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NA stability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6초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산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Staphylococcus sp. CB2-3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 Protease Produced by Staphylococcus sp. CB2-3 from Digestive Organ of Harmonia axyridis)

  • 김세종;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2
    • /
    • 2011
  •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단백질 분해 우수세균 6균주를 분리하였다. 단백질 분해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taphylococcus sciuri subsp. sciuri (3균주), Bacillus subtilis (1균주), Bacillus thuringiensis (2균주)로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 중 pH 5.0 배지에서 58.5 U/ml의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Staphylococcus sp. CB2-3을 최종 선발하였다.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4.0-6.0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산성 단백질 분해효소임이 확인되었다. 효소의 최적 반응 온도는 $40^{\circ}C$ 이었으며, $30-50^{\circ}C$의 범위에서 80% 이상의 효소 활성을 유지하였다. Staphylococcus sp. CB2-3 균주의 생육과 효소 활성을 위한 최적의 배지성분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 0.5% 솔비톨을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2배로 증가되었으며, 질소원으로 0.5% 탈지유를 첨가한 경우 효소 활성이 2.5배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로는 KCl, $K_2HPO_4$, $FeSO_4$를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반면에 2가 금속이온인 $Co^{2+}$, $Zn^{2+}$, $Mn^{2+}$, $Cu^{2+}$를 첨가하였을 때는 균의 성장과 효소 활성이 심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로이드-가장 작은 식물병원체 (Viroid-the Smallest Plant Pathogen)

  • 이재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99-206
    • /
    • 1985
  • 바이로이드(viroid)는 그의 완전한 분자구조가 처음으로 밝혀진 식물병원체이며, coat-protein이 제거된 viral-RNA가 아닌 바이로이드로서의 독립적인 특성과 병원성을 가진 작은 크기의 병원체임이 밝혀짐으로써 미생물의 영역을 한 단계 넓혀서 생각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미생물 즉 곰팡이, 세균, 마이코플라스마, 바이러스들이 동물과 식물 및 인체에 병원체로서 작용하는데 바이로이드는 현재까지 고등식물에서만 발견되는 병원체이다. 다라서 바이로이드가 동물 및 인체에서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는 병의 병원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바이로이드는 작은 크기임에도 독자적인 자기증식을 하는 능력과 생존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분자구조 및 생물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며, 최근에 급속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분자생물학 및 유전공학적인 방법과 기술을 이용하여 Viroid의 여러 가지 성질과 생물학적인 위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연구가 계속되어 Viroid의 증식과 병원성에 대한 문제가 해결된다면, 바이로이드병의 예방이나 치료법이 확립된 것이며 또한 목적하는 유전자를 운반하는 Vector로 개발하여 생물공학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Growth Inhibitory Effect of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by Increasing DR3 Expression in Human Lung Cancer Cells

  • Lee, Ung-Soo;Ban, Jung Ok;Yeon, Eung Tae;Lee, Hee Pom;Udumula, Venkatareddy;Ham, Young Wan;Hong, Jin Ta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6호
    • /
    • pp.538-543
    • /
    • 2012
  • The Maillard Reaction Products (MRPs) are chemical compounds which have been known to be effective in chemoprevention. Death receptors (DR) play a central role in directing apoptosis in several cancer cells. In our previous study, we demonstrated that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a MRP product, inhibited human colon cancer cell growth by inducing apoptosis via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inactivation and $G_2$/M phase cell cycle arrest. In this study,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a new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erivative, was synthesized to improve their solubility and stability in water and then evaluated against NCI-H460 and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reduced the viability in both cell line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found that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the up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death receptor (DR)-3 and DR6 in both lung cancer cell lines. In addition to this, the transfection of DR3 siRNA diminished the growth inhibitory and apoptosis inducing effect of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on lung cancer cells, however these effects of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was not changed by DR6 siRN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2,4-bis(p-hydroxyphenyl)-2-butenal diacetate inhibits human lung cancer cell growth via increasing apoptotic cell death by up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DR3.

자궁근종세포의 최적 초기배양 조건 확립 - 정상 자궁근세포와 자궁근종세포의 스테로이드에 대한 반응 (Development of a Primary Tissue Culture Method having Greater Reliability than Isolated Cell Cultures - Steroid-Responsiveness of Uterine Myometrial and Myomatous(Leiomyomatous) Cells)

  • 이은주;프라티 바즈라촤리여;현진희;김항진;송건호;조경현;이동목;이택후;전상식;최인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05-217
    • /
    • 2007
  • 본 연구는 자궁근종 성장에 관한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의 이해를 위해 자궁근종 및 정상 자궁근세포의 초기 배양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두 가지 세포 배양 방법이 확립되었다. 그리고 안정적으로 연구(특히, 여성호르몬에 대한 반응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세포 배양 방법이 모색되었다. 두 가지 세포 배양 조건 중 두 번째 방법(method 2)이 안정적으로 세포의 반응을 연구하는데 더 나은 방법으로 결론 내려졌고, 여성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더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방법을 통해 배양된 세포에 $E_2$를 처리했을 때 정상 자궁근세포에 비해 근종세포에서 PR, IGF-1 and IGF-1 receptor mRNA의 발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주변에 있는 세포들보다는 조직에서 좀 더 큰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E_2$에 대한 세포의 반응에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근종세포 및 조직의 초기 배양 방법은 in vitro 상에서 종양 발생에 대한 기초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Weissella confusa 균주와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issella confusa strain having gluten degradation activity from salted seafood)

