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active effluent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3초

Radioactive effluents released from Korea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resulting radiation doses to members of the public

  • Kong, Tae Young;Kim, Siyoung;Lee, Youngju;Son, Jung Kwon;Maeng, Sung J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8호
    • /
    • pp.1772-1777
    • /
    • 2017
  • Korean nuclear power plants (NPPs) periodically evaluate the radioactive gaseous and liquid effluents released from power reactors to protect the public from radiation exposure.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lease of radioactive effluents from Korean NPPs and the effects on the annual radiation doses to the public. The amounts of radioactive effluents released to the environment and the resulting radiation doses to members of the public living around NPPs were analyzed for the years 2011-2015 using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s annual summary reports of the assessment of radiological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 results show that tritium was the primary contributor to the activity in both gaseous and liquid effluents. The averages of effective doses to the public were approximately on the order of $10^{-3}mSv$ or $10^{-2}mSv$. Therefore, even though Korean NPPs discharged some radioactive materials into the environment, all effluents were within the regulatory safety limits and the resulting doses were much less than the dose limits.

중수로원전 방사성유출물 관리와 유도배출한계 설정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Management for Radioactive Effluent and Methodology for Setting of Derived Release Limits at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in Korea)

  • 김희근;공태영;정우태;김석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172-177
    • /
    • 2010
  • 중수로원전에서 환경으로 배출되는 방사성유출물의 양은 경수로원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고, 방사성유출물을 계속적으로 배출하는 연속배출(Continuous release)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원자로건물 배기 굴뚝(Stack) 등 주요 배출지점에 방사선검출기(Radiation detector)를 설치하여 방사성유출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또한 방사성핵종 별로 연간 배출 가능한 유도배출한계(Derived Release Limits: DRLs)를 정하고, 이들 설정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수로원전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배출관리 방식, 유도배출한계의 설정기준, 설정 방법론과 설정 현황을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국내원전의 방사성유출물 배출현황과 특성에 대한 고찰 (A Review and Characteristics for Radioactive Effluents from the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 손중권;공태영;최종락;김희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38-145
    • /
    • 2012
  • 국내에서는 2010년 말 기준으로 21기의 원전이 운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원전에서 배출되는 방사성유출물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0년에는 547.12 TBq이 배출되었다. 국내원전의 기체와 액체 방사성유출물 배출량은 2001년에서 2010년까지 10년 동안 경수로원전의 경우에는 연평균 11.61 TBq/호기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중수로원전의 경우 118.12 TBq/호기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들 기체나 액체 방사성유출물의 배출 핵종의 대부분은 삼중수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출경향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원전의 방사성유출물 관리에 대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대덕부지 원자력관련시설 운영에 따른 주민피폭선량 현황분석 (Radiological Dose Analysis to the Public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Daedeok Nuclear Facilities)

  • 정해선;김은한;정효준;한문희;박미선;황원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1호
    • /
    • pp.38-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덕 원자력부지에 위치한 원자력관계시설들에 의한 방사선환경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체상 및 액체상 유출물에 의한 주민선량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3년간 대덕부지의 기상자료 및 환경으로 방출된 선원항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 최대피폭선량을 평가, 분석하였다. 기체상 유출물의 대기확산 인자 및 침적인자는 XOQDOQ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기체상과 액체상 방사성물질의 방출에 의한 최대개인선량(이하 개인선량)계산은 각각 ENDOS-G와 ENDOS-L 코드를 사용하였고,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 2012-29에 제시된 부지당 연간기준치와 비교하였다. 최대피폭지점에서의 개인의 유효선량과 갑상선선량을 계산하였고, 이에 대한 피폭영향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대 피폭연령군은 소아로 평가되었으며 하나로 운영에 의한 영향이 90% 이상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체상유출물에 의한 주요피폭경로는 섭취와 호흡에 의한 것이며, 유효선량에는 삼중수소가, 갑상선 등가선량에는 방사성옥소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량평가시 기체상유출물이 90% 이상 기여하였고 액체상유출물에 의한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덕부지의 원자력관계시설들에 의한 부지 내 개인선량은 최대 기준치의 3% 이내로 평가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안전관리 실무: (II) 배기중 및 배수중 배출관리기준의 적용 (Practical Radiation Safety Control: (II) Application of Numerical Guidance for the Discharges of Radioactive Gaseous and Liquid Effluents)

