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RING

검색결과 1,925건 처리시간 0.033초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및 인지된 부모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 on adolescents' depression: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심정연;윤경자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5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dolescen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parenting rearing styles,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n adolescents' depression. The resilience as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rearing styles and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was examined as well. Method: The data were from 2,108 middle school freshmen panel of a national sample at the forth year,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es, steps for testing mediation by Baron and Kenny, were conducted. Results: Adolescents' resilience had both direct and mediating significant effects, showing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affective parental rearing style and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respectively. Life satisfac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adolescents' depression. Conclusions: While some parental rearing styles were significant, adolescents' personal properties including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revealed the most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adolescent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lessening adolescents' depression.

Research trends over 10 years (2010-2021) in infant and toddler rearing behavior by family caregivers in South Korea: text network and topic modeling

  • In-Hye Song;Kyung-Ah Ka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82-19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infant and toddler rearing behavior among family caregivers over a 10-year period (2010-2021). Methods: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employed on data collected from relevant papers, following the extraction and refinement of semantic morphemes. A semantic-centered network was constructed by extracting words from 2,613 English-language abstrac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etMiner 4.5.0. Results: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all revealed the terms ''scale," ''program," and ''education" among the top 10 keywords associated with infant and toddler rearing behaviors among family caregivers.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through cohesion analysis. Additionally,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topic groups using topic modeling: "program and evaluation" (64.37%) and "caregivers' role and competency in child development" (35.63%). Conclusi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family caregiver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Intervention programs and evaluat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rearing behaviors. Future research should determine the role of nurses in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Additionally, it shoul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positive rearing practices.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맹장내의 혐기성 미생물수와 맹장 길이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ecal Anaerobic Bacterial Counts with Cecal Length in Growing Chicks)

  • Son, J.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5-258
    • /
    • 2002
  • 본 연구는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맹장내 혐기성 미생물수와 맹장의 길이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5주령의 160수의 닭을 80수씩 분리하여 케이지내 사육 (대조구)및 염소 방목장내 염소와 같이 사육 (처리구)의 2처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시험기간동안의 사료는 닭의 성장단계에 적합한 시판의 사료를 기초사료로 활용하였다. 시험기간 (5∼8주형)까지의 증체량은 8주령 에서는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놀았으며(P<0.05), 12주령에서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도 유의하게 높았다(p<0.05). 맹장의 길이는 6, 9, 10 및 11주령에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P<0.05). 맹장내 총 혐기성미생물수도 6, 9, 10 빛 11주령에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5). 대조구 및 처리구 함께 맹장의 길이와 증체량간에는 r= 0.816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맹장의 길이와 맹장내 혐기성 미생물 수는 대조구 및 처리구 함께 r=0.95이상의 높은 상관 관계가 인정되었다(P<0.01). 결론적으로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섬유소 함량이 높은 염소의 배설물 섭취 등의 영향에 따른 맹장내 혐기성 미생물 수의 증가가 맹장의 길이 증가에 관계되어진다.

지역중심 가정양육지원사업의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 진주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Locally Oriented Family Nurturing Support Projects: with a Focus on the Operational Cases of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of Jinju City)

  • 김은주;연희정;이영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09-23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중심 가정양육지원사업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기존에 이루어진 정부차원의 양육지원정책은 각 가정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 어려우며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다양한 양육지원정책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진주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운영 사례에 주목하였다. 지역중심 가정양육지원사업의 운영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주시 가정양육지원사업과 관련된 문헌자료의 수집, 업무 담당자 및 참여자 면담, 참여관찰을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중심 가정양육지원사업의 운영실태를 통해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보육공공성의 실현, 사업의 일관된 방향성, 지역사회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지원네트워크 형성이라는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정착과 운영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지역중심 가정양육지원사업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융복합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위한 비고츠키의 사회적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부모양육행동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Based on Vygotsky's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for Developing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 차현주;조희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53-464
    • /
    • 2016
  •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부모양육행동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시도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부모양육행동과 비고츠키의 사회구성주의적 아동발달 관점에서의 양육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접발달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사회구성주의적 부모양육행동을 분석하여 양육행동의 핵심요인으로 비고츠키 이론의 핵심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고츠키 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요인을 추출한 후 비고츠키 이론에 관한 전문가 3명의 타당화 작업을 통하여 내용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요인 둘째, 사회적 구성행동에서의 내면화 강조 요인 셋째, 근접발달영역에서의 잠재성 계발 요인 넷째, 중재적 매개체로서의 교육적 대화 요인 다섯째, 스캐폴딩(scaffolding)으로서의 조력설정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양육행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사회구성주의적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는데 새로운 시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큰 의의를 갖는다.

