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graphicall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8초

제1대구치에서 관찰되는 비정형적 치근형태에 대한 증례보고 (Abberant Root Morphology in the Permanent First Molars : Case Reports)

  • 이은경;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2-179
    • /
    • 2015
  • 치근 형성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유전적으로 그 형태가 정해져 있다.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이 치근발달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1대구치의 치근형성이상을 주소로 내원한 12명의 환아들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임상적으로 이들 치아는 정상적인 치관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방사선학적 검사상 치근이 얇고 꼬여있으며 불규칙한 길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백악법랑경계에서 치근이개부까지의 길이는 짧았으며, 치수강은 협착되어 있었다. 이들 중 6명의 환아에서는 제2유구치의 치근형성이상이 함께 나타났으며, 3명의 환아에서는 상악 중절치의 치관형태이상이 함께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에서 조산, 뇌신경계 감염, 선천성 심질환 등의 의학적 병력이 생후 1년 이내에 관찰되었다. 제1대구치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치근형태이상에 대한 보고는 희소하며, 본 증례에서 열두 명의 환아에서 동시에 발생한 제1대구치의 치근형성이상은 임상가들에게 새로운 증례의 발견 및 진단함에 의의가 있다.

Type III 치내치를 동반한 상악 측절치에 이환된 치근단 병소의 근관 치료 (ENDODONTIC TREATMENT OF A PERIRADICULAR LESION ON AN INVAGINATED TYPE III MAXILLARY LATERAL INCISOR)

  • 김기림;이제호;김성오;송제선;최병재;김승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1-185
    • /
    • 2012
  • 치내치는 치아 조직이 석회화되기 전에 법랑기가 치유두 내로 함입되어 형성된 발육성 기형이다. 가장 널리 통용되는 치내치의 분류법은 방사선 사진 상에서 함입(invagination)이 얼마나 치관에서 치근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지에 따라 분류하는 Oehler's classification system이다. 그 중 Oehler's classification type III는 함입이 치근까지 연장되어 치주인대와 직접적으로 'pseudo foramen'을 통해 교통하는 경우를 말하며 대체로 치수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Type III 함입을 통한 감염은 언제나 치주조직의 염증성 반응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처럼 'pseudo foramen' 주위로 염증성 병변이 발생한 경우 이를 'peri-invagination periodontitis'라 한다. 본 증례는 Oehler's type III 치내치를 갖는 상악 측절치의 'peri-invagination periodontitis'을 주소로 내원한 두 환자에게 각각 다른 치료적 접근을 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치내치에 대한 처치 시 조기 진단과 예방적 치료를 통한 치수의 건강 유지가 매우 중요하나, 이미 치수까지 질환에 이환 되었을 경우 환아의 나이, 치근 성숙도, 함입의 종류, 염증의 치수 이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상악동저 거상술에서 이식재 양에 따른 이식골 높이 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 (A change of sinus floor level related to the amount of grafted material after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BAOSFE) technique: A radiographic retrospective study)

  • 이지은;박소민;이종빈;방은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1호
    • /
    • pp.756-76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a change o bone level on the sinus floor by a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BAOSFE) techniq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DBBM). And Changes in augmented bone height after BAOSFE procedure were also assessed for 6 months after the implant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eight singl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posterior maxilla using BAOSFE technique. The implantation sit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fted DBBM, 0.25 group (0.25g) and 0.5 group (0.5 g). Panoramic views or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were taken at the time of implant placement with BAOSFE and after at least 6 months to assess the bone level changes in the elevated sites with DBBM. Results: Alveolar bone level around all implants was stabl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uring the follow-up. Mean augmented bone height was $5.21{\pm}0.94mm$ in 0.25 group and $6.92{\pm}1.19mm$ in 0.5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ugmented bone height was found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0.25 group and 0.5 group at the time of surger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the implant protruding into the maxillary sinus and the augmented bone height. After 6 months, mean reduction of augmented bone height was $0.50{\pm}0.34mm$ in 0.25 group and $0.41{\pm}0.30mm$ in 0.5group. There was no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tion of augmented bone height and amount of grafted DBBM. Conclusion: Within the limit of this study, the amount of grafting materials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implant into the maxillary sinus affect the amount of the augmented bone height.

