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 solani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Pseudomonas aureofaciens 63-28 on Defense Responses in Soybean Plants Infected by Rhizoctonia solani

  • Jung, Woo-Jin;Park, Ro-Dong;Mabood, Fazli;Souleimanov, Alfred;Smith, Donald 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379-38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th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Pseudomonas aureofaciens 63-28 to induce plant defense systems, including defense-related enzyme levels and expression of defense-related isoenzymes, and isoflavone production, leading to improved resistance to the phytopathogen Rhizoctonia solani AG-4 in soybean seedlings. Seven-day-old soybean seedlings were inoculated with P. aureofaciens 63-28, R. solani AG-4, or P. aureofaciens 63-28 plus R. solani AG-4 (P+R), or not inoculated (control). After 7 days of incubation, roots treated with R. solani AG-4 had obvious damping-off symptoms, but P+R-treated soybean plants had less disease development, indicating suppression of R. solani AG-4 in soybean seedling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activities of R. solani AG-4-treated roots increased by 24.6% and 54.0%,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roots.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activities of R. solani AG-4-treated roots were increased by 75.1% and 23.6%, respectively.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in soybean roots challenged with P. aureofaciens 63-28 and P+R increased by 25.0% and 11.6%, respectively. Mn-SOD (S1 band on gel) and Fe-SOD (S2) were strongly induced in P+R-treated roots, whereas one CAT (C1) and one APX (A3) were strongly induced in R. solani AG-4- treated roots. The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 in P+Rtreated shoots was 27.2% great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The isoflavone yield of R. solani AG-4-treated shoots was 60.9% less than the control.

잔디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pp.의 동정과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pecies Isolated from Turfgrasses)

  • 이두형;최양윤;이재홍;김진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57-265
    • /
    • 1995
  • 잔디의 마름병을 일으키는 Rhizoctonia spp.의 형태적 특징과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R. cerealis Van der Hoeven, R. oryzae Ryker et Gooch 및 R. solani $K{\ddot{u}hn}$이 형태 및 배양적 특성에 따라 동정되었다. R. solani의 균주들은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이 1(1A), 2-2(IIIB) 및 2-2(IV)로 나누어졌다. R. cerealis, R. oryzae 및 R. solani는 bentgrass와 한국들잔디에 잎집썩음과 잎마름증상을 나타냈다. 접종실험결과 R. cerealis와 R. oryzae 균주들은 한국들잔디보다는 bentgrass에서 병을 심하게 유발시켰다. R. solani AG 1(1A) 균주들은 bentgrass에 대해서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으나 한국들잔디에는 병원성이 중정도이였고 AG 2-2(IIIB) 균주들의 병원성은 들잔디에 중정도, bentgrass에는 약하였다. 들잔디에서 분리한 AG 2-2(IV)는 들잔디에는 중정도, bentgrass에는 약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 PDF

Rhizoctonia solani AG 2-2IIIB에 의한 마 뿌리썩음병의 한국 내 발생 (Occurrence of Stem Canker and Tuber Rot on Yam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 2-2IIIB in Korea)

