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D Markers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5초

해조류로부터 Arbitrary 및 ITS Primer들을 사용한 직접 PCR 유전자 증폭반응의 한계 (Limits of Direct PCR Amplification from Seaweeds Using Arbitrary and ITS Primers)

  • 김용국;진형주;박선미;진덕희;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1
    • /
    • 1999
  • PCR 기법을 응용한 RAPD 방법은 대상 생물의 유전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도 arbitrary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생물 종간의 유전적 표식자를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하고 유익한 유전분석 방법이다. 이같은 RAPD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방사무늬 김, 미역, 구멍갈파래에 대하여 DNA를 추출하지 않고 직접 생 엽체 및 생 사상체, 생 배우체를 PCR template로 사용하여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specific primer를 이용한 nulear r DNA의 internal trancribed spacer (ITS) 부위는 생성물을 만들지 못하였다. 간편한 LiCl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DNA를 사용하였을 때는 IST 및 RAPD 모두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방사무늬 김의 엽체 (haploid)와 사상체 (dip-loid)로 부터의 ITS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RAPD 생성물은 사용한 arbitrary primer에 따라 36-50$\%$의 다른 band가 만들어졌다. 또한 직접 생 조직을 사용하였을때와 추출 DNA를 사용하였을 때도 53-57$\%$의 다른 band가 만들어 줬다. 그러므로 RAPD 방법으로 유전분석 실험에는 동일한 ploidy의 조직을 template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RAPD를 이용한 고추냉이의 유연관계 분석 (Intraspecific Genetic Relation of Wasabia japonica Matsum. Based on RAPD Analysis)

  • 허수정;권순배;변학수;서정식;유기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5
    • /
    • 2004
  • 국내에서 육성 또는 외국에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는 고추냉이 (Wasabia japonica Matsum.) 7품종의 10개체와 울릉도 자생 1개체, 총 11개체에 대한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RAPD분석에 사용한 random primer는 총 50종류였으며 screen 결과 21종류만이 11품종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다. 21종류의 primer로부터 관찰된 밴드는 총 144개였으며 이중 다형화 (polymorphism)를 보이는 앤드는 68개 (47.2%)로 primer 한 개당 평균 3.2개의 다형화 밴드를 보였다. Primer별 밴드의 수는 $2{\sim}13$개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평균 밴드의 수는 6.8개였다. 유집분석 결과 phenogram은 유사도지수 $0.81{\sim}0.96$의 높은 범위 내에서 11개체들이 단계통군으로 유집되었으나 품종내 개체간에는 뚜렷하게 유집되지 않았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개체의 경우는Sayatori와 Himenisiki 품종을 제외한 나머지 8개체를 위한 자매군으로 유집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neighborjoining 분석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고추냉이의 종내 유연관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RAPD법은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좀더 정확한 유연관계분석을 위해서는 AFLP방법이나 계통분류에 널리 이용되는 핵, 업록체 DNA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와 같은 정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RAPD마크를 이용한 한국 내 괭이밥속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과 표현형 관계 (Genetic Diversity and Phenetic Relationships of Genus Oxalis in Korea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 허만규;최병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07-712
    • /
    • 2014
  • RAPD마크를 이용한 한국 내 괭이밥속(Oxalis L.)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과 표현형 관계를 평가하였다. 10개의 시발체로 125개의 밴드를 얻었으며 시발체당 12.5개였다. 이들 밴드 중 121개(96.8%)는 다형성을 나타내었으며 단지 4개만 단형성을 나타내었다. 6개 분류군에서 RAPD 표현형의 평균은 3.6개(선괭이밥, 괭이밥)에서 4.8개(붉은괭이밥)였다. 종간 변이에서 선괭이밥과 자주괭이밥이 가장 낮은 변이를 나타내었으며(28.8%), 붉은괭이밥이 가장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38.4%). 분류군 내 대립유전자좌위는 평균 32.7%였다. 종 간 전체 유전적 다양도와 종내 유전적 다양도는 각각 0.362와 0.122였다. 종간 분화에 근거한 전체 변이의 몫($G_{ST}$)은 0.663이였다. 이는 전체 변이의 66.3%는 종간에 있음을 나타낸다. NJ tree에서 선괭이밥과 붉은괭이밥의 분지군은 높은 지지도를 가지며 괭이밥과 자매군을 형성하였다. 염색체의 수와 RAPD의 표현형적 관계와 일치하지 않았다.

