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A의 도입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4초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의 발생생태 (Ecology of Marssonina Blotch Caused by Diplocarpon mali on Apple Tree in Kyungpook, Korea)

  • 김동아;이순원;이준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84-95
    • /
    • 1998
  •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초래했던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은 후지 등의 새로운 사과 품종 도입과 농약의 개발로 크게 문제되지 않았으나, 최근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후지 등의 신품종에도 발병되기 시작하여 농약 관행방제 과수원에서도 조기낙엽 등의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경북지역 사과주산지를 중심으로 갈색무늬병의 발생상황과 포자비산상황 등 발생생태와 기상, 재배품종, 재배관리 및 방제방법 등에 따른 갈색무늬병의 다발생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갈색무늬병은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이후 대부분의 과수원에서 발생하였고, 9월이후에는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은 해에 발생이 많았다. 병원균의 포자비산은 5월부터 시작되어 10월까지 계속되었고, 8월에 최고의 peak를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8~9월에 전체 포자비산량의 70% 이상이 비산되었는데 강우가 많을 때 비산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지역에 있어서 북부 산간지역인 영주, 청송, 안동에서 대체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많았고, 남부지역인 군위와 영천에서는 상대적으로 발병이 낮았다. 재배품종별로는 홍옥에서 발생이 가장 많았고, 조나골드과 세계일은 중간 정도이며, 다음으로 주품종인 후지, 쓰가루 순이었다. 갈색무늬병은 관수와 배수가 불량하고 밀식으로 투광,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시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재배관리상태가 나쁜 과수원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방제에 있어서는 약제살포량이 적고, 약제살포간격이 길어 방제가 소홀한 과수원에서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그냉방 온실에서 측창개폐수준이 온습도 제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pen Level of the Side Window on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Fog Cooling Greenhouse)

  • 김영복;성현수;윤남규;이시영;황승재;김현태;이장평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65-278
    • /
    • 2011
  • 하절기 온실 내 온도와 상대습도를 동시에 제어할 목적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한 이류체 분무 포그 냉방을 도입한 유리온실에서 측창의 개폐수준이 온실내의 온도와 상대습도 제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제어과정은 온실 환경변수들을 측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온실 내 수분평형방정식과 열평형방정식을 정립한 다음, 이 방정식들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하여 각 사이클의 천창 개폐량과 포그 분무량을 결정하고 제어하였다. 온실의 온습도 제어목표는 온도와 습도를 각각 28, 75%로 설정하였고, 실험은 측창이 전혀 열리지 않은 0%, 50% 열린 경우, 100% 열린 경우 세 가지 모드를 비교분석하였다. 제어실험결과 온실 내 건구온도의 평균은 모드에 따라 각각 28.2, 27.2 $26.3^{\circ}C$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0.4{\sim}0.8^{\circ}C$이었다. 상대습도는 측창을 완전히 닫은 모드인 0%의 경우 평균 76.3% 정도로서 목표 상대습도인 75%에 상당히 근접해서 제어되고 있었으며, 표준편차가 2.1%로서 다른 모드에 비해 상당히 안정된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0%의 모드에서 가장 목표온도로 잘 제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이용한 벼의 형질전환 효율의 검토 및 내한성 관련 GPAT (glycerol-3-phosphate acyltransferase) 유전자의 형질전환 (Investigation of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Rice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High Transformation of GPAT (glycerol-3-phosphate acyltransferase) Gene Relative to Chilling Tolerance)