  • 홍성기;이재국;이영기;이상엽;김완규;심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6-270
    • /
    • 2012
  • 2011년 안동과 진주의 마 재배포장에서 줄기 지제부 및 괴근썩음 증상이 나타났다. 병징을 나타내는 부위로부터 Rhizoctonia와 유사 속에 속하는 20개 균주가 분리되었다. r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염기서열 상동성을 기초로 8균주는 Rhizoctonia solani, 12균주는 Ceratobasidium sp.로 동정되었다. rDNA-ITS 염기서열의 cluster 분석에 의해 R. solani에 속하는 8개 균주 중 7개 균주는 균사융합군 AG 2-2IIIB, 1균주는 AG 1-1A에 속하였다. 또한, Ceratobasidium sp.에 속하는 12균주 중 7균주는 AG-Fa, 3균주는 AG-A, 나머지 2균주는 각각 AG-Fb와 AG-O에 속하였다. R. solani AG 2-2IIIB 균주들은 마의 줄기와 괴근에 병원성이었으나 R. solani AG 1-1A와 모든 Ceratobasidium sp. 균주는 비병원성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조사지역에서 R. solani AG 2-2IIIB가 마의 줄기 및 괴근썩음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R. solani AG 2-2IIIB에 의한 마 뿌리썩음병에 대하여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토양내(土壤內) 식물(植物) 병원균(病原菌)의 발병억제(發病抑制) 및 유발성질(誘發性質) (Nature of Suppressiveness and Conduciveness of Some plant pathogens in Soil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4-177
    • /
    • 1990
  • 인삼(人蔘)(Panax ginseng C. A. Meyer)의 증산을 제한하는데 가장 큰 요인(要因)은 연작장해이므로 인삼(人蔘)의 증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조사(調査)를 실시하였다. 1. 토양(土壤) pH가 F. solani 및 C. destructans의 포자발아(胞子發芽) 그리고 R. solani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미치는 상관관계(相關關係)는 각각 r=0.2645, r=0.315, r=0.19로서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2. 병원균(病原菌)의 포자발아(胞子發芽)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분포수(分布數)와의 관계(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F. solani와 전세균(全細菌), 방선균(放線菌),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세균(細菌)의 분포수(分布數)와의 관계(關係)에서 각각 r=0.21, r=0.37, r=0.20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으나 전진균(全眞菌)과의 관계(關係)에서는 r=-0.20으로서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다. R. solani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방선균(放線菌)의 분포수(分布數)사이에는 정(正)의 상관(相關)(r=0.24)이 있었다. 3. 총 146개 토양(土壤)중에서 F. solani는 40개 토양(土壤)에서, C. destructans는 20개 토양(土壤)에서, R. solani는 9개 토양(土壤)에서 각각 병원균(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으로 선발(選拔)되었다. 4. 병원균(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의 K, Ca, Mg, Na의 평균함양(平均含量)은 유발토양(誘發土壤)의 것보다 적었으며 병원균(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의 유기물함양(有機物含量)은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2배이상 높았다. $P_2O_5$의 함양(含量)은 F. solani와 R. solani의 억제토양(抑制土壤)이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낮은 반면, C. destructans의 억제토양(抑制土壤)은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약간 높았다. 토양(土壤) pH에 있어서 억제토양(抑制土壤)의 평균(平均) pH는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낮은 수치였다.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있어서 모래의 평균함양(平均含量)은 병원균(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이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2배 정도가 높은 반면, 미사(微砂)와 점사(粘士)의 함양(含量)은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낮았다. 5. 병원균(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과 유발토양(誘發土壤)의 미생물분포(微生物分布)는 F. solani 억제토양(抑制土壤)에 있어서 전세균(全細菌), 전진균(全眞菌),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진균(眞菌)의 분포수(分布數)가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높았던 반면, 방선균(放線菌),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세균(細菌)의 분포수(分布數)는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낮았으며, 전세균(全細菌) 및 전진균(全眞菌)의 분포수(分布數)는 병원균(病原菌) 억제토양(抑制土壤)과 유발토양(誘發土壤) 사이에 각각 유의성(有意性)(P=0.05)이 있었고, 방선균(放線菌)은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P=0.01)이 두 토양(土壤) 사이에서 인정되었다. C. destructans의 억제토양(抑制土壤)에 있어서 전세균(全細菌), 전진균(全眞菌), 방선균(放線菌),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진균(眞菌)의 분포수(分布數)는 유발토양(誘發土壤)의 분포수(分布數)보다 높았던 반면,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세균(細菌)의 분포수(分布數)는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2배 정도가 낮았다. R. solani의 억제토양(抑制土壤)에 있어서 전진균(全眞菌)의 분포수(分布數)가 유발토양(誘發土壤)의 분포수(分布數)보다 높았던 반면, 전세균(全細菌), 방선균(放線菌),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세균(細菌), 섬유소분해(纖維素分解) 진균(眞菌)의 분포수(分布數)는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낮았다. 6. 인삼근부병(人蔘根腐病) 발병(發病) 억제토양(抑制土壤)의 선발(選拔)은 공시(供試) 병원균(病原菌)별로 인삼(人蔘)이 식재(植栽)된 각각의 16개 토양(土壤)중 F. solani는 14개 토양(土壤)에서, C. destructans는 15개 토양(土壤)에서 각각 발병(發病) 억제성(抑制性)을 확인하였다. F. solani의 발병(發病) 억제토양(抑制土壤)에서 인삼(人蔘)의 근부률(根腐率)은 $1.0{\sim}17.4%$였으며, C. destructans의 발병(發病) 억제토양(抑制土壤)에서 인삼(人蔘)의 근부률(根腐率)은 $0.2{\sim}20.4%$였다.