AFLP와 RAPD 방법을 이용한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수집종의 유전적 변이 분석 (Genetic Variation of Rhododendron micranthum Based on AFLP and RAPD Analysis)

  • 김남수;김진홍;이주경;김남희;이명숙;이재선;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8
    • /
    • 2004
  • 본 연구는 자생식물 유전자원의 체계적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유전자원 수집과 보존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강원 및 경북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꼬리 진달래 의 수집 계통들에 대하여 분자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성 및 유연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D분석에 이용된 10개의 primer에서 총 48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이중에서 15개(31.3%)가 다형화 band였고, 1개의 primer당 평균 1.5개의 다형화 band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AFLP 분석에서는 4개의 primer조합으로부터 총 62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이중에서 33개(53.2%)가 다형화 band였고, 1개의 Primer조합당 평균 8.3개의 다형화 band가 관찰되었다. RAPD 및 AFLP band들을 이용한 UPGMA방법에 따라 작성된 dendrogram작성에서는 유전적 유사성 73.3%수준에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첫 번째 그룹에는 강원도 및 경북지역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계통들이, 두 번째 그룹에는 lIII번 지역에서 수집된 7계통 모두가 포함되어 있었고 그리고 세 번째 그룹에는 경북 봉화에서 수집된 IV지역의 계통들 중 2계통(35, 36)이 각각 포함되었다. 따라서III번 지역과 IV번 지역의 일부 계통들을 제외하면 DNA 수준에서 꼬리 진달래 대부분의 계통들은 수집 지역에 따른 유전적 유연 관계를 명확히 나타내지 못하였다. RAPD및 AFLP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 수집된 집단들 사이에서의 다형성 빈도는 II지역과 IV지역의 계통들에서 각각 45%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반면에 Ⅵ지역의 계통들이 33%로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그리고 집단들 사이에서의 유전적 유사성은 Ⅵ지역의 계통들이 평균 0.8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I지역의 계통들은 평균 0.78을 나타내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비록 III번 지역과 IV번 지역에서 수집된 일부 계통들은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계통들과는 유전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었지만, 수집 지역의 집단들 사이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므로, 꼬리진달래의 현지외 보존을 통한 유전자원 보존원 조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원 수집은 III번 지역과 IV번 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로 균등하고 가급적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RAPD 방법을 이용한 고추나물의 유연관계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s in Hypericum erectum Thunb. by RAPD)

  • 김선희;김응식;김성호;안준철;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1-145
    • /
    • 2005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 분석을 통해 한국산 물레나물 속 (Hypericum) 식물에서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풍산 고추나물과 지리산 고추나물 사이에 상당한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리산의 500m, 1000m 그리고 1300m 고도 차이에 따른 군락지별로도 밴드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동일 과(科)에 속한 물레나물보다는 서양고추나물이라고 불리는 St. John's wort가 고추나물과 유연관계가 더 가깝게 나타났다.

Genetic Variability of Sorghum Charcoal Rot Pathogen (Macrophomina phaseolina) Assessed by Random DNA Markers

  • Bashasab, Rajkumar, Fakrudin;Kuruvinashetti, Mahaling S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45-50
    • /
    • 2007
  • Genetic diversity among selected isolates of Macrophomina phaseolina, a causal agent of charcoal rot (stalk rot) disease in sorghum was studied using PCR-RAPD markers. A set of ten isolates, from ten different rabi sorghum genotypes representing two traditional sorghum growing situations viz., Dharwad- a transitional high rainfall region and Bijapur- a semi-arid low rainfall region in South India. From a set of 40 random primers tested, amplicon profiles of 15 were reproducible. A total of 149 amplicon levels, with an average of 9.9 bands per primer, were available for analysis, of which 148 were polymorphic (99.3%). It was possible to discriminate all the isolates with any of the 15 primers employed. UPGMA clustering of data indicated that the isolates shared varied levels of genetic similarity within a range of 0.14 to 0.72 similarity coefficient index and it was suggestive that grouping of isolates was not related to sampling location in anyway. A high level of genetic heterogeneity of 0.28 was recorded among the isolates.

RAPD Loci for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in Soybean (Glycine max)

  • / J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7-249
    • /
    • 1997
  •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is important trait in the soybean. Both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in this plant species is inherited quantitatively. A 68-plant $F_2$ segregation population derived from a mating between Mercury and PI 467.468 was evaluated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to identify QTL related to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Marker OPB12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seed protein content. Four markers, OPA09b, OPM07b, OPC14, and OPN11b had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seed oil content. By interval mapping, the interval between marker OPK3c and OPQ1b on linkage group 13 contained a QTL that explained 25.7% variation for seed oil content.

  • PDF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검정을 이용한 한국 표고균주의 계통분류 (Classification of Korean Lentinula edodos Strain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 이태수;박원철;강호덕;김세권;변병호;이창근;이원규;민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219-225
    • /
    • 1997
  • 한국의 7가지 대표적인 표고품종에 대하여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ic DNA) 검정을 실시하여 품종간의 구분이 가능한 지를 시도하였다. 표고 품종간의 계통분류에 적합한 RAPD marker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OPA-01에서 OPA-20까지 20개의 primer를 사용한 결과, 9가지의 primer는 품종식별에 유용한 RAPD pattern을 보였으나, 나머지 11가지의 primer는 품종 식별에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9가지 primer중 7개 품종을 모두 구분할 수 있는 단일 primer는 없었지만, 9가지중 2개의 조합을 취하면 어떤 경우도 7개의 표고 품종을 구분지울 수 있음으로써 RAPD 검정법이 표고 계통의 분류에 매우 정밀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