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ce distribu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8초

Molecular Cloning and mRNA Expression of the Porcine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GLUT4)

  • Zuo, Jianjun;Dai, Fawen;Feng, Dingyuan;Cao, Qingyun;Ye, Hui;Dong, Zemin;Xia, Weigu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5호
    • /
    • pp.640-648
    • /
    • 2010
  •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4 (GLUT4) is a member of the glucose transporter family and mainly presents i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To clarify the molecular structure of porcine GLUT4, RACE was used to clone its cDNA. Several cDNA clon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regions of GLUT4 were obtained by amplifying reverse-transcriptase products of total RNA extracted from Landrace porcine skeletal muscles.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cDNA clones revealed that porcine GLUT4 cDNA was composed of 2,491 base pairs with a coding region of 509 amino acid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was over 90% identical to human, rabbit and cattle GLUT4. The tissue distribution of GLUT4 was also examined by Real-time RT-PCR. The mRNA expression abundance of GLUT4 was heart>liver, skeletal muscle and brain>lung, kidney and intestine. The developmental expression of GLUT4 and insulin receptor (IR) was also examined by Real-time RT-PCR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longissimus dorsi (LM), semimembranosus (SM), and semitendinosus (SD) muscle of Landrace at the age of 1, 7, 30, 60 and 90 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GLUT4 in skeletal muscles of Landrace at different ages (p<0.05).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I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different ages (p<0.05). The developmental change in the mRNA expression abundance of GLUT4 was similar to that in IR, and both showed a higher level at birth and 30 d than at other ag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tissue difference in the mRNA expression of GLUT4 or IR (p>0.05).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cDNA clones was highly identical with human, rabbit and cattle GLUT4 and the developmental change of GLUT4 mRNA in skeletal muscles was similar to that of IR, suggesting that porcine GLUT4 might be an insulin-responsive glucose transporter. Moreover, the tissue distribution of GLUT4 mRNA showed that GLUT4 might be an important nutritional transporter in porcine skeletal muscles.

이중 특성 임피던스 선로를 이용한 Gysel 3:1 가변 전력분배기 (Gysel 3:1 variable power divider using the dual characteristic impedance transmission line)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09-1415
    • /
    • 2021
  • Rat-race 구조의 변형인 Gysel 전력분배기는 분배기내 저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Gysel 전력분배기 내에서 선로 임피던스를 다르게 설정하면 두 개의 출력단자에서의 출력 전력 비율을 다양하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ysel 전력분배기에서 선로 임피던스를 변화하여 두 개의 출력 단자의 출력 비율을 1:3 또는 3:1로 선택할 수 있는 회로를 제안하였다. 선로의 임피던스 변화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형태의 전송선로 밑면에 비접지 동판을 위치시켜 구현할 수 있다. 비접지 동판과 접지면이 단락 연결하면 전송 선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고, 비접지 동판과 접지면을 연결하지 않으면 전송 선로는 코플라나 선로로 동작하게 된다. 제안된 Gysel 가변전력분배기는 중심주파수 1.5GHz에서 제작하였다. 제작된 Gysel 가변 전력분배기는 1.3~1.7 GHz에서 입력 반사계수(S11) -17dB 이하, 두개의 출력 단자의 전력차는 4.8±0.2dB,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단자로의 신호 전달계수(S21)는 -1.39±0.12dB, 낮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단자로의 신호 전달계수(S31)는 -6.15±0.08dB의 안정된 값을 가졌다.

금융기관의 CRM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CRM in Financial Institutions)

  • 이상윤;오성택;김문정
    • 산경연구논집
    • /
    • 제1권1호
    • /
    • pp.33-41
    • /
    • 2010
  • 정보기술의 발달은 CRM분야의 혁신을 가져왔고 많은 기업들은 CRM기술혁신 분야에 투자하여 개별고객가치에 의한 차별화된 고객관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장기고객의 지속적 확보와 비용절감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기업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 정보기술을 이용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고객과의 관계 형성이 어려워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객에 대한 맞춤형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이 필수적인 것이 되었으며, 기업 내 모든 자원이 전사적으로 통합관리되는 전사적 자원관리(ERP)시스템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고객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객관계관리(CRM)시스템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금융기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CRM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CRM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금융기관의 CRM 구축상황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북한 접경지역의 벼 도열병균 레이스 분포 (Rice Blast Populations Isolated from the Border Area of North Korea)

