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S2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초

항바이러스 활성 유도 물질에 대한 잉어의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e response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against antiviral activity inducers)

  • 조미영;김수미;김은전;손상규;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9-200
    • /
    • 2007
  • 잉어의 선천성 면역 인자가 관여하는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UV-inactivated SVCV, Poly I:C 및 Con A를 주사한 후 3일째 라이소자임 활성, 혈청 내 보체의 살균능력 및 식세포의 활성산소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혈청 내 라이소자임의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신 조직의 라이소자임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혈청 내 보체의 살균 능력도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식세포의 활성은 UV-inactivated SVCV 시험구에서는 농도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oly I:C 및 Con A 시험구에서는 저농도에서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을 조사하기 위해 주사 후 4일째 1×104 TCID50/fish 농도의 SVCV로 인위 감염한 결과 UV-inactivated SVCV 및 Poly I:C 시험구에서는 Con A 시험구에 비해 높은 방어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Poly I:C 시험구에서 라이소자임 및 식세포 활성이 다소 감소한 고농도에서도 높은 방어력이 유도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는 Poly I:C에 의해 자극된 또 다른 비특이적 면역 인자가 SVCV에 대한 방어반응에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식 넙치에서 Edwardsiella tarda와 Neoheterobothrium hirame 혼합 감염이 $\beta$-용혈성 Streptococcus iniae 불활화백신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Efficacy of $\beta$-hemolytic Streptococcus iniae Vaccine by Mixed Infections with Edwardsiella tarda and Neoheterobothrium hirame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문진산;김지연;조성준;김민정;손성완;장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6-230
    • /
    • 2009
  •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beta$-hemolytic Streptococcus(S.) iniae vaccine on cultured olive flounder. Three hundred flounders(weight $50{\pm}5$ g) were obtained from two farm at Wando and Taean i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 of Korea at May and June 2007, respectively. Twenty of flounders moved in 0.5 tons aquaria in land-marine tank system of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Seawater was transported from the sea of Inchon in western Korea, and water temperature maintained to $22^{\circ}C$ and $25^{\circ}C$ during the vaccination and challenge test, respectively. We used the formalin-inactivated $\beta$-hemolytic S. iniae vaccine produced by domestic manufacturers. The vaccin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to fish. The vaccinated and control group were challeng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by virulent S. iniae SI-36 isolates with $5.0{\times}10^8$ CFU/fish at 3 weeks after vaccination. We evaluated the vaccine efficacy by calculating numbers of dead fish, and observing of clinical signs, exterior and gross lesions, and examining bacteria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Thirty-four(25.2%) of 135 control and vaccinated group fish were dead with serious anemia, abdominal extension, and hernia of intestine during 3 weeks post vaccination. We isolated Neoheterobothrium hirame from the buccal cavity and Edwardsiella tarda from kidney of dead and diseased fish. When infected fish with these agents were challenged with S. iniae SI-36 isolates, the cumulative mortality of control and vaccinated group were 86.7, and 46.7%, respectively.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p<0.05) were observed on cumulative mortality between control(20.0%) and vaccinated group(95.0%) at second trials with 40 healthy, and relative percent survival(RPS) was 78.0%. We confirmed that the efficacy of $\beta$-hemolytic S. iniae vaccine on olive flounder were impacted by health condition such as bacterial and parasitic diseases.

개 정소상체 정자의 난자내 침입율과 동결융해 후의 생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mber of Sperm Penetrated Oocytes and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Epididymal Dog Sperm)

