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l Velocity Curv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eclipsing binarie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 홍경수;강영운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41.2-141.2
    • /
    • 2012
  • We present photometric solutions of the 26,212 eclipsing binaries discovered in the LMC by Graczyk et al. (2011). They published that 70 percent of a total are detached systems. Another 25 and 5 percent are semi-detached and contact binaries, respectively. We discovered that 21 percent of 26,121 eclipsing binary stars are eccentric orbit systems. The binary star distribution in the LMC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alactic center direction (Bade window).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re are only 5 of 357 (2 percent) stars have eccentric orbit in the Galactic Center (Kang 2011). We selected the light curve of 18,274 detached systems. Then we estimated the fundamental parameters on the basis of their photometric solutions and the semi-major-axis (a) assuming the distance modulus to the LMC~18.50. We compared the estimated fundamental parameters with an empirical mass-luminosity rel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mass-radius relation base on stellar evolution model in the low metallicity (Z=0.008) by Bertelli et al. (2009). This method allows for independent determine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eclipsing binaries in the LMC without the radial velocity curves.

  • PDF

대향류 확산화염에서 에지화염이 화염소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uter Edge Flame on Flame Extinction in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 정용호;박대근;박정;윤진한;권오붕;길상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81-188
    • /
    • 2012
  • 대향류확산화염의 화염소화에 있어서 에지화염 역할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속도비, 버너직경, 그리고 버너간격을 변화시키며 수행된 실험에서 전체신장률에 따른 화염소화 임계질소몰분율의 그래프는 c-커브 형태로 나타났다. 고신장률화염에서는 화염소화 임계질소몰분율의 그래프가 하나의 곡선으로 일치하였으며, 화염이 일차원의 응답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염 소화는 바깥 에지화염이 반경방향으로의 진동 후에 화염 중심으로 수축하며 소화하는 영역, 진동 없이 화염중심으로 수축하며 소화하는 영역, 그리고 바깥 에지부분의 수축과 진동 없이 화염중심에 화염 구멍이 생기며 소화하는 영역으로 세 가지 모드로 나타났다. 화염 표면온도 측정과 에너지 방정식의 각항을 수치해석 한 결과를 토대로 에지화염부분에서의 반경방향 전도 열손실이 에지화염의 불안정을 야기한다는 것과 전도를 통한 열 공급뿐만 아니라 대류를 통한 열 공급도 바깥 에지화염의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반경방향의 전도열손실이 수축하며 소화하는 메커니즘의 지배적인 역할을 함을 보였다.

접촉쌍성의 광도와 시선속도곡선의 분석에 의한 절대 물리량과 거리의 결정 -1. V417 Aquilae (DETERMINATIONS OF ITS ABSOLUTE DIMENSIONS AND DISTANCE BY THE ANALYSES OF LIGHT AND RADIAL-VELOCITY CURVES OF THE CONTACT BINARY - I. V417 Aquilae)

  • 이재우;김천휘;이충욱;오규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73-82
    • /
    • 2004
  • Samec et al.(1997)의 UBV 광도곡선과 Lu & Rucinski(1999)의 시선속도곡선을 2003년에 개정한 Wilson-Devinney 쌍성모델을 적용하여 W형 과접촉쌍성 V417 Aql의 측광 및 분광학적 해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 분석에서 Qian(2003)이 제안한 제3천체의 광도를 광도곡선 분석에서 고려한 결과, 삼체의 광도가 U, B, V 필터에서 각각 2.7%, 2.2%, 0.4% 존재하고, 삼체의 광도를 고려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이론치와 관측치가 극심 부근에서 더 잘 일치하였다. 우리의 해로부터 V417 Aql의 절대 물리량을 $M_1$= 0.53 $M_{ }$, $M_2$= 1.45 $M_{*}$, $R_1$= 0.84 $R_{*}$, 그리고 $R_2$= 1.31 $M_{*}$으로, 거리를 216pc으로 산출하였다. 우리가 구한 거리는 Rucinski & Duerbeck(1997)의 관계식 $M_{v}$ = $M_{v}$(log P, B-V)으로부터 계산한 거리(204pc)와 잘 일치하는 반면, Hipparcos 삼각시차에 의한 거리(131$\pm$40pc)보다 멀다. 그 차이는 Hipparcos 시차의 비교적 큰 오차 때문에 생긴 것일 수 있다. 수 있다.