  • PDF

잔디 Brown patch와 Large patch병 방제를 위한 향균성 약용식물 탐색 (Screening for Antifungal Medicinal Plants against Brown Patch and Large Patch Diseases of Turfgrass)

  • 백수봉;심성철;구한모;여운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4
    • /
    • 1998
  • 21과 30종의 약용식물의 Rhizoctonia solani AG1-1(brown patch)와 R. solani AG2-2(large patch)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계피, 목단피, 백선피가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R. solani AG1-1에 있어 계피와 목단피는 100%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백선피는 80%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높게 나왔다. 반면에 R. solani AG2-2에 있어서는 모두 100% methanol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다. 농도별 활성은 이들 조추출물의 500배 희석액에서 60%이상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항균specturum은 목단피가 가장 넓었다. 계피조추출물은 250배이상 희석액에서 목단피의 조추출물은 100배이상 희석액에서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백선피의 조추출물은 전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 30일후 방제가는 목단피 처리구 75.0%, 백선피 처리구 79.1%로였다.

  • PDF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카네이션 줄기썩음병 (Stem Rot of Carnation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and Rhizoctonia solani)

  • 최정식;정성수;김정만;소인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4-318
    • /
    • 1994
  • Incidence of stem rot on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ranged 11 to 29% in Namwon and Chongup area during the growing seasons from 1993 to 1994. Among 129 isolates from carnations in Namwon, 77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38 isolates were Fusarium oxysporum and 14 isolates were not identified. Among 169 isolates in Chongup, 19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 solani, 106 isolates as F. oxysporum and 44 isolates were not identified. Among 77 isolates of R. solani isolated from the specimens of Namwon, 52 isolates were classified as anastomosis group AG 2-2 by anastomosis test, 14 isolates as AG 2-1 and 11 isolates as AG 4. Among 19 isolates from specimens of Chongup, 14 isolates were classified as anastomosis group AG 2-2 and 5 isolates as AG 4.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isolates of F. oxysporum and R.solani AG 2-2 were highly virulent and isolates of R.solani AG 2-1 and AG 4 were mildly virulent.

  • PDF

Rhizoctonia solani AG2-2(IV), Trichoderma harzianum and Chaetomium cochliodes의 생육생리와 이들 미생물들의 한국잔디 대취층 관련 탄소원 이용도 조사 (Physiology of Rhizoctonia solani AG2-2(IV), Trichoderma harzianum, and Chaetomium cochliodes, and their Utilization of Thatch-related Carbohydrate in Zoysia japonica)

  • 박진희;강시용;김희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11-220
    • /
    • 1998
  • Cellulose-degrading fungi were idenfied as Rhizoctonia solani AG2-2(IV), T. harzianum and C. cochliodes. Rhizoctonia solani AG2-2(IV) grows better in the acidified media of pH 4 and 5 than pH 6 and 7. Mycelial growth of T. harzianum and C. cochliodes was also higher in pH 4 and 5 than in pH 6 and 7. In order to relate the above findings to nutrient utilization, mycelial growth of R. solani AG2-2(IV) are evaluated with various carbon sources. R. solani AG2-2(IV) grows well in the order of mannose, cellobiose, glucose, xylose and arabinose. However, mycelial dry weights of T. harzianum were 98.7, 78.0, 72.3, 43.7 and 32.3mg in glucose, mannose, cellobiose, xylose, and arabinose, respectively. Mycelial dry weight of C. cochilodes was 118, 65, 57, 49, and 16mg in mannose, cellobiose, xylose, glucose, and arabinose, respectively. Result of cellulase assay of R. solani AG2-2(IV) and soil fungi was reffered as, R. solani AG2-2(IV) produced more cellulase on CMC substrate than on CEL and secretes more enzyme in floated condition than in water-immersed condition. T. harzianum secreted less amount of cellulase than R. solani AG2-2 and C. cochliodes. T. harzianum produced no enzyme on CEL under water-immersed condition. C. cochliodes produced similar amounts of cellulase on either CMC or CEL under both water-immersed and floated condition.