  • 박종민;김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9-234
    • /
    • 2002
  • 본 연구는 불임견의 번식장애를 해결할 목적으로 개 정소상체로부터 채취한 정액을 tris-buffer로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제거한 RSP-T 희석 정자의 일반성상과 동결방법 및 glycerol 농도가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과 난자와 정소상체 정자를 매정시켰을 때 정자침입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WES, RSP-S 및 RSP-T 희석 정소상체 정액의 정자수는 각각 4.25 $\pm$ 0.25(X$10^{6}$ Cells/$m\ell$), 3.85 $\pm$ 0.20(x$10^{6}$cells/$m\ell$), 4.05 $\pm$ 0.28(X$10^{6}$cells/$m\ell$)이었고, 활력은 50.55 $\pm$ 2.75%, 67.25 $\pm$2.55%, 78.75$\pm$3.55%이었고, 기형정자율은 49.45$\pm$2.25%, 37.75 $\pm$ 2.10%, 24.25 $\pm$ 1.55%이었다. 2. RSP-S와 RSP-T 희석 정소상체 정액을 완만 동결을 했을 때 생존율은 각각 35.00 $\pm$2.35%, 45.50 $\pm$2.15%와 초급속동결시의 생존율은 16.50 $\pm$ 3.55%, 22.55 $\pm$ 3.95%이었다. RSP-T 희석 정소상체 정액을 동결시 내동제에 glycerol 농도를 2.0~8.0% 첨가하여 동결했을 때 생존율은 각각 9.25 $\pm$ 1.55%~17.50$\pm$2.50%로서 신선정액의 25.50% 4.50%~34.00$\pm$5.15%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3. 동결 융해한 정소상체 희석정자의 평균 수정 능 획득 율과 첨체반응 및 생존정자수는 각각 13.00 $\pm$ 2.35%, 3.55 $\pm$ 0.85%, 15.50 $\pm$ 1.90% 였고, 신선 정소상체 정액의 45.25$\pm$5.75%, 7.06 $\pm$0.25%, 49.20$\pm$6.80%이었다. 신선 및 동결 수정 능 획득 정자를 난자와 매정시켰을 때 난자내 정자의 침입율은 각각 39.25 $\pm$4.72 %와 34.24$\pm$3.93%였고, 난자당 정자의 침입 수는 각각 1.30$\pm$0.33개, 1.10$\pm$0.50개이었다.

소형 개 RSP-S와 RSP-T 정액의 동결 융해후의 생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iability of Frozen Removed Seminal Plasma by Saline(RSP-S) and Tris-buffer(RSP-T) Semen of Small Spcies Dogs)

  • 김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9-275
    • /
    • 2001
  • 본 연구는 소형 개의 동결정액을 개발하여 인공수정에 이용하고자 제 2차 분획정액을 생리적 식염수와 Iris-buffer액으로 희석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정장성분을 제거한 RSP-5 및 RSP-T 정액의 일반성상과 단기보존 및 동결보존시의 생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1, 제 1분획의 정액량은 0.65$\pm$0.09 $m\ell$, 정자농도는 4.52$\pm$0.35$\times$$10^{6}$cells/$m\ell$, 활력은 15,64$\pm$3.85%, 기형정자수는 84.36$\pm$0.62%였으며, 제 2분획의 정액량은 1.25$\pm$0.20 $m\ell$, 정자농도는 3.35$\pm$0.48$\times$$10^{6}$cells/$m\ell$, 활력은 96.25$\pm$4.65%, 기형정자수는 3.75$\pm$0.46%였으며, 제 3분획의 정액량은 1.45$\pm$0.21 $m\ell$, 정자농도는 3.85$\pm$0.52$\times$$10^{6}$cells/$m\ell$, 활력은 92.82$\pm$4.24%, 기형정자수는 4.66$\pm$0.58%였다. 2. 제 2분획 정액의 RSP-5군의 정자농도는 4.82$\pm$0.36$\times$$10^{6}$cells/$m\ell$, 활력은 90.10$\pm$3.42%, 기형정자수는 9.90$\pm$0.68%였으며, RSP-T군의 정자농도는 4.55$\pm$0.45$\times$$10^{6}$cells/$m\ell$, 활력은 93.25$\pm$3.85%, 기형정자수는 6.75$\pm$0.58%였다. 이는 대조군의 정자농도 5.45$\pm$0.82$\times$$10^{6}$cells/$m\ell$, 활력 95.55$\pm$4.65%, 기형정자수 4.45$\pm$0.4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제 2분획 정액을 RSP-5와 RSP-T로 처리한 정액을 4$^{\circ}C$에서 보존했을 때 각각 1~72시간(97.54~6.25%)과 1~100시간(97.40~5.62%)에서 생존성이 유지되었고, 38$^{\circ}C$에서 보존했을 때 1~40시간(96.45~7.45%)과 1~50시간(95.60~B.65%)에서 생존성이 유지되었다. 이는 무처리 대조군의 1~50시간(97.24~4.82%)과 1~30시간(95.52~5.55%)에 비해 생존성이 높게 나타났다. 4. 제 2분획 정액을 처리한 RSP-5군의 정액을 완만 및 초급속 동결후 융해했을 때 생존율은 각각 67.3$\pm$4.45%와 46.4$\pm$3.84%였으며, RSP-T군 정액은 58.8$\pm$4.46%와 74.4$\pm$4.20%로서 대조군의 8.5$\pm$2.1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PDF

