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C보 단면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고강도 재료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모멘트-곡률관계 및 곡률연성지수 평가 (Evaluation on Moment-Curvature Relations and Curvature Ductility Fact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High Strength Materials)

  • 이형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83-294
    • /
    • 2013
  • 콘크리트 및 철근의 강도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 및 연성에 많은 영향을 주며, 설계기준에서는 항복강도가 600 MPa인 고강도 철근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가 RC부재의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고강도 철근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한 직사각형 단면 RC 보 단면의 모멘트-곡률 관계를 해석적 방법으로 구하여 다양한 철근 배치 조건하에서 콘크리트 및 철근의 강도가 부재의 휨거동 및 곡률연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재의 철근 배치조건에 따라 콘크리트와 철근의 강도가 부재의 휨거동 및 연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공칭모멘트가 동일한 단면에서는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 MPa에서 600 MPa로 증가하면 연성지수는 30% 이상 감소하고,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30 MPa에서 70 MPa로 증가하면 연성지수는 약 3배 증가하였다.

SRC기둥-RC보 강축 접합부 상세의 구조성능 평가 (Cyclic Lond Testing for Strong Axis Joints Connected with SRC Column and RC Beams)

  • 문정호;이강민;임재형;오경환;김성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01-409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SRC 기둥-RC 보 강축 방향 접합부의 구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현장 조사 및 기존 연구 자료를 기초로 접합부 상세를 분류하였고,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하중-변위 이력 및 최대 내력 도달 이후의 내력 저하 등에 대한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넓은 보 단면 (RCW-P, RCW-W, RCW-F) 및 T형 보 단면 (RCT-W) 실험체들이 H형강 브라켓 부착형 실험체(HBR-L, HBR-S)에 비해 대체로 우수한 구조적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설계 내력을 상회하는 내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적용하여도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T형 보 단면 (RCT-W)을 갖는 실험체가 최대 내력 및 최대 내력 도달 이후 강도 저하 등 전반적으로 다른 접합 형태를 갖는 실험체에 비해 우수한 구조 성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H형강 브라켓 부착형 실험체들 (HBR-L, HBR-S)은 설계 내력에 미치지 못한 최대 내력을 보여 주었고 최대 내력 도달 이후 급격한 하중 저하를 나타내며 취성적인 거동을 보였다.

SHCC와 특수 보강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 실험 (Flexural Experiments on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SHCC and Special Reinforcements)

  • 현창진;서지석;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46-53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 SHCC와 함께 일반 철근, 초고강도 철근, FRP 보강근으로 보강된 3종류의 철근콘크리트 보(SHCC-RB, SHCC-SB, SHCC-FRP)의 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 실험체를 제작하고, 4점 재하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SHCC로 보강된 모든 실험체가 다수의 미세 균열이 발생하면서 휨 균열 폭이 100 ㎛ 이하로 제어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1축 인장 하에서 인장변형경화 특성을 보이며, 다중 미세균열 특성을 보이는 SHCC의 재료적 성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체 SHCC-FRP는 실험체 SHCC-RB에 비하여 초기균열하중과 항복 휨모멘트강도가 낮은 반면, SHCC-FRP의 최대 휨모멘트강도는 SHCC-RC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FRP 보강근의 인장강도가 일반 철근에 비하여 더 높기 때문이다. 보 실험체 SHCC-SB의 초기균열 하중은 SHCC-RB와 유사하였으나, 항복 휨모멘트강도 및 최대 휨모멘트강도 측면에서는 SHCC-SB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SHCC와 초고강도 철근을 RC보의 보강에 활용하면 작은 단면적의 추가 배근으로도 효과적인 보강이 가능할 수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