KIC 6206751: the first R CMa-type eclipsing binary with ɣ Doradus pulsations

  • Lee, Jae Woo;Park, Jang-Ho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84.2-84.2
    • /
    • 2019
  • We present the absolute properties of the double-lined eclipsing binary KIC 6206751 exhibiting multiperiodic pulsations. The Kepler light curve of this system was simultaneously solved with the previously published radial-velocity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nary star is a short-period semi-detached system with fundamental parameters of $M_1=1.66{\pm}0.04M_{\odot}$, $M_2=0.215{\pm}0.006M_{\odot}$, $R_1=1.53{\pm}0.02R_{\odot}$, $R_2=1.33{\pm}0.02R_{\odot}$, $L_1=5.0{\pm}0.6L_{\odot}$, and $L_2=0.96{\pm}0.09L_{\odot}$. We applied multiple frequency analyses to the eclipse-subtracted light residuals and detected the 42 frequencies below $2.5days^{-1}$. Among these, three independent frequencies of $f_2$, $f_3$, and $f_4$ can be identified as high-order ($38{\leq}n{\leq}40$) low-degree (l=2) gravity-mode oscillations, whereas the other frequencies may be orbital harmonics and combination terms. The ratios between the orbital frequency and the pulsation frequencies are $f_{orb}:f_{2-4}{\simeq}2:3$, which implies that the ${\gamma}$ Dor pulsations of the detached primary star may be excited by the tidal interaction of the secondary companion. The short orbital period, and the low mass ratio and $M_2$ demonstrate that KIC 6206751 is an R CMa-type star, which is most likely evolving into an EL CVn star. Of seven well-studied R CMa-type stars, our program target is the only eclipsing binary with a ${\gamma}$ Dor pulsating component.

  • PDF

1SWASP J093010.78+533859.5: A Possible Hierarchical Quintuple System

  • Koo, Jae-Rim;Lee, Jae Woo;Lee, Byeong-Cheol;Kim, Seung-Lee;Lee, Chung-Uk;Hong, Kyeongsoo;Lee, Dong-Joo;Rey, Soo-Chang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71.1-71.1
    • /
    • 2013
  • Among quadruples or higher multiplicity stars, only a few binary systems have been discovered. They are important target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multiple stellar systems because we can obtain accurate stellar parameters from 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studies. We present the observational results of this kind of rare object 1SWASP J093010.78+533859.5, for which the doubly eclipsing feature had been detected previously from the SuperWASP photometric archive. Individual PSF photometry for two objects with a separation of about 1.9 arcsec wa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Our time-series photometric data show that the brighter object A is an Algol-type detached eclipsing binary with an orbital period of 1.3 days and the fainter B is a W UMa-type contact eclipsing binary with a period of 0.23 days. Using the high-resolution optical spectra, we obtained well-defined radial velocity variations of the system A. Furthermore, stationary spectral lines were detected and should have originated from the other stellar component, which was confirmed by the third object contribution from the light curve analysis. No spectral feature of the system B was detected, probably due to its faintness. We obtained the binary parameters and the absolute dimensions from each light curve synthesis. The primary and secondary components of the system A have a spectral type of K1 and K5 main sequences, respectively. Two components of system B have nearly the same type of K3 main sequence. Light variations at out of eclipses were appeared in both systems, interpreting as the effect of stellar spots on these late spectral type stars. We estimated the distances to the systems A and B individually. They may have similar distances of about 70 pc and seem to be gravitationally bound with a separation of about 130 AU.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1SWASP J093010.78+533859.5 is a quintuple stellar system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triple system A(ab)c and a binary system B(ab).

  • PDF

근접촉쌍성 XZ CMi의 CCD 측광관측과 광도곡선 분석 (CCD Photometric Observations and Light Curve Synthesis of the Near-Contact Binary XZ Canis Minoris)

  • 김천휘;박장호;이재우;정장해;오준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41-156
    • /
    • 2009
  • 근접촉쌍성 XZ CMi의 BV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새로운 광도곡선과 총 7개의 극심시각을 획득하였다. 관측한 극심시각과 지금까지 발표된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XZ CMi의 궤도 공전주기를 분석한 결과, 이 쌍성계의 공전주기가 지난 70년간 영년 주기감소와 더불어 규칙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규칙적인 변화를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0.0056일의 진폭, 약 29년의 주기, 그리고 0.71의 궤도이심율의 광시간 궤도를 결정하였다. 관측된 영년 주기감소($-5.26{\times}10^{-11}d/P$)를 자기제동 항성풍의 각운동량 손실에 의한 주기감소($-8.20{\times}10^{-11}d/P$)와 질량이 작은 반성에서 주성으로 질량 이동에 의한 주기 증가($2.94{\times}10^{-11}d/P$)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AML에 의한 주기감소율은 질량 이동에 의한 공전주기 증가율보다 그 크기가 약 3배 정도 크며, 반성에서 년간 $3.21{\times}10^{-8}M_{\odot}$의 질량이 주성으로 이동된다. 관측된 BV 광도곡선을 최근의 Wilson & Devinney 쌍성코드로 주성의 온도를 달리하는 두가지 모형(8200K와 7000K)을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두가지 모형 해 모두 XZ CMi가 반성이 로쉬 로브를 채웠으나, 주성은 아직 로쉬 로브를 채우지 않은 근접촉 쌍성임과 약 15-17%의 제3광도가 이 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제3광도를 내는 천체가 주기연구에서 제안한 제3천체와 동일 천체가 아닌 것은 확실하다. 두 모형의 $\sum(O-C)^2$의 차이는 너무 미미하여, 현 시점에서 어느 해가 더 관측치를 잘 맞추는 지를 가릴 수는 없었다. 그간 연구자간에 불일치하였던 질량비의 다양성 문제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분광시선속도곡선과 스펙트럼의 관측과 더불어 정밀 측광관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