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 상

검색결과 753건 처리시간 0.023초

Staphylococcus aureus DH1에서 분리한 R-plasmid pSBK203상의 복제개시 부위 ori에 관한 연구 (Replication origin (ori) of R-plasmid pSBK203 Isolated from Staphylococcus aureus DHI)

  • 민경일;변우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6-191
    • /
    • 1994
  • Staphylococcus aureus로부터 분리한 R-plasmid pSBK203의 복제개시 단백질인 Rep의 작용부위인 ori 및 dsDNA로의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minus origin부위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Escherichia coli vecotr를 이용하여 pSBK203의 복제관련 부위를 최소한도로 포함하는 재조합 E.coli-Bacillus subtilis shuttle vector를 구성, 분리하고 여기에 포함된 pSBK203부위의 염기 서열을 분석함으로써 ori를 확인하였다. pSBK203의 복제개시 부위 ori는 rep의 구조 유전자 ORF내에서 약 50bp의 크기로 발견되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staphylococcal plasmid들중에서 pT181족 plasmid들의 ori와 높은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제 과정에서 ssDNA로 먼저 만들어진 (+)쇄가 dsDNA로 전환되기 위해 필요한 신호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저 있는 minus origin (M-O)인 긴 palindrome 구조, 즉 pal 부위가 rep 우전자의 상류에서 2개 연이어 존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중에서 pOX6, pC194, 및 pE194 등과 같은 다른 staphylococcal plasmid들의 pal 부위와 비교적 높은 상동성을 갖는 paLA 는 plasmid 유지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다른 plasmid에서 유사 서열이 보고되지 않은 palA는 plasmid 유지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 PDF

분산군집제어 알고리즘 기반 농업용 멀티 UAV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구현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Multi-UAV System with Distributed Swarm Control Algorithm into a Simulator)

  • 주찬영;박성준;손형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37-38
    • /
    • 2017
  • 최근 방제 및 예찰과 같은 농작업에 단일 UAV(Unmanned Aerial Vehicle)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지만, 가반하중과 체공시간 등 기존시스템의 문제가 점차 대두되면서 작업 시간을 보다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농업용 멀티 UAV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자가 다수의 농업용 UAV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분산군집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알고리즘 검증 및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소개한다. 분산군집제어는 UAV 제어 계층, VP(Virtual Point) 제어 계층, 원격제어 계층으로 이루어진 3계층 제어구조를 가진다. UAV 제어 계층에서 각 UAV는 point mass로 모델링 되는 VP의 이상적인 경로를 추종하도록 제어한다. VP 제어 계층에서 각 VP는 입력 $p_i(t)=u^c_i+u^o_i+u^{co}_i+u^h_i$-(1)을 받아 제어되는데 여기서, $u^c_i{\in}{\mathbb{R}}^3$는 VP 사이의 충돌방지제어, $u^o_i{\in}{\mathbb{R}}^3$는 장애물과의 충돌방지제어, $u^{co}_i{\in}{\mathbb{R}}^3$는 UAV 상호간의 협조제어, $u^h_i{\in}{\mathbb{R}}^3$는 작업자로부터의 원격제어명령이다. (1)의 제어입력에서 충돌방지제어는 각 $u^i_c:=-{\sum\limits_{j{\in}{\eta}_i}}{\frac {{\partial}{\phi}_{ij}^c({\parallel}p_i-p_j{\parallel})^T}{{\partial}p_i}}$-(2), $u^o_c:=-{\sum\limits_{r{\in}O_i}}{\frac {{\partial}{\phi}_{ir}^o({\parallel}p_i-p^o_r{\parallel})^T}{{\partial}p_i}}$-(3)로 정의되면 ${\phi}^c_{ij}$${\phi}^o_{ir}$는 포텐셜 함수를 나타낸다. 원격제어 계층에서 작업자는 햅틱 인터페이스를 통해 VP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스케일변수 ${\lambda}$에 대하여 VP의 원격제어명령은 $u^t_i(t)={\lambda}q(t)$로 정의한다. UAV 시뮬레이터는 리눅스 환경에서 ROS(Robot Operating Systems)를 기반한 3차원 시뮬레이터인 Gazebo상에 구축하였으며,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제어 명령은 TCPROS를 통해 서로 주고받는다. UAV는 PX4 기반의 3DR Solo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MAVROS를 통해 MAVLink 통신 프로토콜에 접속하여 UAV의 고도, 속도 및 가속도 등의 상태정보를 받을 수 있다. 현재 멀티 드론 시스템을 Gazebo 환경에 구축하였으며, 추후 시뮬레이터 상에 분산군집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검증 및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Ruddlesden - Popper상 $(LaSrCa)_3Mn_2O_7$의 합성과 자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Ruddlesden-Popper Phase $(LaSrCa)_3Mn_2O_7$)