  • 서미숙;배창휴;최대옥;임성렬;서석철;송필순;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85-92
    • /
    • 2002
  • Agrobacterium을 이용한 벼의 효율적인 형질전환을 위하여 몇 가지 형질전환 조건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최적의 형질전환 방법을 이용하여 내한성에 관련된 GPAT 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 조건은 GUS 발현을 통하여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벼 (Oryza sativa L. cv. Dongjin)의 성숙 종자 유래 캘러스를 3일간 전배양한 후 Agrobacterium을 접종하였다. 접종이 끝난 캘러스는 50mg/L CaCl$_2$, 30mg/L acetosyringone, 2 mg/L 2,4-D, 120 mg/L betaine이 첨가된 공동배양 배지 위에서 암조건으로 10일간 공동배양하여 높은 GUS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GPAT 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한 결과 54%의 높은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 식물체를 southern 분석한 결과 wild type 식물체에서는 GPAT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에서는 GPAT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또한 GPAT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5 계통의 T1 세대에서 hygromycin에 대한 저항성과 감수성의 유전비율이 3 : 1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서 검토된 고빈도의 형질전환 시스템은 단자엽식물의 형질전환에 있어서 모델계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Oligopeptide transporter 관여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벼의 고온스트레스 내성 증진 (Overexpression of an oligopeptide transporter gene enhances heat tolerance in transgenic rice)

  • 정은주;송재영;유달아;김미선;정유진;강권규;박수철;조용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96-302
    • /
    • 2017
  • 지구온난화로 인해 온도 상승에 따른 고온 스트레스는 전세계 많은 지역에서 농업적으로 문제가 되어 세계 3대 곡물인 벼의 생산에 피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식물은 생장하면서 다양한 환경스트레스에 노출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작물의 생장, 발달, 수확량 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벼의 안정적인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벼 유래 OsOPT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후대에서 고온 조건하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계통을 선발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OsOPT10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 벼를 이용하여 고온 처리에 따른 저항성 계통을 선발하고, 선발된 계통의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자적 특성을 qRT-PCR을 통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막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해질 누출(electrolyte leakage), 삼투조절제 역할을 하는 수용성 당 및 proline 함량 분석을 하여 대조구와 비교분석 하였다. 본 실험에서 고온 처리에 의한 가용성 당 함량의 변화는 OsOPT10-16 형질전환 벼를 제외하고 OsOPT10-1와 OsOPT10-7 계통이 WT 보다 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모품종 동진에 비해 형질전환 벼 계통의 EL 값이 낮게 나타난 것과 가용성 당 함량이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OsOPT10 형질전환 벼가 고온 스트레스에서 저항성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하였다.

Agrobacterium법에 의한 Panicum속 식물들의 효과적인 형질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Efficient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anicum spp.)

  • 서미숙;다카하라 마나부;다카미조 타다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11
  • 난지형 사료작물들의 신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형질전환기법에 의한 유용 유전자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기니아그라스를 포함하여 높은 조직배양 능력을 가진 3종의 Panicum속 식물을 대상으로 Agrobacterium법을 통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였다. P. meyerianum의 성숙종자 유래 캘러스를 이용하여 acetosyringone과 betaine이 Agrobacterium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GUS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acetosyringone 10 mg/L와 betaine 60 mg/L를 첨가하였을 때 높은 GUS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최적의 형질전환조건을 이용하여 기니아그라스 2품종의 미성숙 배 유래 캘러스와 P. longijubatum, P. stapfianum의 성숙종자 유래 캘러스에 각각 형질전환을 시도한 결과, 모든 캘러스에서 높은 GUS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hygro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저항성을 나타내는 캘러스를 대상으로 GFP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안정적으로 세포 내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ygro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내성을 나타낸 P. meyerianum 캘러스는 유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형질전환체를 대상으로 PC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발현벡터 T-DNA 영역의 hpt 유전자가 형질전환체의 genome내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품 안전성과 환경보존을 위한 농약 잔류성 평가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 for food safety and environment protection)

  • 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11
    • /
    • 2000
  • 지난 반세기 이상 작물보호제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던 화학농약은 사용 후 식물과 환경구성 요소 중에 남게 되는 잔류성 문제로 일반사회의 지대한 관심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 각 국이 국가차원의 규제로써 등록시 안전성 요구자료를 강화하고 있고 일단 등록된 농약이라 할지라도 주기적으로 안전성은 다시 평가하는 재등록제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구환경보호 차원에서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POPs), 내분비계 장애물질 (EDs)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국가차원에서 우리 먹거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환경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조사사업과 정책 등이 수립 시행되고 있다. 이들 조사결과에 대하여 과학적인 평가와 진단 그리고 대책들은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하기 위하여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동부류 근류균(根瘤菌)의 땅콩에 대한 근류형성(根瘤形成)과 질소고정(窒素固定) (Nodulation and Fixation in Groundnut by Cowpea Bradyrhizobia)