  • 정현정;노재환;양정욱;심형권;정다경;김주연;신진영;강인정;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25권4호
    • /
    • pp.164-172
    • /
    • 2019
  • 벼 도열병은 벼를 재배하는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병으로, 벼의 전 생육기에 감염하여 큰 수확량 손실을 초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벼 도열병 방제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레이스를 확인하고 저항성 벼 품종을 육성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북한에서도 벼 도열병은 가장 문제가 되는 곰팡이 병이지만 북한에서 발생하는 도열병균의 레이스 분포를 직접적으로 알기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접경지역에서 도열병 발생 분포를 알아보고 도열병균의 레이스 다양성과 비병원성 유전자 유무를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한 단인자 저항성 계통을 이용하여 남한 내륙지역과 북한 접경지역에서 밭못자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남한 내륙지역인 전주와 수원에서는 도열병균이 단인자 저항성 계통에 다양한 병 반응을 일으킨 데에 반해, 북한 접경지역인 백령도와 중국 단둥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병 반응을 보이며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각 지역에서 분리한 도열병균에 대해 수행한 레이스 판별 결과, 남한 내륙지역과 북한 접경지역의 KI 레이스와 KJ 레이스 비율은 상반되게 나타났으며 남한 내륙지역이 북한 접경지역보다 다양한 레이스 분포를 보였다. 한편, 북한 접경지역에서는 남한 내륙지역에서 발견되지 않은 8개 레이스가 나타나 이에 대한 저항성 품종 육종 대비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각 지역별로 분리한 대부분 균주에서는 Avr-Pii와 Avr-Pia를 제외한 9개 비병원성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이는 분리균주가 가지고 있는 비병원성 유전자에 변이로 인하여 병원성이 달라졌다고 판단되며, 추후 비병원성 유전자들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과 각 균주에 대한 단인자 저항성 계통의 병 반응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지역에 유효한 저항성 인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olecular Cloning, Tissue Distribution and Segmental Ontogenetic Regulation of b0,+ Amino Acid Transporter in Lantang Pigs

  • Zhi, Ai-Min;Feng, Ding-Yuan;Zhou, Xiang-Yan;Zou, Shi-Geng;Huang, Zhi-Yi;Zuo, Jian-Jun;Ye, Hui;Zhang, Chang-Ming;Dong, Ze-Min;Liu, Zh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8호
    • /
    • pp.1134-1142
    • /
    • 2008
  • Cationic amino acid transporter $b^{0,+}AT$ (HGMW-approved gene symbol SLC7A9, solute carrier family 7, member 9) plays a crucial role in amino acid nutrition. In the present study, we describe the cloning and sequencing of porcine $b^{0,+}AT$. Based on the sequence of porcine $b^{0,+}AT$ deposited in the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ical Information), we identified a putative porcine homologue. Using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the full-length cDNA encoding porcine $b^{0,+}AT$ was isolated. The porcine $b^{0,+}AT$ cDNA was 1,680 bp long, encoding a 487 amino acid trans-membrane protein.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was found to have 88.9% and 87.1% identity with human and mouse $b^{0,+}AT$, respectively. Real-time RT-PCR indicated porcine $b^{0,+}AT$ transcripts expressed in heart, kidney, muscle and small intestine. The small intestine had the highest $b^{0,+}AT$ mRNA abundance while the muscle had the lowest (p<0.05). Along the longitudinal axis, the ileum had the highest $b^{0,+}AT$ mRNA abundance while the colon had the lowest (p<0.05). The $b^{0,+}AT$ mRNA level was highest on day 7 and 90 in the duodenum (p<0.05). It increased from day 1 to day 26 in the jejunum (p>0.05) and had the highest abundance on day 60 (p<0.05).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between day 1, 7, 26, 30, 90 and 150 (p>0.05). The strongest $b^{0,+}AT$ expression appeared on day 7 in the ileum before weaning, and then decreased till day 30 but rose gradually again from day 60 to 150 (p<0.05).

햄스터 구강암 발생 과정에서 Heat Shock Protein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HEAT SHOCK PROTEIN IN ORAL CARCINOGENESIS IN HAMSTER)

  • 최규환;이동근;김은철;정창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2호
    • /
    • pp.124-136
    • /
    • 2001
  • Heat shock protein (HSP) expression is unregulated in tumor cells and, HSP expression is likely marker of the malignant potential of oral epithelial lesion. Furthermore, the 70kDa HSP is implicated in the degree of tumor differentiation, the rate of tumor prolifera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anti-tumor Immune response.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and intensity of HSP70 and HSP47 expression was assessed in the DMBA induced oral carcinogenesis in hamster. Golden Syrian hamsters which were 3 months-age and $90{\sim}120g$ were collected. 9,10-dimethyl -1,2-benzanthracene (DMBA) in a 0.5% solution in mineral oil was painted on the buccal pouch mucosa 3 times per week in the study group. In eac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6, 8, 10, 12, 14, 16, 18, 20 weeks, specimen were sectioned for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anti-HSP47 and anti-HSP70 antibo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SP47 positive cells were race or negative of normal oral mucosa, increased mildly in basal and suprabasal basal layer, and spinous cell layer after experimental 6 weeks (dysplastic or CIS stage). In CIS stage, HSP47 expression is prominent in dysplastic free or normal adjacent epithelium. 2. HSP47 positive cells in connective tissue were mainly inflammatory cells,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from control to precancerous and cancer stage. But HSP47 positive cells after 14 weeks were decreased, especially normal and cancer adjacent epithelium. 3. The positive staining cells of HSP70 in control, dysplastic, and CIS stage were not seen. But they were mild findings in basal layer and moderate findings in spinous layer after experimental 14 weeks (cancer stage). 4. HSP70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precancerous and cancer stage than control group in connective tissue. After experimental 16 weeks, we could not find the HSP expression in cancer cells according to cancer differentiation or cancer stage. It is concluded that HSP70 or HSP47 expression is not a definitive marker of oral malignancy or malignant potential. However, with further development, HSP immunoreactivity may be valuable as an adjunct to conventional histology for assessing the malignant potential of oral mucosal lesions.