  • 송민석;신진현;배철호;박정환;이재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1-352
    • /
    • 2009
  • 이중의 망간 페로브스카이트 블록을 가진 Ruddlesden-Popper 상 (R-P phase) $Sr_3Mn_2O_7$은 공기중에서 불안정하다. 본 연구에서는 Sr이온 자리에 La, Ca이온을 치환함으로써 R-P상을 안정화 시켰으며, 이들의 결정구조는 Neutron Diffraction 데이터를 이용하여 Rietveld 법으로 정밀화하였다 $La_{1.4}Sr_{0.8}Ca_{0.8}Mn_2O_7$, $La_{1.2}Sr_{0.9}Ca_{0.9}Mn_2O_7$$T_N$이 80K이며 25K에서 spin-glass 변이가 관찰되었다.

  • PDF

동해 왕돌초 조하대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Subtidal Zone of Wangdol-Cho on the East Coast of Korea)

  • 권천중;최창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191-201
    • /
    • 2014
  • 한국 동해안 울진군에 위치한 왕돌초 조하대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녹조류 12종, 갈조류 29종, 홍조류 81종을 포함한 122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으며, 38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정점별 평균 생물량은 봄 472.19-1,198.77 g wet wt. $m^{-2}$, 여름 68.99-631.14 g wet wt. $m^{-2}$, 가을 200.91-401.20 g wet wt. $m^{-2}$, 겨울 53.61-922.32 g wet wt. $m^{-2}$로 나타났다. 생물량에 근거한 왕돌초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 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넓은분홍잎(Acrosorium venulosum),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중부 미역(Undaria pinnatifida), 참가시그물바탕말(Dictyopteris pacif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감태(Ecklonia cava), 하부 쇠꼬리산말(Desmaeistia viridis), 감태(E. cava),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순으로 확인되었다.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를 6가지 기능형군에 따라 구분한 결과 사상형 34.43%, 성긴분지형 25.41%, 엽상형 24.59%, 다육질형 9.71%, 각상형 5.74%, 유절산호말형 0.82%로 확인되었다. 해조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해조군락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C/P, R/P, (R+C)/P 값은 각각 0.41, 2.79, 3.21로 나타났다. 또한, 왕돌초 조하대 군집 안정도와 환경상태를 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왕돌초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종다양성 및 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란이나 부영양화 같은 인간활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동해안 독도의 해조상 및 대황(Eisenia bicyclis) 부착기의 생물상 (Marine Algal Flora and Ecological Role of Eisenia bicyclis in Dokdo, East Sea, Korea)

  • 박서경;이정록;허진석;안대성;이행필;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3-626
    • /
    • 2014
  • 독도 해역의 해조류는 2013년 5월과 7월에 14개 정점에서 정성채집 하였으며, 대황의 생태학적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7월과 11월에 23개체를 채집하여 부착기에 서식하는 해조류와 동물을 동정하였다. 대황의 줄기길이와 무게의 회귀식으로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18종, 갈조류 35종과 홍조류 75종을 포함하여 총 128종이 관찰되었으며, 성긴분기형이 47.66%로 가장 우점하였고 안정된 환경에 서식하는 ESG I그룹에 속하는 종이 91종(71.09%)이었다. 또한, R/P, C/P, (R+C)/P는 2.14, 0.51과 2.66으로 온대성과 혼합성 해조상을 보였다. 대황의 생물량은 $23.74kg\;m^{-2}$이고 밀도는 64 fronds $m^{-2}$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황의 부착기에서 해조류 12종과 동물 83종(환형 15종, 연체 25종, 절지 34종, 극피 3종, 기타 6종)의 1,248개체가 동정되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핵심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넓은마디육질꼬리옆새우붙이가 538개체(43.11%)로 가장 우점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도의 해조류 출현종수는 이전 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성긴분기형과 ESG I 해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독도 연안의 환경은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판단된다.