  • PDF

하악골에 발생한 거대한 cemento-ossifying fibroma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THE HUGE CEMENTO-OSSIFYING FIBROMA OF THE MANDIBLE)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백수;권용대;박종오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70-75
    • /
    • 2000
  • 본과에서는 하악에서 발생한 거대한 백악질-골성 섬유종에서 원발병소부위에 대한 광범위한 외과적 적출술 및 후방 장골이식을 통해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안정성을 이루었으며 이환치아의 발거와 함께 술후 악간고정을 통하여 얇아진 하악하연부의 병적골절을 방지하였다. 현재까지 병소의 재발은 없고 양호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보철수복과 함께 지속적인 평가를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erric sulfate를 이용한 유치치수절단술의 3년 후 임상평가 (THREE-YEAR FOLLOW UP OF FERRIC SULFATE PULPOTOMY IN PRIMARY MOLARS)

  • 윤연희;장기택;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8-43
    • /
    • 2002
  • 15.5% ferric sulfate solution을 이용하여 유치치수절단술을 시행한 유구치의 상태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평가를 하여 이를 20%로 희석한 formocresol로 치수절단술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서 치료를 받은 건강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ferric sulfate를 이용한 치수절단술을 치료받은 30개의 치아와 20%로 희석한 formocresol로 치수절단술치료한 23개의 치아, 총 53개의 치아를 평균 34개월 후 follow-up하여 그 임상적, 방사선학적 상태를 조사하였다. ferric sulfate군의 전체적인 성공률은 80.0%이었고, formocresol군의 성공률은 81.0%이었다. 두 군의 결과 차이를 카이제곱검정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ferric sulfate군의 4개와 formocresol군의 4개의 치아가 외흡수를 보였고 근단부 치조골파괴는 ferric sulfate군의 3개와 formocresol군의 2개에서 보였다. ferric sulfate군과 formocresol군 사이의 성공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악골에 발생한 법랑아세포종의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AMELOBLASTOMA ON THE JAW)

  • 김현섭;류재영;유민기;서일영;;국민석;박홍주;유선열;최홍란;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535-542
    • /
    • 2007
  • Ameloblastoma, a benign tumor of odontogenic type, represents 10% of all tumors of the jaw. It is localized in the mandible(80%) and in the maxilla(20%). In every case, the selection of the surgical treatment must consider some fundamental elements, including the age and general state of health the clinicopathological variant, and the localization and extent of the tumor. This study was invested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of 23 patients with ameloblastoma which had been diagnosed by biopsy during the period of 1987 to 2005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it contained the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such as sex, age, location, chief complaints, duration, radiographic findings, histologic findings, treatment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are were follows. The age of patient ranged from 10 to 91 years(means, 35.9 years) at biopsy. Thirteen(57%) of the 23 subjects were males, and 10(43%) were females. Twenty(87%) of the 23 ameloblastomas were located in the mandible. Swelling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was experienced by 20(87%) patients. Radiographically, 11(48%) of the 23 tumors were unilocular with a well-demarcated border and 12(52%) were multilocular. The most common histologic pattern was plexiform and acanthomatous rather then follicular. Conserv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7 cases(30%), radical treatment 11 cases(48%), and combined treatment 5 cases(22%).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1 years to 22 years(mean 5.1 yea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rgical excision after marsupialization was found to be useful as a preliminary treatment of the large cystic ameloblasto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n the contrary, the lesion with a soap bubble appearance, the one with ineffective marsupialization was subjected to extensive excision of the tumor with a wide margin of normal bone.

상악동 중격의 발생율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정확도 (INCIDENCE OF SINUS SEPTA AND ACCURACY OF PANORAMIC RADIOGRAPH)

  • 신창훈;김형진;홍종락;양승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504-51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antral septa and the accuracy of panoramic radiograph in identifying maxillary sinus septa. In addition, when panoramic radiograph led to a false diagnosis of more than majority, we analyzed findings of the panoramic radiograph. Patient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80 patients who were radiographically examined before the surgery was done using both panoramic and computerized tomographic radiographs(CT scan), Samsung Medical Center from April 2003 to March 2006, and examined the incidence of antral septa, the false diagnosis rate of panoramic radiograph, and radiographic characters in case of false diagnosis. Only those bone lamellae were considered as septa that showed a height of at least 3.0mm. It was thus possible to exclude the alveolar recess. On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OMFS) determ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nus septa in CT scan, and five OMFS determ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nus septa in panoramic radiograph. Results: The septa were observed in 81 of 360 sinuses(22.5%). All septa were oriented in a buccopalatal plane. More or less greater prevalence was observed in the second molar region(38.2%) but no predominant location was found. Panoramic radiograph led to false diagnosed septa in 361 of 1800 cases(20.1%). In case of false diagnosis of more than majority, superimposed image on zygomatic process was 44.1%, faint image in the region not related to sinus lifting 26.5%, faint image in the region related to sinus lifting 17.6%, and misconception for superimposed image 11.8%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uld get clinico-anatomical information of septum in the maxillary sinus. Compared to CT scan, panoramic radiograph can not clearly differentiate the sinus septa, but we consider that panoramic radiograph may improve its usefulness if we take additional modified panoramic radiograph and clinical exam.