  • PDF

기초 및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원 도구(VESTAP)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Supporting Tool (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in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 오관영;이명진;한도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6
  • 기후변화는 환경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화두이며, 인류에게 직면한 가장 도적적인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차원의 1~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각 광역 및 기초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취약성 평가는 다양한 영향인자의 복합적 연산을 통해 도출됨으로 개별적인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 및 광역 지자체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VESTAP)를 개발하였다. VESTAP은 크게 지표 DB와 취약성 평가 및 표출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지표 DB는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4.5와 8.5로 모의된 총 455개의 미래 기후자료, 대기 환경자료, 기타 인문사회통계 자료와 그에 따른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표출 도구는 각 취약성 평가의 결과에 대한 공간분포, 편향성, 도표화 등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 하였다. VESTAP를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에 대한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부강면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각 지자체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기후변화 적응 시행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구의 '케어와 이민의 결합' 연구와 한국 사례의 기여 가능성 탐색 ('Care-migration Iintersection' Research in the West and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Korean Case)

  • 김규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03-123
    • /
    • 2017
  • 본 연구는 케어와 이민의 관련성에 관해 서구에서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국의 경험이 이러한 연구 성과들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케어, 이민 그리고 그 둘의 결합, 이렇게 세 영역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했다. 케어는 다면적 개념이며 따라서 다양한 접근방법이 가능하다. 특히 케어를 사회적 재생산 노동으로 정의할 때, 케어는 개인과 가족 차원을 넘어 복지국가의 다양성과 진화의 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계화와 국제이민의 맥락에서 케어 개념은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연구에 있어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간 축적된 증거들은 계급, 젠더 그리고 인종 등과 같은 사회적 실체들의 관계에 대해 초국가적 관점을 적용함으로써만 케어의 사회적 분배 역학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케어와 이민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유럽 복지국가들에서 케어의 이민자화 경향의 광범위한 수렴을 발견했지만, 케어와 이민이 결합하는 구체적 방식은 제도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여 다양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케어-이민 결합 연구가 널리 알려진 복지국가(레짐)들의 사례들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의 사례는 새로운 복지국가레짐 유형(소위 생산적/발전주의 복지국가)과 이민레짐 유형(동포이민과 결혼이민)을 기존의 케어-이민의 결합 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이 연구의 지리적, 이론적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구.경북 지역 한국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aegu . Kyungpook PCOS Women)

  • 배진영;김미연;성수경;오정은;전상식;이택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1호
    • /
    • pp.71-80
    • /
    • 2009
  • 목 적: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생식기 여성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 중 하나이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 특유의 임상 양상 및 혈액학적 소견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터키와 미국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불임치료실을 찾은 88명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임상 양상 및 혈액학적 소견을 연구하였다. 결 과: 한국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군 내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령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가 없었으나 터키와 미국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와 비교했을 때 고안드로겐혈증의 빈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 내에서도 인종간의 임상 양상 및 혈액학 소견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며 유전 및 생활 습관의 차이 등이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연구 대상인 환자의 수가 적고 연령군의 분포가 좁아 향후 좀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CT를 이용한 복부 지방측정에서 측정 위치에 대한 고찰 (무증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of Measurements in the Abdominal Fat using CT (In asymptomatic Korean individual))

  • 이상헌;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85-693
    • /
    • 2020
  • 본 연구는 비 조영 복부 CT 검사를 한 무증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L1-S1 inter vertebral disc level에 따른 전체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내장지방 면적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최대지방면적(㎠)을 가지는 위치를 알아보았다. 전체지방 면적의 최대지방비를 보이는 위치는 남자 L2-3, L3-4, L4-5, 여자 L4-5, L5-S1에서 측정한 전체지방 면적이다. 피하지방 면적의 최대지방비를 보이는 위치는 남자 L4-5에서 측정한 피하지방 면적이며, 여자는 L4-5, L5-S1에서 측정한 피하지방 면적이다. 내장지방 면적의 최대지방비를 보이는 위치는 남자 L1-2, L2-3에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이며, 여자는 측정 위치에 따른 내장지방 면적의 차이는 없었다. L4-5 inter vertebral disc level에서 복부 지방측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넓게는 국적, 인종, 성별 등에 따라 좁게는 연구 대상자에 따라 지방 분포 특성이 다르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에 따라 어떤 위치를 선택할 것인지 연구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선택한 위치가 적절한 이유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