운동종목별(運動種目別) 선수(選手)의 심전도시간간격(心電圖時間間隔), 파고(波高) 및 벡터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Electrocardiographic Time Intervals, Amplitudes and Vectors in 7 Different Athletic Groups)

  • 권기영;이원정;황수관;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9권1호
    • /
    • pp.61-72
    • /
    • 1985
  • 운동종목별(運動種目別) 선수(選手)들의 심기능(心機能)을 비교(比較)하기 위하며 운동경력(運動經歷)이 3년이상(年以上)이 된 고등학교(高等學校)의 투척(投擲)(7명), 도약(跳躍)(11명), 단거리(短距離)(8명), 장거리(長距離)(14명), 권투(拳鬪)(7명), 배구(排球)(8명) 및 야구(野球)(9명) 선수(選手)와 비선수(非選手)(19명)들의 안정시(安靜時)심전도상(心電圖上)에 나타난 시간간격(時間間隔), 파고(波高) 및 vector를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안정시(安靜時)의 R-R(간격)間隔은 각종목별(各種目別) 선수(選手)들은$0.96{\sim}1.09$ 초(秒)로 비선수군(非選手群)의 0.78초(秒)에 비(比)해 유의(有意)한 서맥(徐脈)을 보여주었다. R-R간격(間隔)은 P-R, Q-T 및 T-P간격(間隔)의 합(合)으르 나타나는데, P-R 및 Q-T간격(間隔)은 각(各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간(非選手群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T-P간격(間隔)은 도약(跳躍), 단거리(短距離), 장거리(長距離) 및 권투선수(拳鬪選手)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R-R간격(間隔)은 T-P 및 Q-T간격(間隔)과 유의(有意)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나 P-R 및 QRS간격(間隔)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심전도(心電圖)의 파고(波高)를 비교(比較)해 보면 lead $V_5$에서의 P파고(波高)$(Pv_5)$는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서 각종목(各種目) 선수군(選手群)이 전반적(全般的)으로 낮은 경향(傾向)을 보여주었고, 특(特)히 투척(投擲) 및 도약선수군(跳躍選手群)은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T파고(波高)$(Tv_5)$는 투척선수군(投擲選手群)이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았으나 다른 선수군(選手群)들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R파고(波高)$(Rv_5)$는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을 제외(除外)한 다른 종목선수(種目選手)들과 비선수(非選手)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의 $(Rv_5)$파고(波高)는 비선수(非選手)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선수군(種目選手群)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Lead $V_1$에서의 S파고(波高)$(Sv_1)$는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Rv_5$$Sv_1$파고(波高)의 합(合)은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만이 다른 종목선수군(種目選手群)들이나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며 다른 선수군(選手群)들은 비선수군(非選手群)과 차이(差異)가 없었다. 심전도(心電圖)의 vector를 비교(比較)해 보면 P, QRS, T축(軸)의 각도(角度)는 frontal 및 horizontal plane 상(上)에서 각선수군(各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P vector의 길이는 각선수군(各選手群)이 비선수(非選手)보다 낮은 경향(傾向) 나타냈으며, 특(特)히 horizontal plane에서 투척(投擲), 도약(跳躍), 단거리(短距離) 및 야구선수(野球選手)들이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QRS와 T vector의 길이는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간(非選手群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야구선수(野球選手)만이 frontal plane에서 QRS vector의 길이가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각종목(各種目) 운동선수군(運動選手群) 전반(全般)은 비선수(非選手)보다 유의(有意)한 서맥(徐脈)을 나타내며 이는 주로 T-P 간격(間隔)이 길기 때문이다. 파고(波高)의 높이와 vector를 비교(比較)해 볼때 각종목(各種目) 운동선수(運動選手)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P파(波)가 낮았다. 특(特)히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은 다른 종목(種目) 선수군(選手群)이나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Rv_5$$Sv_1$파고(波高)의 합(合)이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므로 좌심실(左心室)이 비대(肥大)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거리선수(長距離選手)들이 다른 종목선수(種目選手)들에 비(比)해 더 우수(優秀)한 스포츠심장(心臟)임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

  • PDF

여고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High School Girls on Self-directed Learning)