부산지역 보건소 방문 영유아의 성장단계별 육아실태 및 육아교육 효과 (The Status of Child Rearing and the Effect on Education for Child Rearing of Public Health Center, Busan)

  • 함영희;김희영;이명진;강지혜;손혜숙;박인숙;김윤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3호
    • /
    • pp.255-262
    • /
    • 2006
  • 영유아의 중요한 양육 항목의 올바른 실천율이 전체 항목의 약 60-70%에 불과하였고,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겸하여 실시한 양육교육으로는 적극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어 교육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의 월령이 증가할수록 교육효과가 낮아 졌다. 전반적인 올바른 양육실천 정도를 높이고, 영유아의 월령 증가하더라도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관심을 지속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접근법을 모색하여 수행할 것을 제안하며, 수행되는 교육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본 프로그램을 개선 발전시킨다면 부산지역 영유아의 올바른 양육 실천율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부모역할 만족도 및 배우자의 부모역할 지지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녀양육 행동 간의 관계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and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 이진선;정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5-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321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mothers. A revised version of the Mother-Father Peer Scale (MFPS; Epstein, 1983)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child experiences. To measure parental satisfaction, the Parent Satisfaction Scale (PSS; Duke, Rose, & Halverson, 1997) was revised and used. A modified version of the Teamwork of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PAI; Abidin, 1988) was used to assess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hild-rearing Behaviors Questionaire (Park, 1995)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child-rearing practic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their fa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their fathers.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from their own mo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of their children but less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and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when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from their own mothers. The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acceptance from their own mo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of their children but less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when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acceptance from their own mothers. 2) Mothers who had a greater degree of satisfaction as a parent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but less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had a lesser degree of satisfaction in parenting. 3)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showed more warmth/acceptance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spousal support.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s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use of Latent Growth Model-

  • Ju, Sun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89-19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 during adolescence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adolescents' gender role strerotyp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nd condition variables. For this purpose, used the Second Grade longitudianl Panel data of Middle School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ay(KYPS). An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3,449 men and women adolescents' cases of the first, the fourth and the sixth wave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dministered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self-esteem mediates parental rearing behavior and male and female gender role Strero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 effect between variable factors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arenting behavior of the second grader of middle school is, the more positive the self-esteem of male adolescents and the initial value of stereotypes of male gender role. It also affects the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 and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le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decreased in influence by the rate of chang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to the mal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self-estee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and initial stereotype of male gender role, but there was no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and there was no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The effect of condition variable gender was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are more affected by paretal rearing behavior than male adolescents and also affected by the growth process. Th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showed a difference in parental rearing behavior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the higher the mother 's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 self-esteem of male adolescents was affected.

사회공포증과 관련된 양육태도검사의 개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REARING INVENTORY FOR SOCIAL PHOBIA)

  • 오강섭;이시형;허묘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98-208
    • /
    • 1998
  • 본 연구는 사회공포증의 원인과 관련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고, 서울의 2개 인문계고등학교에서 표집한 392명을 대상으로 이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부모양육태도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서, 아버지의 양육태도 척도는 거부, 높은기대, 불안, 통제, 감정적 지지, 과잉타인의견염려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60문항이 선택되었다. 척도들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로 .76에서 .90으로서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척도는 요인분석결과 불안, 높은기대, 거부, 감정적지지, 과잉타인의견염려의 5개요인, 전체 61문항이 추출되었다. 척도들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로 .72에서 .91로서 역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 PDF

유기성슬러지 먹이공급에 따른 붉은줄지렁이 사육상의 pH, EC, 수용성 이온 농도변화 (Chages in pH, EC and Water Soluble Ions in the Rearing Beds of Eisenia andrei (Ennelida; Oligochaeta)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Sludges Supplied to the Earthworm Populations)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3호
    • /
    • pp.79-89
    • /
    • 2017
  • 경기도 포천시 관내 하수 및 인분 처리장들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지렁이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지렁이 사육상의 수용성 양이온, 음이온 농도 및 pH, 전기전도도 등의 이화학 성상 변화를 추적하였다. 먹이로 공급된 슬러지의 pH, 전기전도도, 유기물 함량 및 함수율은 지렁이의 단기적 섭식이 가능한 범위였으나, 슬러지의 공급량이 늘어감에 따라 섭식속도가 느려지고 결국 지렁이 사멸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슬러지 공급량이 늘어감에 따라 지렁이 사육상이 산성화되었고,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염류집적 현상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동시에 사육상의 수용성 음이온 및 양이온 농도가 높아졌다. 특히 수용성 이온 중 ${NO_3}^-$의 농도 집적이 두드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