  • PDF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Causing Leaf and Stem Rot in Three-Leaf Ladybell

  • Wan-Gyu Kim;Hyo-Won Choi;Gyo-Bin Lee;Weon-Dae Cho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77-383
    • /
    • 2023
  • In 2020 and 2021, we surveyed diseases of three-leaf ladybell (Adenophora triphylla) plants grown in fields at two locations in Korea. During the disease surveys, severe leaf rot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young plants in Hongseong, and stem rot symptoms on the adult plants in Cheolwon. The incidence of leaf rot was 5-60%, and that of stem rot 1-10%. We obtained 6 fungal isolates each from the leaf rot lesions and the stem rot lesions. All the isolates were morphologically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Anastomosis test and investigation of cultural features of the fungal isolates revealed that the isolates from the leaf rot lesions corresponded to R. solani AG-1(IB), and those from the stem rot lesions to R. solani AG-2-2(IIIB). Two isolates each of R. solani AG-1(IB) and AG-2-2(IIIB) were used for DNA sequence analysis and pathogenicity test to three-leaf ladybell plants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e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the R. solani isolates were confirmed by the sequence analysis. The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isolates of R. solani AG-1(IB) caused only leaf rot symptoms on the inoculated plants, and those of R. solani AG-2-2(IIIB) leaf rot and stem rot symptoms. The induced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investigated. Leaf and stem rot of three-leaf ladybell caused by the two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 solani is first reported in this study.

잔디 뿌리병 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의 성장을 저해하는 미생물 선발 (Screening of Potent Biofungicide for the Growth Inhibition of Soilborne Pathogenic Fungi, Rhizoctonia solani)

  • 이은열;이재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5-358
    • /
    • 2003
  • 식물 병원성 진균인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길항능이 있는 Trichoderma 계열의 미생물 균주를 선별하였다. R. solani의 성장을 저해하는 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PDA 평판에서 inhibition zone을 측정하였고, 병원성 진균의 세포벽을 용해시킬 수 있는 세포외 효소인 glucanase 및 chitin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4∼5 mm 이상의 inhibition zone을 보여주었고, glucanase 및 chitinase 활성이 우수한 Trichoderma sp. UK-3와 T. viride 균주들을 선별할 수 있었다.

Rhizoctonia균의 배양특성 및 잔디에 대한 병원성과 살균제의 효과 (Studies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pp. and Effect of Fungicides)

  • 이두형;유왕근;한경숙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98
    • /
    • 1992
  • Rhizoctonia oryzae, R. oryzae-sativae 및 R. solani의 균사융합군의 각 균주에 대한 배양특성과 creeping bentgrass 및 들잔디에 대한 병원성과 살균제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다. 1. 균사생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보면 네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R. oryzae와 R. oryzae-sativae는 생육적온이 $30~35^{\circ}C$인 호고온형이었고, R. solani의 균사융합군의 각 균주도 세가지 형으로 나뉘었는데, 즉 생육적온이 $25~30^{\circ}C$인 고온형, 20~25$^{\circ}C$인 중간형 및 $20^{\circ}C$인 저온형이었다. 2. 접종실험에서 creeping bentgrass에 대해서는 R. oryzae와 R. solani의 AG-1( I A), AG-1( I B), bentgrass분리균 및 벼 분리균이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AG-2-1, AG-4, AG-5 및 AG-2-2가 중 또는 약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들잔디에 대해서는 R. oryzae와 R. solani의 들잔디 분리균이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고 AG-1( I B)와 AG-5가 중정도의 병원성을 나타냈다. 3. 살균제의 효과는 creeping bentgrass의 brown patch병과 들잔디의 large patch병에 대해서 capro와 mytan등이 가장 좋았고 brown patch병에 대해서는 thiopan과 pencycuron이, large patch병에 대해서는 tolos와 thiopan이 각각 그 다음으로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