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ar cross section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다중반사 구조를 갖는 복합구조물의 RCS 감소를 위한 광대역 다층 전파흡수체 설계 (Broad-band Multi-layered Radar Absorbing Material Design for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of Complex Targets Consisting of Multiple Reflection Structures)

  • 김국현;조대승;김진형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4권4호
    • /
    • pp.445-450
    • /
    • 2007
  • An optimum design process of the broad-band multi-layered radar absorbing material, using genetic algorithm, is established for the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of a complex target, which consists of multiple reflection structures, such as surface warships. It follows the successive process of radar cross section analysis, scattering center analysis, radar absorbing material design, and reanalysis of radar cross section after applying the radar absorbing material. It is demonstrated that it is very effective even in the optimum design of the multi-layer radar absorbing material.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three factors, i.e.. the incident angle range, broad-band frequencies, and maximum thickness can be simultaneously taken into account by adopting the genetic algorithm.

레이더 시스템에서 레이더 단면적에 따른 탐지 거리 추정을 위한 코히런트 집적과 비 코히런트 집적에 대한 비교 (A Comparison on Coherent Integration and Non-coherent Integration to Estimate Detection Range about Radar Cross Section in Radar System)

  • 함성민;가관우;이관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0-10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시스템에서 탐지 거리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더 단면적의 크기에 대한 집적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단면적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작을 경우 스웰링 케이스 1, 클 경우에는 스웰링 케이스 3의 탐지 확률을 레이더 방정식에 적용하여 탐지 거리를 추정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스웰링 케이스의 차이에 따른 코히런트 집적과 비 코히런트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비 코히런트 집적 방식이 추정 거리가 가장 우수하였고 코히런트 집적 방식은 스웰링 케이스를 적용한 탐지 거리 추정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스웰링 경우를 이용한 레이더 단면적의 목표물 탐지 거리 추정 성능 분석 (On Analysis Performance for Target Rage Detection Estimation of Radar Cross Section using Swerling Case)

  • 이관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3-11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시스템에서 탐지 거리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더 단면적의 크기에 대한 집적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단면적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작을 경우 스웰링 케이스 1, 클 경우에는 스웰링 케이스 3의 탐지 확률을 레이더 방정식에 적용하여 탐지 거리를 추정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스웰링 케이스의 차이에 따른 코히런트 집적과 비 코히런트 집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비 코히런트 집적 방식이 추정 거리가 가장 우수하였고 코히런트 집적 방식은 스웰링 케이스를 적용한 탐지 거리 추정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밀리미터파 W-대역에서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 해석 및 응용 (Analysis of Radar Cross Section of the Tank and Its Application at Millimeter Wave W-Band)

  • 신호근;송성찬;김지형;박용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756-75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W-대역에서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을 분석한다.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은 PO와 PTD 기법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상용 시뮬레이터와 비교를 통해 계산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전차의 레이다 단면적은 입사각, 편파, 포신 유 무에 따라서 계산하고 분석한다. 포탑의 형상 변화를 통해 레이다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을 스텔스 전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복합구조물의 RCS 저감을 위한 효율적 산란중심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Scattering Center Analysis for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of Complex Structures)

  • 김국현;김진형;조대승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2권4호
    • /
    • pp.421-426
    • /
    • 2005
  •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schemes for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of large complex targets, like warships, was developed, which are an 1-D radar image method(range profile), and a direct analysis based on an object precision method. The analysis result of partial dihedral model shows that the presented direct analysis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the 1-D radar image method for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of interested targets, in terms of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design, not signal processing.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irect analysis method, a scattering center analysis of an naval weapon system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 was coincident with that of another well-known RCS analysis program. Finally, an analysis result of RCS and its scattering center of an 120m class warship-like model presented that the direct analysis method can be an efficient and powerful tools for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of large complex targets.