  • 김무기;박건호;소재돈;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8
    • /
    • 1992
  • 국내에서 분리(分離)된 73개의 땅콩 근류균(根瘤菌)과 31개의 도입된 Cowpea 근류균(根瘤菌)의 국내 땅콩 장려 품종(品種)에 대한 접종효과를 온실실험으로 조사하였던바 근류형성(根瘤形成)과 건물생산량 및 총(總) 질소함량(窒素含量)에서 다양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총(總) 건물생산량과 총(總) 질소함량(質素含量)의 서열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조사된 균주중(菌株中)에서 51.9%, 26.4%, 21.7%가 각각 우량균주(優良菌株), 보통균주(普通菌株), 및 불량균주(不良菌株)로 나타났으며, JB7을 포함한 6개 균주가 가장 우수했다. 조사된 균주(菌株)는 YMA배지상에서의 생장특성에 따라 5개의 군(群)으로 분리되었다.

  • PDF

시토신 탈메틸화 관련 NtROS2a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벼의 건조스트레스 내성 증진 (Overexpression of NtROS2a gene encoding cytosine DNA demethylation enhances drought tolerance in transgenic rice)

  • 최장선;이인혜;조용구;정유진;강권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76-382
    • /
    • 2016
  • DNA methylation은 무수히 많이 발생하는 생리적 및 병리적 측면의 과정에서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tROS2a가 과발현된 형질전환 벼를 육성하고, 그들의 형태적 측면을 관찰하고 스트레스 내성을 검토하였다. 형질전환 식물체는 WT에 비하여 신초의 신장이 작게 나타났다. 저온 스트레스 처리 하에서 NtROS2a 형질전환 벼는 스트레스로 인한 생육 불량을 보였으나 건조 스트레스 처리 하에서는 WT보다는 높은 비율로 회복하여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NtROS2a 유전자의 과발현으로 인해 벼가 건조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내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형질전환체 벼에서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Gene in Transgenic Rice Plants)

  • Lee, Soo-In;Lee, Sung-H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68-373
    • /
    • 2004
  • 광범위 제초제인 Bast $a^{(R)}$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는 형질전환체 벼를 개발하였다. Bar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pCaMV35S::Bar를 embryogenic 현탁 배양체로부터 분리한 벼의 원형질체에 도입하였다. Phosphinotricin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는 형질전환체 식물체들이 재분화되었고, 이들을 15 mg/l phosphinotricin이 함유한 배지에서 다시 선별하였다. 형질전환체 벼에서 bar유전자의 삽입과 발현을 Southern과 Northern blot분석으로 확인하였고, 또한 $R_1$ 형질전환 식물체들을 PAT 활성 assay로 재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Bar 유전자는 다음 세대인 $R_1$ 식물체에서 3:1 멘델 유전 양상을 나타내었고, 형질전환체 $R_1$$R_2$ 식물체들은 fieild에서 살포되는 제초제 양만큼 Bast $a^{(R)}$ 를 살포했을 때 제초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해충저항성 GM감자와 non-GM감자의 Housekeeping gene 발현 분석 (Analysis of Housekeeping Genes in Mice Feeding on GM and non-GM Potatoes)

  • 권미애;허진철;조현석;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2-567
    • /
    • 2008
  • GM 및 non-GM 감자의 인체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인터루킨과 housekeeping gene의 발현을 RT-PCR로 비교 분석하였다. 유전자변형 감자의 잎과 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발현되는 housekeeping gene의 발현을 수행한 결과, APRT, $\beta$-tubulin, Actin, Hsp 20.2, Cyclophilin, 18S RNA and Efla, and Tbp, GAPDH, $\beta$-actin, Tuba2, Hprt, Cyclophlin A, Tfrc, and RPL13A의 발현에는 유전자 변형 감자와 그렇지 않은 감자와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GM작물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많은 표본을 가지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의 향후 연구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