어류 병원성 세균 Edwardsiella 에 대한 뱀장어의 면역 반응 (Immune response of eel against fish pathogen, Edwardsiella tarda)

  • 박수일;최윤정;이주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0
    • /
    • 1993
  • 뱀장어의 복강내에 Edwardsiella tarda의 FKC, HKC 및 crude LPS를 주사한 후 경시적으로 순환혈액 중 면역세포 수의 변화와 식작용, 항체가를 비교하여 항원 종류별 뱀장어의 면역 반응을 검토하였다. 백신 투여 뱀장어의 순환혈액 중 림프구 수는 백신 투여 후 6시간까지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24시간 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이후 모든 면역 실험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림프구 수가 증가된 상태로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중구의 출현수를 대조구와 비교하면 백신 투여 후 12시간 이내에 최고치를 나타낸 후 서서히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백신 투여 실험구의 혈청중 항체가는 백신 투여 3주째에 128에 이르러 높은 항체가가 지속되었으나, HKC 면역구의 경우에는 6주후 4로 떨어졌다. 호중구의 식작용에 있어서는 LPS 면역구의 항원 주사 6시간 후와 1주후의 반응 6시간째의 식균지수가 각각 28.3과 3.9로 가장 높았다. 항원 주사 후 12시간째의 식균지수가 반응 6시간째 FKC 면역구 18.8, HKC 면역구 10.7, LPS 면역구 28.3 및 대조구 1.2로서, 1 주 후 각 면역구의 식균지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 항혈청의 항균작용은 FKC와 LPS 투여구에서만 나타나고, HKC 투여구에서는 세균 수의 감소를 볼 수 없었다. 그리고, 공격시험에서는 HKC, FKC 및 LPS 면역구의 RPS가 각각 10%, 20% 및 30% 이었으므로, 본 세균은 항원의 처리 방법에 따라 숙주의 방어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어류 병원성 세균 공격 후 마늘, Allium sativum 착즙액의 침지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 immersion on the immune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prechallenged with pathogenic bacteria)

  • 우승호;이준희;김이경;조미영;정승희;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9-20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마늘 착즙액이 어병세균으로 질병에 인위 감염시킨 넙치의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넙치를 어류 병원성 세균인 Streptococcus iniae BS10과 Edwardsiella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한 후 1일 뒤에 마늘 착즙액을 0.25, 0.5 및 1.0 g/L의 농도로 해수에 현탁하여 2일 간격으로 3회 침지하였다. 공격 주사한 넙치의 면역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체표 점액 lysozyme의 활성, 조직 내 균수의 변화, 혈액 내 세포수의 변화, SOD 활성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 iniae BS10으로 공격 주사 후 0.25와 0.5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lysozyme의 활성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고,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모든 침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lysozyme의 활성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조직 내 균수에 있어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세포 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S. iniae BS10으로 공격 주사 후 마늘 착즙액 0.25와 0.5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림프구와 호중구의 유의적인 증가와 함께 모든 시험구에서 호중구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0.25와 1.0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림프구의 유의적인 증가,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마늘 착즙액 0.25와 1.0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림프구의 유의적인 증가와 함께 모든 시험구에서 호중구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침지 시험구 시험어의 혈액, 신장 및 간에서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iniae BS10으로 공격 주사 후 침지 시험구에서 혈액과 신장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고,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침지 시험구에서 신장과 간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생존율 시험 결과, S. iniae BS10와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0.25 g/L 침지 시험구에서 모두 58% 의 상대생존율을 나타내어 마늘 착즙액 침지가 넙치의 방어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마늘 착즙액의 유효 성분이 건강한 넙치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린 넙치에 대해서도 면역증강제로서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