  • 윤종영;황권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83-889
    • /
    • 2016
  • 본 실험에서는 발효식품 중 하나인 젓갈로부터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유산균은 선별하여 API 당 발효성과 16S rRNA를 분석한 결과 Weissella confusa로 동정되었다. 1% 글루텐이 함유된 MRS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글루텐에 의한 탁도가 감소되는 것 을 확인하였고,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반죽의 발효에서 대수증식기 직후인 24시간째의 배양 상등액이 글루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발효의 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 후 36시간이나 48시간의 배양 상등액을 이용하는 것은 생균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사멸기에 접어들어 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발효 효율도 높지 않았다.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W. confusa의 열에 대한 안정성 및 산과 담즙에 대한 내성을 확인해본 결과 $40^{\circ}C$까지는 열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pH 3에서도 89%의 생존율을 나타내므로 위액에 의해 죽지 않고 위 장관까지 생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0.6% oxgall에서도 73%의 내성을 유지하므로 담즙액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고 판단되고, 이 결과로 W. confusa는 프로바이오틱스 및 발효식품으로 개발 시 체내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8종의 병원성균들에 대한 저항성 실험을 통해 S. aureus를 제외한 나머지 그람 음성과 양성균의 생육을 저지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W. confusa 을 이용하여 밀가루를 발효하여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발효 식품 및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생균으로 섭취 시 장 내의 글루텐 분해에 의한 셀리악 질병 및 글루텐 알레르기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이고 항균활성으로 인한 내장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키토산 코팅 처리 Solid Lipid Nano-particle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Chitosan Coated Solid Lipid Nano-particles Containing 7-Dehydrocholesterol)

  • 이근수;김태훈;이천일;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6
    • /
    • 2005
  • 불안정한 생리활성물질들은 외부 환경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캡슐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 $D_3$의 전구체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HC)은 일반인의 표피 각화세포에서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발현을 단백질과 mRNA의 수준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7-DHC의 국소용 피부 제제로의 이용은 낮은 용해도와 화학적 불안정성 때문에 이용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 7-DHC는 나노에멀젼(NE), 고형 지질 나노 입자 (SLN) 그리고 키토산이 코팅된 고형 지질 나노 입자(CASLN)에 봉입하였다. NE와 SLN은 지질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의 호모제나이져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CASLN은 SLN 분산액에 키토산을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양(+)의 제타전위를 나타내었다. NE, SLN, CASLN 속에서 7-DHC의 안정도를 각각의 온도조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인하였다. 열분석과 X선 회절 분석은 지질의 결정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 CASLN은 기존의 SLN보다 불안정한 7-DHC를 효과적으로 봉입함으로서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Inflammatory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Curing Light Irradiation on Raw264.7 Macrophage

  • Jeong, Moon-Jin;Kil, Ki-Sung;Lee, Myoung-Hwa;Lee, Seung-Yeon;Lee, Hye-Jin;Lim, Do-Seon;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140
    • /
    • 2019
  • Background: The light-emitting diode (LED) curing light used is presumed to be safe. However, the scientific basis for this is unclear, and the safety of LED curing light is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D curing light irradi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pplied for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in dental clinic on the cell viability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264.7 macrophages and to confirm the stability of LED curing light. Methods: Cell viability and cell morphology of Raw264.7 macrophages treated with 100 ng/ml of lipopolysaccharide (LPS) or/and LED cur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440~490 nm for 20 seconds were confirmed by methylthiazoly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microscopic observati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was confirmed by NO assay and $PGE_2$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total RNA and protein was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LED curing light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and morphology of normal Raw264.7 cells but affected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d cytotoxicity in the inflammation-induced Raw264.7 cells by LPS. The irradiation of the LED curing light did not progress to the inflammatory state in the inflammation-induced Raw264.7 macrophage. However, LED curing light irradiation in normal Raw264.7 cells induced an increase in NO and $PGE_2$ production an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L)-1{\beta}$ and $(TNF)-{\alpha}$, indicating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inflammatory state. Conclusion: The irradiation of LED curing light in RAW264.7 macrophage may induce an excessive inflammatory reaction and damage oral t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long-term irradiation which is inappropriate when applying LED curing light in a dental clinic.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Subtilosin A Produced by Bacillus vallismortis MCBL 1012 Isolated from Seasoned Dried Radish