  • 김현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1호
    • /
    • pp.61-64
    • /
    • 2014
  •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함하는 방사성물질은 전력생산에서부터 연구, 산업, 진단 및 치료 등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비밀봉 방사성물질을 이용하는 시설에서 이들 시설로부터 기체, 입자 또는 액체 형태의 방사성물질이 다소간 환경으로 배출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이는 일반인의 방사선피폭을 야기하는 주요한 인공 방사선원이다. 본 논문은 보수적 가정과 간단한 계산에 의거하여 액상의 비밀봉선원을 사용하는 시설에서 배기설비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 방사성물질의 최대농도와 방사성폐액을 저장하는 저류조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폐액중 방사성물질의 평균농도를 산출한 후, 관련 고시에서 정하는 각각의 배출관리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일반인의 피폭 정도를 평가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방사성핵종의 1일 사용량, 취급형태, 비산율, 방사성폐액 발생량, 배기설비, 배수설비 등을 적절히 가정하였다. 제시된 절차는 비밀봉 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에서 환경으로의 방사성물질의 계획적 배출에 따른 주변환경 영향평가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의 피폭량 감축에 필요한 시설에서의 방사선안전관리 실무요건 도출에 활용할 수 있다.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Due to the Operation of Nuclear Facilities at KAERI Nuclear Site

  • Han, M.H.;Kim, E.H.;Hwang, W.T;Yeom, J.M.;Han, J.T.;Lee, Y.B.;Han, W.J.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47-254
    • /
    • 2003
  • To prevent the potential health detriment to the public from radioactive effluents, radiological dose assessments due to the operation of nuclear facilities located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site has been performed semiannually in compliance with the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s Notice in Korea.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based on the new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Radiation Protection (ICRP-60) has been conducted since 1998. In this manuscript, a serial activities at KAERI site to meet the regulatory standards for routine releases of radioactive effluent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including technical approaches. It is clear that each nuclear facility has been operated in compliance with regulatory standards. Furthermore, it is identified that the radiation induced health effects for residents around the site are neglectable.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의 해양 확산 평가 (A Study on the Oceanic Diffusion of Liquid Radioactive Effluents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 김숭평;이경진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6
    • /
    • 1998
  • 영광 원전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액체 방사성 물질의 확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영광에서의 해양 확산 조건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수치적 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미규제 지침 1.113에서 제시한 통계적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발전소 운전 조건이나, 피폭 경로에 따른 희석 인자를 계산할 수 있는 컴퓨터 코드를 개발하였다. 액체 방사성 물질의 확산에 대해서, 혼합 범위에 따라 근거리 혼합 모델과 원거리 혼합 모델로 구분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근거리 혼합 현상은 부력과 초기 운동량 및 난류에 의해 결정된다. 원거리 혼합에서는 대기 중의 구름 확산과 유사하게 가우시안푸륨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피폭 경로에 대해 물리적으로 타당한 적분을 수행함으로서, 경로에 따른 희석 인자를 구할 수 있었다.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에 의하면, 현행 영광 ODCM에 사용되는 희석 인자는 상당히 과평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원자력시설의 Carbon-14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감시배경의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Carbon-14 Monitoring in Radioactive Effluents)

  • 김희근;공태영;정우태;김석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195-200
    • /
    • 2009
  • 원전에서는 많은 종류의 방사성물질이 생성되어 일부는 환경으로 방사성유출물로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성유출물 중에서 탄소 동위원소인 Carbon-14는 자연에서 이미 높은 준위의 백그라운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전에서 Carbon-14가 배출되더라도 환경이나 일반인의 피폭방사선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여 과거에는 배출감시와 환경감시를 수행하지 않았다. 그런데, 핵연료 제조기술 발달과 운전방법 개선으로 핵연료로부터 불활성기체와 입자방사성물질의 방출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또한 방사선계측기술의 향상에 따라 삼중수소와 Carbon-14 같은 저준위 베타방사능 핵종의 검출준위가 낮아져, 이들 핵종이 일반인 선량평가에서 미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하는 Carbon-14에 대해 미국의 기술보고서와 논문 등을 검토하여 배출관리와 환경 영향평가에 대한 방사선감시의 기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arbon-14 방사성핵종의 배출감시 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New methodologies to derive discharge limits considering operational flexibility of radioactive effluents from Korean nuclear power plants based on historical discharge data

  • Kang, Ji Su;Cheong, Jae H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3호
    • /
    • pp.1003-1015
    • /
    • 2022
  • The new methodologies to derive discharge limits considering operational flexibility according to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were developed to help reduce the environmental releases of radioactive effluents from nuclear power plants (NPP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wo existing methods to set up discharge limits assuming a specific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effluent discharge, two modified equations were newly proposed to directly derive a particular discharge limit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mpliance probability' based on the actual annual discharge data for a specific NPP and radionuclide groups. By applying these to the actual yearly discharge data of 14 Korean NPPs for 7 radionuclide groups for the past 20 years, the applicability of two new methodologies to actual cases was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 value' with approximately a 90% compliance probability for each Korean NPP and radionuclide group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The new approaches for setting up the discharge limits and the characteristic value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to foster operator's efforts to progressively reduce the environmental releases of radioactive effluents of NPPs relative to the previous discharge data considering operational flexi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