평면 배열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발생기의 대기압에서의 레이다 단면적 감소 효과 (Radar Cross Section Reduction by Planar Array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under Atmospheric Pressure)

  • 김유나;김상인;김두수;이용식;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646-652
    • /
    • 2017
  • 큰 부피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플라즈마 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장벽 방전 구조(dielectric barrier discharge)를 제안하고, 발생기 동작 유무에 따른 모노스태틱 레이다 단면적(mono-static radar cross section)을 측정함으로써 대기압 플라즈마가 전자기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수의 전극을 평면으로 평행 배열함으로써 플라즈마 층의 부피를 증가시켰으며, 전극 배열과 수직인 방향의 전기장을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입사시킴으로써 발생기와의 원치 않는 커플링을 최소화 시켰다. 실험 결과, 모노스태틱 레이다 단면적을 2 GHz부터 25 GHz까지 측정하였을 때, K band에서 최대 8 dB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전압 발생기의 인가 전압을 최대 20 kV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주파수에서 플라즈마로 인한 감소치를 유연하게 조절 가능함을 보였다.

표적 관측 위치에 따른 레이더 수신 전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dar Received Power based on Target Observing Position)

  • 박태용;이유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63-3068
    • /
    • 2014
  • 표적의 RCS(Radar Cross Section)는 레이더 탐지 성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표적을 효율적으로 탐지하기 위해 RCS가 크게 나타나는 위치에 레이더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표적의 RCS와 함께 표적과 레이더 간의 거리 또한 레이더에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탄도미사일을 대상으로 동일한 횡축 선상에서 위치를 변경하면서 표적을 관측하였을 때 레이더에 수신되는 전력을 계산하고, 탐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레이더 배치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Optimal Path Planning for UAVs to Reduce Radar Cross Section

  • Kim, Boo-Sung;Bang, Hyo-Cho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54-65
    • /
    • 2007
  • Parameter optimiz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planning UAVs(Unmanned Aerial Vehicles) path under artificial enemy radar threats. The ground enemy radar threats are characterized in terms of RCS(Radar Cross Section) parameter which is a measure of exposure to the radar threats. Mathematical model of the RCS parameter is constructed by a simple mathematical func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e RCS model is directly linked to the UAVs attitude angles in generating a desired trajectory by reducing the RCS parameter. The RCS parameter is explicitly included in a performance index for optimization. The resultant UAVs trajectory satisfies geometrical boundary conditions while minimizing a weighted combination of the flight time and the measure of ground radar threat expressed in RCS.

함정용 통합 마스트의 레이다 단면적 분석 (Analysis of Radar Cross Section of the Integrated Mast Module for Battleship)

  • 신호근;이석곤;박동민;신진우;정명수;박상현;박용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584-58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함정용 통합 마스트의 레이다 단면적을 분석한다. 레이다 단면적 분석을 위한 물리 광학법 및 물리 광학 회절이론 기반의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용 시뮬레이터와 비교를 통해 계산의 정확도를 확인한다. 함정용 마스트의 형상과 입사각, 편파에 따른 레이다 단면적 변화를 계산하고 분석한다. 마스트의 측면 기울기 변화 및 모따기가 있는 마스트 구조를 통해 레이다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을 저 RCS 함정 마스트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Engagement-Scenario-Based Decoy-Effect Simulation Against an Anti-ship Missile Considering Radar Cross Section and Evasive Maneuvers of Naval Ships

  • Kim, Kookhyu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8-246
    • /
    • 2021
  • The survivability of a naval ship is the ability of the ship and its onboard systems to remain functional and continue a designated mission in man-made hostile environments. A passive decoy system is primarily used as a weapon system for improving the survivability of a naval ship. In this study, an engagement scenario-based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decoy effectiveness assessments against an anti-ship missile (ASM), which tracks a target with sea-skimming and active radar homing. The program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a target ship, such as the radar cross section and evasive maneuvers, as well as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onboard decoy system, the guidance method of the ASM, and the engagement environment's wind speed and direc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theory and formulations, configuration, and user interface of the developed program. Numerical examples of a decoy effect assessment of a virtual naval ship against an ASM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