  • Se-Yeon Lee;Dae-Ook Kang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76-58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을 선별하기 위해 발효식품에서 다양한 세균을 분리하였다.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한 분리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여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을 통해 Bacillus vallismortis로 동정하고 B. vallismortis MCBL 1012로 명명하였다. B. vallismortis MCBL 1012의 배양 상등액은 주로 그람 양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SEM 사진에 의하면 지시균에 박테리오신을 처리하면 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 Enterococcus faecium KCCM 12118 및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의 세포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CR 분석 결과 B. vallismortis MCBL 1012에는 subtilosin A 유전자(sbo A)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 활성은 proteinase K, subtilisin A 및 α-chymotrypsin에 의해 감소되었다. 박테리오신 활성은 40℃와 60℃에서 120분 동안, 80℃에서는 60분 동안 유지했으나 100℃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항균활성은 pH 4.0-8.0 범위에서 온전히 유지되었다. 항균활성은 에탄올,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유기용매 100%까지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이소프로판올 40%, 아세톤 80%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시험한 대부분의 무기염 및 세제는 시험 농도의 CuSO4 및 NiSO4를 제외하고 항균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박테리오신은 L. monocytogenes KCCM 40307에 대한 살균작용을 통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오신은 황산암모늄 농축, DEAE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RP-HPLC등을 통해 정제하였다. 정제 결과 최종 수율은 0.03%, 비활성은 283.7배 증가하였다. MALDI-TOF MS 분석을 통해 정제된 박테리오신의 정확한 분자량은 3,326.1 Da로 측정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Endochitosanases-Producing Bacillus cereus P16

  • Jo, Yu-Young;Jo, Kyu-Jong;Jin, Yu-Lan;Jung, Woo-Jin;Kuk, Ju-Hee;Kim, Kil-Yong;Kim, Tae-Hwan;Park, Ro-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6호
    • /
    • pp.960-968
    • /
    • 2003
  • A bacterial isolate showing a strong endochitosanase activity was isolated from soil and then characterized. The isolate was identified and designated as Bacillus cereus P16, based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ssimilation tests, cellular fatty acids pattern, along with 16S rRNA gene sequence. The optimized medium for producing extracellular chitosanase in a batch culture contained 1% tryptone, 0.5% chitosan, and 1% NaCl (pH 7.0). Powder chitosan and tryptone served the best a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pectively, for the chitosanase production. Chitosanase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culture was completed at $37^{\circ}C$ among various temperatures ($20-42^{\circ}C$) tested in a shaking incubator (200 rpm). The levels of chitosanase activity in the culture fluid were 2.0 U/ml and 3.8 U/ml, respectively, when incubated in a flask for 60 h and in a jar fermenter for 24 h. The culture supernatant showed a strong liquefying activity on the soluble chitosan. The viscosity of 1% chitosan solution, that was incubated with the culture supernatant, was rapidly decreased, suggesting the secretion of endochitosanolytic enzymes by P16. The culture fluid revealed six endo-type chitosanase isozymes, two major (38 and 45 kD), and four minor (54, 65, 82, and 96 kD) forms by staining profile. The crude enzymes were very stable, and full activity was maintained for 4 weeks at $4^{\circ}C\;or\;-20^{\circ}C$ in the culture supernatant, suggesting a highly desirable stability rate for making an industrial application of the crude enzymes. The supernatant also cleaved the insoluble chitosan powder, but the hydrolysis rate was much lower. The enzymic degradation products of chitosan contained $(GlcN)_n$ (n=2-8).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in the reaction mixture of the crude enzyme affected the chitooligosaccharides composition of the hydrolysis products. Whe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hitosan was used, the higher degree of polymerized chitooligosaccharides were produced. By comparison with other commercial chitosanase preparations, P16 was indeed found to be a valuable enzyme source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chitooligosaccharides from chitosan.

Reference Gene Screening for Analyzing Gene Expression Across Goat Tissue

  • Zhanga, Yu;Zhang, Xiao-Dong;Liu, Xing;Li, Yun-Sheng;Ding, Jian-Ping;Zhang, Xiao-Rong;Zhang, Yun-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1665-1671
    • /
    • 2013
  • Real-time quantitative PCR (qRT-PCR) is one of the important methods for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mRNA expression levels in cells and tissues. Selection of the proper reference genes is very important when calibrating the results of real-time quantitative PCR. Studies on the selection of reference genes in goat tissues are limited, despite the economic importance of their meat and dairy products. We used real-time quantitative PCR to detect the expression levels of eight reference gene candidates (18S, TBP, HMBS, YWHAZ, ACTB, HPRT1, GAPDH and EEF1A2) in ten tissues types sourced from Boer goats. The optimal reference gene combination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determined by geNorm, NormFinder and Bestkeeper software packages. The analyses showed that tissue is an important variability factor in genes expression stability. When all tissues were considered, 18S, TBP and HMBS is the optimal reference combination for calibrating quantitative PC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from goat tissues. Dividing data set by tissues, ACTB was the most stable in stomach, small intestine and ovary, 18S in heart and spleen, HMBS in uterus and lung, TBP in liver, HPRT1 in kidney and GAPDH in muscle. Overall, this study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goat reference genes that can be used in order to perform a proper normalisation when relative quantification by qRT-PCR studies is underta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