Type II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임상 증례 (TYPE II DENTINOGENESIS IMPERFECTA : CASE REPORT)

  • 김지현;이제호;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4-660
    • /
    • 2001
  •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유전적인 상아질의 결함으로 치아 발육과정 중 조직분화기에 발생되며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나타난다. Shields등은 상아질형성부전증을 type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Witkop에 따르면 1/8000명의 빈도로 이러한 유전적 소인을 갖게 되며, 남녀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다고 한다. 이환받은 치아는 적갈색의 변색과 함께 심한 마모현상으로 인해 구치부 교합면과 전치의 절단면의 법랑질이 파괴되고 그후 급속도로 상아질의 파괴가 뒤따른다. 방사선학적으로 가느다란 치근과 구근상치관, 치경부 협착, 작거나 결손된 치수강이 관찰되고, 유치열에서 치근단병소나 다발성 치근파절이 관찰되기도 한다. 본 증례의 4세 남자환아는 치아색이 이상하다는 것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치아는 전반적으로 황갈색의 변색과 중등도의 마모도를 보였으며,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 치아의 치수강 폐쇄, 구근상치관, 짧은 치근들이 관찰되었다. 가족력상 각 세대마다 환아와 같은 치아변색과 마모의 유전양상이 관찰되었으며, 10세된 환아의누나는 영구치열에 전체적으로 회갈색의 변색과 경도의 마모도를 보였다.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상 상아질형성부전증으로 판단되어 환아의 손상된 치아에 대해 구치부는 기성금관 수복을,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으로 치근파절로 인해 발거된 상악 좌측 유중절치를 포함한 손상된 전치부를 수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저위교합 유구치에서의 공간확장술을 이용한 외과적 접근 (SURGICAL APPROACH TO THE INFRAOCCLUDED TEETH BY USING SPACE REGAINING TREATMENT)

  • 방석윤;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31-536
    • /
    • 2005
  • 저위교합이란 능동적 맹출기 동안이나 이후 해당치아의 교합면 방향으로의 성장이 멈추어 다른 치아들보다 하방에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저위교합치의 결과로 침하치의 만기잔존, 부정교합, 증가된 치아우식 감수성과 치주질환의 가능성, 계승치의 이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진단 및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저위교합치의 치료는 저위교합 정도나 후속 영구치의 발육정도에 따라 보존에서 발치까지 다양하다. 영구 계승치가 없거나 부분적인 침하치가 치주적으로 건전한 경우, 공간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 보존적인 접근이 추천되기도 한다. 그러나 계승치가 존재하고 맹출이 지연되는 경우, 국소적인 염증반응과 관련되는 경우, 교정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발거가 필요할 수도 있다. 특히 저위교합된 유구치의 상방으로 인접치가 경사되어 악궁장경에 문제를 초래할 위험이 있는 경우 외과적인 발치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경사가 심한 경우 발치를 위한 외과적 접근이 힘들 수 있다. 심하게 경사된 인접치로 인하여 저위교합치의 외과적 발거가 힘든 환아에서 가철성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공간확보를 선행하였으며 보다 용이하게 치아를 발거할 수 있었다.

  • PDF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처치를 통한 치험례 (TREATMENT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USING ORTHODONTIC TRACTIONS)

  • 김남혁;김성오;송제선;손흥규;최병재;이제호;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9-116
    • /
    • 2010
  • 매복은 임상 검사나 방사선 사진 검사 상에서 인식 가능한 맹출 경로 상에 장애물이나 이소 위치에 의한 치아 맹출의 정지를 의미한다. 상악 중절치의 치아 매복의 원인으로는 과잉치, 치아종, 치배의 이소위치, 외상 후 연조직 치유에 의한 폐쇄, 만곡치, 정지된 치근 발육 등이 있다. 매복된 치아는 인접치의 근심이동으로 인한 공간 상실, 부정교합, 인접치의 치근 흡수, 낭종의 형성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맹출장애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매복된 치아의 치료방법으로는 유치의 발거나 외과적 노출을 통한 맹출 유도, 경과관찰, 외과적 방법이나 교정력을 이용한 매복치의 재위치, 매복치의 외과적 발거 등이 있다. 이 중 교정적 견인은 매복된 치아가 원인을 제거한 후 또는 외과적으로 치관을 노출시킨 후에 일정기간의 관찰에도 맹출하지 않거나, 맹출경로가 정상에서 많이 벗어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중절치를 교정적 견인을 통해 정상적인 맹출 방향으로 유도한 치험례들로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