에서는 상재하중 증가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RAP의 배치형태에 따른 지지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ring Capacity for Installed Rammed Aggregate Pier)

  • 김영훈;조창구;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9-26
    • /
    • 2009
  • 짧은 쇄석다짐말뚝 공법(RAP)은 깊은 기초와 얕은 기초의 중간개념으로 1989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세계적으로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설계시방이나 지지력 산정방법 등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RAP공법의 구조물 기초로서의 배치형태에 따른 지지력 측정을 통해 사용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지지력 측면에서 최적의 배치에 대한 적용방안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RAP공법이 적용된 지반의 지지력을 실내모형토조시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은 사질토로 조성된 모형지반에 RAP의 배치형태별(정방형, 육각형, 십자형, 마름모형), 직경별(20mm, 30mm, 40mm)로 변위제어시험을 수행하여 RAP의 지지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중심간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인접한 말뚝에 의한 구속효과 및 변형억제 등의 상호작용 효과가 증대되어 지지력이 증가하였으며, 직경이 커질수록 강성이 커져서 지지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말뚝의 중심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주변지반이 조밀해지면서 침하량도 감소하였다. 향후 다양한 현장계측자료의 축적을 통한 지속적인 검증작업과 침하량 및 지지력 측면에서 RAP의 최적 배치형태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 PDF

RAP 복합지반의 지지력 및 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aring Capacity and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Ground Reinforced by RAP Method)

  • 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27-134
    • /
    • 2004
  • 본 연구는 RAP공법의 구조물 기초로서의 안정성 및 사용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RAP공법이 적용된 지반의 지지력 및 파괴거동을 실내모형토조시험을 통하여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RAP 공법을 구조물 기초로서의 파괴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 상대밀도별(60%, 70%, 90%), 직경 별(45mm, 60mm, 70mm)로 RAP를 설치한 후 깊이별(5cm, 10cm, 15cm, 20cm, 25cm, 30cm)로 토압계를 각각 RAP에 인접한 곳과 RAP 중심에서 1.0D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하중재하 실험을 수행하여 RAP의 지지력 및 파괴거동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RAP의 파괴거동은 깊이 5∼10cm(1.0D∼2.0D)에서 최대 횡토압을 받아 일반적인 RAP의 파괴 형태인 Bulging 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RAP에 하중을 가하였을 경우 상대밀도가 낮을 경우에는 RAP의 직경변화가 컸으며 상대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RAP의 직경변화가 작음을 알 수 있었다. 깊이별 횡방향 응력 분포도는 상부에서 횡토압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크로스홀 탄성파 시험을 이용한 쇄석다짐말뚝의 검측 (Logging for a Stone Column Using Crosshole Seismic Testing)

  • 김학성;박철수;이태희;목영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84-90
    • /
    • 2009
  • An integrity testing for stone columns was attempted using crosshole S-wave logging. The method is conceptionally quite similar to the crosshole sonic logging (CSL) for drilled piers. The critical difference in the logging is the use of s-wave rather than p-wave, which is used in CSL, because s-wave is the only wave sensing the stiffness of slower unbounded materials than water. An electro-mechanical source, which can generate reversed S-wave signals, was utilized in the logging. The stone column was delineated from the S-wave travel times across the stone column, and taking S-wave velocities of the crushed stone and surrounding soil into account. The volume calculated from the diametrical variance delineated is very close to the actual quantity of the stone filled.

  • PDF

쇄석과 모래 혼합다짐말뚝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Rammed Aggregate and Sand Mixture Piers)

  • 천병식;김백영;도종남;국길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9-122
    • /
    • 2009
  • The gravel compaction pile method has been used as a soft foundation improvement method because bearing capacity and discharge capacity is excellent. But the discharge capacity decreased when the clogging was generated because the clay penetrate into a void of gravel compaction pil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clogging generation in gravel compaction pile constructing in the soft ground and take a step to minimize a void of gravel compaction pile. And the proper mixing ratio was determined with the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 performed to get strength and permeability with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100:0, 90:10, 85:15, 80:20, 75:25).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showed that internal friction angle was the highest at 85:15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and we can make sure a tendency of internal friction angle's decrease when the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passed 1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