  • 이경완;이명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65-277
    • /
    • 2020
  • 본 연구는 여고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여고생 2학년 231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계열, 성적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정서지능(r=.560, p<.001), 진로준비행동(r=.232, p<.001)과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지능(β=.515, p<.001), 성적'중'(β=.376, p<.001), 성적'상'(β=.274, p<.001), 진로준비행동(β=.128, p<.05)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4.0%였다. 따라서 여고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폐기종에 대한 저선량 CT의 유용성 평가: 고해상도 CT와 비교 (Usefulness Evaluation of Low-dose CT for Emphysema : Compared with High-resolution CT)

  • 이원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29-3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종에 대해 고해상도 CT와 비교한 저선량 CT 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노출조건에서 선량과 영상 잡음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비슷한 노출조건에서 획득한 146명의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영상에 대해 2명의 흉부영상의학과전문의 합의 판독결과에서 폐기종 소견 만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SPSS ver. 19.0 프로그램 사용하여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간에 폐기종에 대한 진단 차이는 McNemar's tests, 일치도는 unweighted kappa tests, 선량과 잡음 차이는 Mann-Whitney U-test 로 분석하였다. 선량은 고해상도 CT가 저선량 CT 보다 높았지만(1.95 mGy vs. 0.35 mGy, p=0.008), 잡음은 낮았다(40.1 HU vs. 99.6 HU, p=0.021). 폐기종 진단에 대해서는 두 영상 간에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k-value=0.88). 폐기종 점수는 두 영상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599, p < 0.001). 선량과 잡음을 고려했을 때, 저선량 CT는 폐기종 진단에 표준 진단 방법 인 고해상도 CT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구 연성 의치상 이장재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PERMANENT SOFT DENTURE LINERS)

  • 김연미;배정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9-818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three permanent soft denture liners (Molloplast $B^{(R)}$, Ufi Gel $C^{(R)},\;Tokuyama^{(R)}$)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And their water sorption were also evaluated. Each soft denture liner was bonded to PMMA denture base resin blocks and the tensile bond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were measured by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the water sorption, weight measured after immersion of sea denture liners in $37{\pm}1^{\circ}C$ water bath for 4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lloplast $B^{(R)}$ had the highest tensile bond strength, while Tokuyama had the lowest tensile bond streng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kuyama^{(R)}$ and Molloplast $B^{(R)}$ in the both nonthermocycling and thermocycl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of $Tokuyama^{(R)}$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p<0.05). 2. For the modulus of elastic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fi Gel $C^{(R)}\;and\;Tokuyama^{(R)}$ in the both nonthermocycling and thermocycl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dulus of elasticity of $Tokuyama^{(R)}$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p<0.05). 3 The failure modes of Molloplast $B^{(R)}$ and Ufi Gel $C^{(R)}$ were mainley adhesive type and that of $Tokuyama^{(R)}$ was mainly mixed type in case of nonthermocycling and cohesive type after thermocycling. 4. The water sorption of each soft liners was within ${\pm}2%$ in time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oft liners in times.

  • PDF

Ethidium Bromide에 의한 Streptomyces bobili(YS-40)의 R-Plasmid 제거 (Elimination of R-Plasmid in Streptomyces bobili (YS-40) by Ethldium Bromide)

  • 김상달;도재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9-295
    • /
    • 1982
  • Streptomyces bobili (YS-40) 의 Hg, Ag, penicillin-G, ampicillin, chloramphenicol, oxytetracycline, streptomycin, kanamycin에 대한 생육최소저해농도는 각각 15, 10, >3,000, >100, >1,000. >100. <5, <5 $\mu\textrm{g}$/$m\ell$였으며 본 균주의 R-plasmid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ethidium bromide, acriflavine, sodium dodecyl sulfate 등의 curing agent를 처리시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thidium bromide를 10$\mu\textrm{g}$/$m\el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98.0% 정도의 R-plasmid를 제거시킬 수 있었다. pH 7.0에서 curing시킴으로서 R-plasmid가 가장 잘 제거되었으며 분균을 24시간동안 배양해서 curing시킴으로서 R-plasmid의 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Ethidium bromide에 의해서 R-plasmid가 제거된 균과 원균을 여러가지 색소생성배지에서 배양시켜 배양상의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peptone-beef extract agar 배지에서 aerial mass color가 greyish pink에서 grey로 변했으며 tryptone-yeast extract broth에서 배지에서 soluble pigment가 pale brown에서 무색으로 변했다. 이 결과로는 aerial mycelium, melanin 생성과 R-plasmid 는 무관하다고 추측된다.

  • PDF